세계 첫 5G기반 車반도체… 삼성전자 ‘미래차 가속도’
서형석 기자 , 곽도영 기자
입력 2021-12-01 03:00:00 수정 2021-12-01 04:30:18
“달리는 차안에서 초고속 5G 구현”
차세대 차량용 반도체 3종 공개
삼성전자가 30일 공개한 차량용 시스템반도체 3종. 삼성전자 제공
달리는 차 안에서 운전자를 제외한 승객들이 자신의 스마트폰이 아닌 차내 모니터에서 보고 싶은 영화나 듣고 싶은 음악을 고른다. 집에서 보는 것과 같은 선명한 화면, 또렷한 음질의 콘텐츠를 빠르게 내려받는다. 삼성전자가 개발한 새 차량용 시스템반도체 3종이 탑재된 자동차에서 누릴 수 있는 경험이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차량용 시스템반도체 3종을 공개하고 완성차 및 전장부품 업계를 대상으로 수주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세계 최초로 자동차에 5세대(5G) 이동통신을 탑재할 수 있는 ‘엑시노스 오토 T5123’, 차내 내비게이션과 콘텐츠 활용을 위한 인포테인먼트 프로세서 ‘엑시노스 오토 V7’, 인포테인먼트 프로세서에 쓰이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전력관리칩(PMIC) ‘S2VPS01’이다.
T5123은 3세대(3G), 롱텀에볼루션(LTE)만 쓰이던 커넥티드카 시장에 처음 선보인 5G 반도체다.
커넥티드카는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자동차로 주행 중 통신을 활용한 실시간 길 안내, 영상과 음악 등 콘텐츠 이용, 비상시 긴급 구조 요청 등이 가능한 텔레매틱스를 지원한다. T5123은 초당 최대 5.1Gb(기가비트) 속도로 데이터를 내려받을 수 있다. 파일 크기가 3.7GB(기가바이트) 정도인 2시간 분량 영화 한 편을 6초 만에 저장할 수 있다. 5G가 구축되지 않은 곳에서는 LTE로 어디서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시장조사업체 얼라이드마켓리서치는 2018년 504억 달러(약 60조 원)였던 세계 텔레매틱스 시장이 2026년에는 320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V7과 S2VPS01은 인포테인먼트를 위한 반도체다. V7은 삼성전자의 차량용 반도체 중 처음으로 LG전자 자동차부품(VS)사업본부에 공급됐다. LG전자가 독일 폭스바겐에 납품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ICAS 3.1’에 V7이 핵심 부품으로 쓰인다.
인공지능(AI) 연산을 위한 신경망처리장치(NPU)를 탑재해 차내에서 AI 비서는 물론 얼굴과 음성, 동작 인식만으로 여러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고화질, 고음질 구현을 위한 기술을 지원해 자동차에서 여러 콘텐츠를 매끄럽게 즐길 수 있다. S2VPS01은 V7과 같은 인포테인먼트 프로세서가 차량 주행 중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전력을 정밀하게 조절한다.

세 가지 반도체는 세계적으로 품귀 현상을 빚는 차량용 반도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은 아니다. 개당 1, 2달러 수준인 MCU는 전자장치를 제어하지만 제조기술 수준과 이익이 낮아 대형 반도체업체들이 쉽게 투자에 나서기 어렵다.
그 대신 삼성전자는 시스템반도체로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강조한 ‘2030년 시스템반도체 세계 1위’ 전략의 핵심이기도 하다. 시스템반도체는 연산과 AI가 가능해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등 정보 처리량이 많은 미래차의 핵심 부품으로 꼽힌다.
자율주행차 1대가 8시간 동안 만들어내고 처리하는 데이터 용량은 40TB(테라바이트)에 달한다. 2시간 분량의 영화 1107편과 맞먹는 크기다.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AI를 갖춘 고성능 차량용 반도체가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엔비디아, 인텔 등 기존 시스템반도체 전문업체뿐 아니라 전기차업체 테슬라까지 AI를 적용한 차량용 반도체 개발에 나섰고, 구글과 바이두 등 정보기술(IT) 기업도 독자적인 차량용 반도체 기술 확보에 뛰어들었다.
컨설팅업체 KPMG에 따르면 차량용 반도체 중 2019년 43%였던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인포테인먼트, 텔레매틱스 등 고사양 제품의 비중은 2040년 80%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도 올해 초 450억 달러였던 세계 차량용 반도체 시장이 고성능 반도체 수요 확대와 맞물려 2026년 676억 달러(약 80조 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준명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올해 3월 보고서에서 “점점 더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차량 기능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통합하고,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공하는지가 차량용 반도체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형석 기자 skytree08@donga.com
곽도영 기자 now@donga.com
차세대 차량용 반도체 3종 공개

달리는 차 안에서 운전자를 제외한 승객들이 자신의 스마트폰이 아닌 차내 모니터에서 보고 싶은 영화나 듣고 싶은 음악을 고른다. 집에서 보는 것과 같은 선명한 화면, 또렷한 음질의 콘텐츠를 빠르게 내려받는다. 삼성전자가 개발한 새 차량용 시스템반도체 3종이 탑재된 자동차에서 누릴 수 있는 경험이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차량용 시스템반도체 3종을 공개하고 완성차 및 전장부품 업계를 대상으로 수주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세계 최초로 자동차에 5세대(5G) 이동통신을 탑재할 수 있는 ‘엑시노스 오토 T5123’, 차내 내비게이션과 콘텐츠 활용을 위한 인포테인먼트 프로세서 ‘엑시노스 오토 V7’, 인포테인먼트 프로세서에 쓰이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전력관리칩(PMIC) ‘S2VPS01’이다.
○ 5G·인포테인먼트… 미래차용 차세대 반도체

