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6년 만에 ‘CES’ 복귀한 이유… 첫 세단 전기차 ‘ID.7’ 공개
동아닷컴 김민범 기자
입력 2023-01-05 18:15:00 수정 2023-01-05 18:20:10
오는 2026년까지 전기차 10종 출시
ID.패밀리 글로벌 전기차 판매 50만대 돌파
ID.7, 브랜드 첫 세단 전기차… 최대 700km 주행
올해 2분기 양산 모델 공개
조명효과 위장막 통해 차세대 디지털 기술 소개
폭스바겐이 미국에서 첫 번째 세단 전기차를 선보였다.
폭스바겐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3’에 참가해 브랜드 첫 세단 전기차 모델인 ‘ID.7’을 공개한다고 5일 밝혔다. 폭스바겐은 이번에 6년 만에 CES에 참가해 부스를 마련했다.
CES에서 공개되는 ID.7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MEB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모델로 화려한 위장막으로 가려진채 선보였다. ID.7을 감싸고 있는 위장막은 특수 기술과 여러 겹의 도장으로 완성돼 조명효과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 위장막에 적용된 기술은 향후 ID.패밀리 플래그십 모델에 적용될 디지털화의 다음 단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한다. 양산 버전은 올해 2분기 공개 예정이다.
ID.7은 앞서 중국에서 선보인 ‘ID.에어로’ 콘셉트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전기차 세단이다. 당시 발표에 따르면 이 모델은 최신 공기역학 디자인을 적용해 최대 주행가능거리 700km(유럽 WLTP 기준)를 구현할 전망이다. 다만 유럽 기준 전기차 주행거리는 국내보다 다소 높게 책정되기 때문에 실제 주행가능거리는 국내 인증 완료 시 확인할 수 있다.
토마스 셰퍼(Thomas Schäfer) 폭스바겐 CEO는 “ID.7을 통해 폭스바겐 전기차 라인업을 확장하게 된다”며 “이 모델은 오는 2026년까지 폭스바겐이 선보일 전기차 10종 중 하나로 브랜드 전동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ID.7 주요 특징으로는 소비자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사용자 경험을 강조했다. 새로운 디스플레이(15인치) 구성과 증강현실 헤드업디스플레이(HUD),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통합된 공조장치, 조명이 더해진 터치 슬라이더 등 최신 기술이 기본 기능으로 제공된다고 폭스바겐은 설명했다. 세부적으로 지능형 송풍구(스마트 에어벤트)와 연동되는 새로운 공조 시스템이 탑재된다. 운전자가 탑승 하기 전에 에어컨이나 히터를 미리 작동할 수 있고 실내 공기 흐름을 조절해 공기 분산을 최적화한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통합된 공조 시스템은 음성명령도 지원한다. 가령 ‘손이 시려워’라고 말하면 즉각적으로 스티어링 휠 열선 기능과 히터를 켜주는 방식이다.
ID.7을 감싼 위장막은 차세대 디지털 기술을 상징한다고 폭스바겐은 설명했다. 총 40개 층에 걸쳐 완성된 페인트워크 중 일부는 전도성이 있고 일부는 절연성을 갖췄다고 한다. 총 22구역으로 구분된 이 위장막은 각 구역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가장 바깥층 페인트 안쪽에는 전기가 공급돼 외부로 빛을 낸다. 사운드 시스템과 연동하면 리듬에 따라 22개 개별 영역이 가기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ID.패밀리 디자인 언어를 계승한다. 차체 외부 공기 흐름을 고려해 다른 ID. 전기차처럼 곡선을 강조한 디자인이 적용됐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활용해 2970mm 길이의 긴 휠베이스를 구현했다고 한다. 폭스바겐 측은 ID.7 양산을 통해 전기차 라인업을 고급 준중형급 차종까지 확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폭스바겐은 적극적인 전동화 모빌리티 계획에 따라 첫 번째 이정표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지속적인 부품과 물류 이슈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에서 50만 대 넘는 ID.패밀리 전기차를 인도했다고 강조했다. ID.7은 ID.3, ID.4, ID.5, ID.6(중국 전용), ID. 버즈 등에 이어 6번째로 선보인 폭스바겐 전기차다. 유럽 판매 모델은 폭스바겐 독일 엠덴 공장에서 생산된다. 엠덴 공장에서 생산되는 MEB 플랫폼 모델은 ID.4에 이어 ID.7이 두 번째다.
동아닷컴 김민범 기자 mbkim@donga.com
ID.패밀리 글로벌 전기차 판매 50만대 돌파
ID.7, 브랜드 첫 세단 전기차… 최대 700km 주행
올해 2분기 양산 모델 공개
조명효과 위장막 통해 차세대 디지털 기술 소개

폭스바겐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3’에 참가해 브랜드 첫 세단 전기차 모델인 ‘ID.7’을 공개한다고 5일 밝혔다. 폭스바겐은 이번에 6년 만에 CES에 참가해 부스를 마련했다.
CES에서 공개되는 ID.7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MEB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모델로 화려한 위장막으로 가려진채 선보였다. ID.7을 감싸고 있는 위장막은 특수 기술과 여러 겹의 도장으로 완성돼 조명효과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 위장막에 적용된 기술은 향후 ID.패밀리 플래그십 모델에 적용될 디지털화의 다음 단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한다. 양산 버전은 올해 2분기 공개 예정이다.

