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만에 日재상륙한 현대차 “전기차로 승부”
이건혁 기자
입력 2022-08-05 03:00:00 수정 2022-08-05 03:21:06
지난달 첫 성적표 60대 판매 그쳐, 日 전기차 인프라 약해 한계 실감
고객체험센터 열어 경험 확산 초점… 현지 아이오닉5 평가 좋아 기대감
도요타 첫 전기차 리콜로 생산중단

일본 시장에 재진출한 현대자동차가 첫 달인 7월 60대를 판매하는 데 그치며 ‘수입차의 무덤’으로 불리는 일본 시장의 높은 벽을 다시 한번 실감했다. 현대차는 다만 일본 내 전기자동차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단기 판매 실적보다는 중장기 관점에서 소비자들에게 보다 친숙한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이다.
4일 일본자동차수입조합(JAIA)의 지난달 수입차 등록 현황에 따르면 현대차는 총 60대가 팔렸다. 현대차는 일본에서 전기차 아이오닉5와 수소차 넥쏘를 판매하고 있다. 판매된 차량은 대부분 아이오닉5로 추정되고 있다.
현대차는 올해 2월 2009년 이후 12년여 만에 일본 승용차 시장 재진출을 발표했다. 5월 사전 예약에 들어갔고, 지난달부터 현지 소비자에게 차량이 인도됐다.
자동차업계에서는 현대차가 일본에서 한 달에 100대 이상은 팔기 어려울 것으로 관측했었다. 일본 소비자들이 수입차에 대한 선호도가 워낙 낮기 때문이다. 지난해 일본에서 판매된 차량 479만 대 중 수입차 비중은 5.4%(26만 대)에 그쳤다. 지난달 일본에서 가장 많이 팔린 수입차 브랜드는 메르세데스벤츠로 3325대다. 시장 규모가 훨씬 작은 한국에서 벤츠 차량은 같은 기간 64%나 많은 5456대가 팔렸다.
현대차는 아이오닉5를 주력으로 내세웠는데 일본 내 전기차 관련 인프라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올해 상반기(1∼6월) 일본에서 판매된 승용차 171만2911대 중 전기차는 1만7780대로, 비중은 1%다. 일본 도요타가 처음 내놓은 양산형 전기차 bZ4X도 5월 판매를 시작한 뒤 6월 말까지 83대만 팔렸다. 이 차량은 급기야 바퀴와 차량을 연결하는 부위의 결함으로 인해 지난달 리콜과 함께 당분간 생산 중단이 결정됐다. 세계 전기차 1위인 미국 테슬라도 일본에서만큼은 월평균 판매량이 1000대에 미치지 못한다.
현대차는 당장의 판매량 증대보다는 소비자들이 전기차를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전기차 시장이 커져야 현대차 판매도 늘어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현대차는 지난달 30일 일본 요코하마에 ‘현대 고객경험센터’를 개관해 전기차는 물론이고 전기차를 통해 바뀔 일상 등을 소개하고 있다. 일본 교토의 택시회사 MK택시와 아이오닉5 50대를 공급하는 계약도 맺었다. 현지 차량 공유 서비스 ‘애니카’와도 협업 중이다. KOTRA는 “일본 소비자들의 경우 가격 외에도 차별화된 가치를 중시한다는 점을 적극 공략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건혁 기자 gun@donga.com
고객체험센터 열어 경험 확산 초점… 현지 아이오닉5 평가 좋아 기대감
도요타 첫 전기차 리콜로 생산중단

일본 시장에 재진출한 현대자동차가 첫 달인 7월 60대를 판매하는 데 그치며 ‘수입차의 무덤’으로 불리는 일본 시장의 높은 벽을 다시 한번 실감했다. 현대차는 다만 일본 내 전기자동차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단기 판매 실적보다는 중장기 관점에서 소비자들에게 보다 친숙한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이다.
4일 일본자동차수입조합(JAIA)의 지난달 수입차 등록 현황에 따르면 현대차는 총 60대가 팔렸다. 현대차는 일본에서 전기차 아이오닉5와 수소차 넥쏘를 판매하고 있다. 판매된 차량은 대부분 아이오닉5로 추정되고 있다.