커넥티드카는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자동차로 주행 중 통신을 활용한 실시간 길 안내, 영상과 음악 등 콘텐츠 이용, 비상시 긴급 구조 요청 등이 가능한 텔레매틱스를 지원한다. T5123은 초당 최대 5.1Gb(기가비트) 속도로 데이터를 내려받을 수 있다. 파일 크기가 3.7GB(기가바이트) 정도인 2시간 분량 영화 한 편을 6초 만에 저장할 수 있다. 5G가 구축되지 않은 곳에서는 LTE로 어디서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시장조사업체 얼라이드마켓리서치는 2018년 504억 달러(약 60조 원)였던 세계 텔레매틱스 시장이 2026년에는 320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V7과 S2VPS01은 인포테인먼트를 위한 반도체다. V7은 삼성전자의 차량용 반도체 중 처음으로 LG전자 자동차부품(VS)사업본부에 공급됐다. LG전자가 독일 폭스바겐에 납품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ICAS 3.1’에 V7이 핵심 부품으로 쓰인다.
인공지능(AI) 연산을 위한 신경망처리장치(NPU)를 탑재해 차내에서 AI 비서는 물론 얼굴과 음성, 동작 인식만으로 여러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고화질, 고음질 구현을 위한 기술을 지원해 자동차에서 여러 콘텐츠를 매끄럽게 즐길 수 있다. S2VPS01은 V7과 같은 인포테인먼트 프로세서가 차량 주행 중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전력을 정밀하게 조절한다.
○ 미래차 시장 잡아 시스템반도체 1위 전략

그 대신 삼성전자는 시스템반도체로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강조한 ‘2030년 시스템반도체 세계 1위’ 전략의 핵심이기도 하다. 시스템반도체는 연산과 AI가 가능해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등 정보 처리량이 많은 미래차의 핵심 부품으로 꼽힌다.
자율주행차 1대가 8시간 동안 만들어내고 처리하는 데이터 용량은 40TB(테라바이트)에 달한다. 2시간 분량의 영화 1107편과 맞먹는 크기다.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AI를 갖춘 고성능 차량용 반도체가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엔비디아, 인텔 등 기존 시스템반도체 전문업체뿐 아니라 전기차업체 테슬라까지 AI를 적용한 차량용 반도체 개발에 나섰고, 구글과 바이두 등 정보기술(IT) 기업도 독자적인 차량용 반도체 기술 확보에 뛰어들었다.
컨설팅업체 KPMG에 따르면 차량용 반도체 중 2019년 43%였던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인포테인먼트, 텔레매틱스 등 고사양 제품의 비중은 2040년 80%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도 올해 초 450억 달러였던 세계 차량용 반도체 시장이 고성능 반도체 수요 확대와 맞물려 2026년 676억 달러(약 80조 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준명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올해 3월 보고서에서 “점점 더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차량 기능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통합하고,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공하는지가 차량용 반도체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형석 기자 skytree08@donga.com
곽도영 기자 now@donga.com
자동차 인기기사
- 1지프, 새로워진 ‘컴패스’ 내달 국내 출시… 완전히 달라진 실내
- 2전기차 “프렁크”의 모든 것
- 3‘아이오닉5’ 로보택시, 美서 자율주행 배송
- 4현대차, ‘2022 그랜저’ 출시… 판매가 3392만원부터 시작
- 5익선동 자리잡은 ‘팰리세이드’… 공간 가치 예술로 해석
- 6BMW 모토라드, 5월 온라인 에디션 3종 출시
- 7정의선 ‘21조 통큰 투자’… 한국을 전기차 허브로
- 8[단독]쌍용차 부활 열쇠 쥔 신차는 ‘토레스’… 오늘 유튜브서 티저 영상 공개
- 9[단독]사활 걸고 만든 쌍용차 SUV 신차, 모델명 ‘토레스’로 확정
- 10롤스로이스, 팬텀 시리즈II 세계 최초 공개
비즈N 탑기사
- 코로나19 검사 중 면봉 통째로 삼킨 英여성…응급 수술받아
- “2살 아이 피흘리며 우는데…어린이집 5시간 방치했다” (영상)
- 멜라니아 “백악관 재입성? 절대 아니라고 말 못해”
- “손주 낳지 않아서”…인도서 부모가 아들에 8억 손배 청구
- 병 걸린 낙타 죽자…토막내 호랑이 먹이로 준 동물원
- 새로운 10대 슈퍼히어로…‘미즈 마블’ 6월8일 디즈니+ 공개
- ‘무 닦던 수세미로 발 세척’ 족발집 조리장, 벌금 1000만 원
- 앤디 워홀 ‘매릴린 먼로’ 2500억 낙찰…20세기 미술품 중 최고가
- 산후조리원에 신생아 두고 사라진 부부…경찰 수사
- 작은 변화가 모여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2030세상/배윤슬]
- 자녀 무상 증여한도 1억으로 상향 검토…이르면 내년 시행
- 쿠팡, 식용유 1인당 구매제한…온라인도 품귀 조짐
- “하루종일 주유구 8곳 꽉 차”…기름값 급등에 붐비는 알뜰주유소
- 7월부터 대출자 18%는 신규대출 불가…대출한도도 ‘뚝’
- BMW 모토라드, 5월 온라인 에디션 3종 출시
- 올봄 해외 여행자보험 가입, 지난해 ‘4배’ 가까이
- 공기관 평균연봉 6976만원… 中企의 2배
- 현대차, ‘2022 그랜저’ 출시… 판매가 3392만원부터 시작
- 대기줄 달랑 30명…‘오픈런’ 썰렁해진 샤넬의 굴욕
- 月14만원 내면 한달 4회 집안일 도와줘…복지부 , 7월부터 ‘가사지원’ 시범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