토마스 셰퍼(Thomas Schäfer) 폭스바겐 CEO는 “ID.7을 통해 폭스바겐 전기차 라인업을 확장하게 된다”며 “이 모델은 오는 2026년까지 폭스바겐이 선보일 전기차 10종 중 하나로 브랜드 전동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ID.7을 감싼 위장막은 차세대 디지털 기술을 상징한다고 폭스바겐은 설명했다. 총 40개 층에 걸쳐 완성된 페인트워크 중 일부는 전도성이 있고 일부는 절연성을 갖췄다고 한다. 총 22구역으로 구분된 이 위장막은 각 구역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가장 바깥층 페인트 안쪽에는 전기가 공급돼 외부로 빛을 낸다. 사운드 시스템과 연동하면 리듬에 따라 22개 개별 영역이 가기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폭스바겐은 적극적인 전동화 모빌리티 계획에 따라 첫 번째 이정표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지속적인 부품과 물류 이슈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에서 50만 대 넘는 ID.패밀리 전기차를 인도했다고 강조했다. ID.7은 ID.3, ID.4, ID.5, ID.6(중국 전용), ID. 버즈 등에 이어 6번째로 선보인 폭스바겐 전기차다. 유럽 판매 모델은 폭스바겐 독일 엠덴 공장에서 생산된다. 엠덴 공장에서 생산되는 MEB 플랫폼 모델은 ID.4에 이어 ID.7이 두 번째다.

동아닷컴 김민범 기자 mbkim@donga.com
자동차 인기기사
- 1폭스바겐코리아, 전 차종 출고 중단 이유 ‘삼각대 반사성능’ 때문… 2월 중순 출고 재개
- 2“중꺾마로 재기 노린다”… 현대차, 전기차 설계 기반 ‘신형 코나’ 출시
- 3‘유럽수출 호조’ 르노코리아, 지난해 유럽 역대 최다 수출달성
- 4테슬라, 공격적인 ‘가격 인하’…중국 車업체 견제 목적?
- 5세계 전기차 시장 춘추전국시대…‘1국 1전기차’ 개막
- 6전기차의 배터리 온도 관리법에 대하여
- 7폭스바겐, 국내 全차종 출고 중단… “안전삼각대 리콜”
- 84000만원대 고급 소형 SUV ‘더 뉴 아우디 Q2’ 출격
- 92023년 전기차 보조금 예상?
- 10‘쿠페·픽업트럭 결합’ 아우디의 미래… 액티브스피어 콘셉트 첫선
비즈N 탑기사
- 조희연 “해직교사 특채→화합”…1심은 왜 죄로 봤나
- 진태현·박시은 “아이 떠난 후 눈물…사실 매일 참고 있는 것”
- 폭설 속 달리는 구급차서 ‘새 생명’ 받아낸 소방대원들
- 470만원에 구입한 ‘포켓몬스터 옐로우’ 박살나버린 美 남성
- 공기질이 얼마나 나쁘길래…방콕, 초미세먼지에 재택근무 권고
- “히트곡, 금·석유보다 더 가치”…저스틴 비버, 저작권 2467억원에 매각
- 서현우 “‘유령’ 위해 24㎏ 증량…하루에 6끼 먹어”
- “고은 시집 공급 중단…실천문학 1년 휴간” 윤한룡 대표 사과
- ‘한옥의 아름다움 만끽’ 북촌 설화수의 집, 우수 디자인 선정
- god, 이게 몇 년 만이야?…완전체 화보 공개
- 초고령사회 2년 앞둔 韓 60세 정년 없어지나…55세이상 고용확대 논의
- “거의 다 ‘언팩’ 됐네”…유출된 갤럭시 S23 미리보기
- 삼성전자, 성과급 온도차…반도체 50% vs 생활가전 7%
- “햄버거 아닌 금버거?”…롯데리아發 도미노 인상 이어지나
- ‘난방비 쇼크’…“이미 2배 더 냈는데, 한파에 2월 요금 더 걱정”
- 강남 아파트 평균 매매가 15억대 무너져…1년 전으로 돌아가
- “주말 내내 기다리다 달려왔어요” 은행 30분 일찍 문열자 시민들 “대환영”
- 은행권, 30일부터 영업시간 복원…오전 9시에 문 연다
- “아직 불안”vs“한국 늦어도 너무 늦어”…노마스크 첫날 제주공항 가보니
- ‘푼돈 재테크’ 푹 빠진 MZ세대…“빈병·쇼핑백도 팔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