현대차는 올해 2월 2009년 이후 12년여 만에 일본 승용차 시장 재진출을 발표했다. 5월 사전 예약에 들어갔고, 지난달부터 현지 소비자에게 차량이 인도됐다.
자동차업계에서는 현대차가 일본에서 한 달에 100대 이상은 팔기 어려울 것으로 관측했었다. 일본 소비자들이 수입차에 대한 선호도가 워낙 낮기 때문이다. 지난해 일본에서 판매된 차량 479만 대 중 수입차 비중은 5.4%(26만 대)에 그쳤다. 지난달 일본에서 가장 많이 팔린 수입차 브랜드는 메르세데스벤츠로 3325대다. 시장 규모가 훨씬 작은 한국에서 벤츠 차량은 같은 기간 64%나 많은 5456대가 팔렸다.
현대차는 아이오닉5를 주력으로 내세웠는데 일본 내 전기차 관련 인프라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올해 상반기(1∼6월) 일본에서 판매된 승용차 171만2911대 중 전기차는 1만7780대로, 비중은 1%다. 일본 도요타가 처음 내놓은 양산형 전기차 bZ4X도 5월 판매를 시작한 뒤 6월 말까지 83대만 팔렸다. 이 차량은 급기야 바퀴와 차량을 연결하는 부위의 결함으로 인해 지난달 리콜과 함께 당분간 생산 중단이 결정됐다. 세계 전기차 1위인 미국 테슬라도 일본에서만큼은 월평균 판매량이 1000대에 미치지 못한다.
현대차는 당장의 판매량 증대보다는 소비자들이 전기차를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전기차 시장이 커져야 현대차 판매도 늘어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현대차는 지난달 30일 일본 요코하마에 ‘현대 고객경험센터’를 개관해 전기차는 물론이고 전기차를 통해 바뀔 일상 등을 소개하고 있다. 일본 교토의 택시회사 MK택시와 아이오닉5 50대를 공급하는 계약도 맺었다. 현지 차량 공유 서비스 ‘애니카’와도 협업 중이다. KOTRA는 “일본 소비자들의 경우 가격 외에도 차별화된 가치를 중시한다는 점을 적극 공략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건혁 기자 gun@donga.com
자동차 인기기사
- 1전기차택시 손님들이 많이 하는 질문 Best 5
- 2마세라티 전동화 ‘폴고레’ 출격 준비… 초고성능 계보 잇는다
- 3“야구·축구만큼 흥미진진”… 전기차 경주대회 ‘포뮬러E’, 서울서 피날레
- 4전기차 전용 타이어, 20~30% 비싸도 잘 나갑니다
- 5“한국 전기차도 북미산처럼 세제혜택 달라”…車업계, 美 IRA에 반발
- 6연식 변경에 車값은 수백만원씩 올라… 하반기도 ‘카플레이션’
- 7쏘카 등 공유차 영업구역 규제 개선… 편도이용 요금 내린다
- 8영화 속 ‘카’가 전 세계 1대 뿐인 車로… 포르쉐, 픽사 협업 ‘911 샐리 스페셜’ 공개
- 9침수차 6800대…이런 경우 보험금 못 받는다
- 10일부 사양 추가에 차값 수백만원 ‘껑충’…하반기도 ‘카플레이션’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전기차택시 손님들이 많이 하는 질문 Best 5
- 희망퇴직금 수억원 쥐고… 빅테크서 ‘인생 2막’ 40대 금융인들
- K콘텐츠 바람 타고… K푸드, 중동-북미 입맛도 잡는다
- 전세대출 60%가 청년층…치솟는 이자 부담
- 전기차 전용 타이어, 20~30% 비싸도 잘 나갑니다
- 한전 상반기 14조 적자…‘연간 30조 적자’ 현실화 되나
- “한국 전기차도 북미산처럼 세제혜택 달라”…車업계, 美 IRA에 반발
- “수도권·서울 집값 너도나도 떨어진다”…소비심리 10년 만에 하락전환
- 배너 광고 늘리는 네이버-카카오… 이용자들 “서비스 사용 방해”
- 손보업계 ‘물폭탄’… 차량 침수 피해액 사상최대 1300억원 육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