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제네시스 효과’… 2분기 영업익 58% 늘어 3조 육박
변종국 기자
입력 2022-07-22 03:00:00 수정 2022-07-22 03:08:24
매출도 19% 증가해 36조 달성
반도체 대란에 총 판매량 줄었지만
프리미엄급 판매 호조로 ‘최고 실적’

현대자동차가 2분기(4∼6월) 역대 최고 실적 기록을 갈아 치웠다.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과 부품 수급 불균형 등으로 전체 판매량이 줄었음에도 프리미엄급 차량 판매 호조와 수익성 개선 노력 등에 힘입은 덕분이다.
현대차는 21일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7% 증가한 35조9999억 원,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8% 증가한 2조9798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분기 기준으로는 두 지표 모두 사상 최대치다. 기존 분기 최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지난해 4분기(10∼12월)의 31조265억 원과 2012년 2분기의 2조5372억 원이었다.
올해 2분기 현대차의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은 97만6350대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오히려 5.3% 줄었다. 특히 국내 시장에서는 18만2298대를 판매하는 데 그쳐 작년 같은 기간보다 9.2%나 감소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아이오닉5와 올해 새롭게 출시된 G90 등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및 제네시스 신차의 판매가 호조를 보였지만, 18만2298대만 팔렸다. 해외 판매량도 러시아 등 일부 시장에서의 부진으로 전년 동기보다 4.4% 줄어든 79만4052대를 판매하는 데 그쳤다.
이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기타 부품 수급 문제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주문량이 많았지만 생산라인에서 제대로 소화하지 못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비싼 차량의 판매 비중이 높아진 반면 판매 촉진 비용은 오히려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현대차는 최근 고부가가치 차량인 제네시스와 SUV 중심의 판매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전기자동차를 포함해 ‘값이 비싼’ 친환경차 판매 비중도 높아졌다. 이른바 판매 차량 포트폴리오상 ‘믹스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글로벌 시장 딜러사들에 주던 인센티브를 낮춰 ‘제값 받기’ 전략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기존에 각 딜러에 약 300만 원씩의 인센티브를 주고 고객들에게 자동차 할인을 해주도록 유도했지만, 이를 최근 대폭 줄였다. 현대차 관계자는 “충성 고객들이 많아진 데다 상품성에 대한 좋은 평가가 나오면서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가 증대됐다”고 설명했다.
하반기(7∼12월)는 공급망 위기가 지속되는 것은 물론이고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현실화하면서 자동차 시장 전망은 어두운 편이다. 현대차는 올해 10월 싼타페 하이브리드를 시작으로 아이오닉6, GV60, G80 EV, GV70 EV 등 친환경차 라인업으로 위기를 돌파하겠다는 목표다. 구자용 현대차 IR 담당 전무는 “경기 침체 상황 때문에 자동차 수요가 위축될 수 있지만 SUV와 전기차 등 고객 수요에 부합하는 차종을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변종국 기자 bjk@donga.com
반도체 대란에 총 판매량 줄었지만
프리미엄급 판매 호조로 ‘최고 실적’

현대자동차가 2분기(4∼6월) 역대 최고 실적 기록을 갈아 치웠다.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과 부품 수급 불균형 등으로 전체 판매량이 줄었음에도 프리미엄급 차량 판매 호조와 수익성 개선 노력 등에 힘입은 덕분이다.
현대차는 21일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7% 증가한 35조9999억 원,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8% 증가한 2조9798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분기 기준으로는 두 지표 모두 사상 최대치다. 기존 분기 최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지난해 4분기(10∼12월)의 31조265억 원과 2012년 2분기의 2조5372억 원이었다.
올해 2분기 현대차의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은 97만6350대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오히려 5.3% 줄었다. 특히 국내 시장에서는 18만2298대를 판매하는 데 그쳐 작년 같은 기간보다 9.2%나 감소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아이오닉5와 올해 새롭게 출시된 G90 등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및 제네시스 신차의 판매가 호조를 보였지만, 18만2298대만 팔렸다. 해외 판매량도 러시아 등 일부 시장에서의 부진으로 전년 동기보다 4.4% 줄어든 79만4052대를 판매하는 데 그쳤다.
이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기타 부품 수급 문제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주문량이 많았지만 생산라인에서 제대로 소화하지 못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비싼 차량의 판매 비중이 높아진 반면 판매 촉진 비용은 오히려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현대차는 최근 고부가가치 차량인 제네시스와 SUV 중심의 판매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전기자동차를 포함해 ‘값이 비싼’ 친환경차 판매 비중도 높아졌다. 이른바 판매 차량 포트폴리오상 ‘믹스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글로벌 시장 딜러사들에 주던 인센티브를 낮춰 ‘제값 받기’ 전략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기존에 각 딜러에 약 300만 원씩의 인센티브를 주고 고객들에게 자동차 할인을 해주도록 유도했지만, 이를 최근 대폭 줄였다. 현대차 관계자는 “충성 고객들이 많아진 데다 상품성에 대한 좋은 평가가 나오면서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가 증대됐다”고 설명했다.
하반기(7∼12월)는 공급망 위기가 지속되는 것은 물론이고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현실화하면서 자동차 시장 전망은 어두운 편이다. 현대차는 올해 10월 싼타페 하이브리드를 시작으로 아이오닉6, GV60, G80 EV, GV70 EV 등 친환경차 라인업으로 위기를 돌파하겠다는 목표다. 구자용 현대차 IR 담당 전무는 “경기 침체 상황 때문에 자동차 수요가 위축될 수 있지만 SUV와 전기차 등 고객 수요에 부합하는 차종을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변종국 기자 bjk@donga.com
자동차 인기기사
- 1전기차택시 손님들이 많이 하는 질문 Best 5
- 2마세라티 전동화 ‘폴고레’ 출격 준비… 초고성능 계보 잇는다
- 3“야구·축구만큼 흥미진진”… 전기차 경주대회 ‘포뮬러E’, 서울서 피날레
- 4전기차 전용 타이어, 20~30% 비싸도 잘 나갑니다
- 5“한국 전기차도 북미산처럼 세제혜택 달라”…車업계, 美 IRA에 반발
- 6연식 변경에 車값은 수백만원씩 올라… 하반기도 ‘카플레이션’
- 7쏘카 등 공유차 영업구역 규제 개선… 편도이용 요금 내린다
- 8침수차 6800대…이런 경우 보험금 못 받는다
- 9영화 속 ‘카’가 전 세계 1대 뿐인 車로… 포르쉐, 픽사 협업 ‘911 샐리 스페셜’ 공개
- 10일부 사양 추가에 차값 수백만원 ‘껑충’…하반기도 ‘카플레이션’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전기차택시 손님들이 많이 하는 질문 Best 5
- 희망퇴직금 수억원 쥐고… 빅테크서 ‘인생 2막’ 40대 금융인들
- K콘텐츠 바람 타고… K푸드, 중동-북미 입맛도 잡는다
- 전세대출 60%가 청년층…치솟는 이자 부담
- 전기차 전용 타이어, 20~30% 비싸도 잘 나갑니다
- 한전 상반기 14조 적자…‘연간 30조 적자’ 현실화 되나
- “한국 전기차도 북미산처럼 세제혜택 달라”…車업계, 美 IRA에 반발
- “수도권·서울 집값 너도나도 떨어진다”…소비심리 10년 만에 하락전환
- 배너 광고 늘리는 네이버-카카오… 이용자들 “서비스 사용 방해”
- 손보업계 ‘물폭탄’… 차량 침수 피해액 사상최대 1300억원 육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