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곤 지수 높아요, 자율주행 하세요” 헬스케어車 곧 나온다
김재형 기자
입력 2022-06-24 03:00:00 수정 2022-06-24 03:05:18
현대모비스, 생체신호 분석해 안전운행 돕는 ‘스마트캐빈’ 개발
4개 센서가 심박-뇌파 등 측정, 졸음-음주운전 차단 가능해져
“차량용 헬스케어 시장 선점”
스마트캐빈 제어기가 들어간 현대모비스의 ‘칵핏시스템 엠빅스’는 심전도 센서, 운전자 모니터링 카메라, 멀미 저감 신기술을 통해 운전자의 건강 상태, 주의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
피곤한 몸을 이끌고 운전석에 앉았을 때 내 상태에 꼭 맞는 운전환경이 만들어지고, 심지어 헬스케어 서비스까지 제공받을 수 있다면…. 지금의 기술 개발 속도라면 조만간 그런 차를 갖게 될지도 모른다.
현대모비스는 운전자의 자세와 심박, 뇌파 등 다양한 생체신호를 분석해 안전운행을 돕는 통합제어기 ‘스마트캐빈’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모빌리티 업계에서 여러 생체신호를 통합 분석할 수 있는 전용 제어기를 개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스마트캐빈은 ‘차량 내부 탑승객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똑똑한 제어기’란 뜻이다.
현대모비스는 “안전기술의 관점을 차량 성능 개선이 아니라 탑승객 중심으로 구현한 것”이라는 말로 스마트캐빈을 요약했다.
아직 선행기술 개발 단계라 구체적인 상용화 계획은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업계는 물론이고 미래의 잠재 고객들도 큰 관심을 가질 거란 기대가 나온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차량 내 탑승객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 최적의 주행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이라며 “향후 음주 여부를 감지해 운행을 원천 차단하는 것을 넘어 자동차가 움직이는 건강검진센터로 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마트캐빈은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4개의 센서와 이를 분석하는 통합제어기로 구성돼 있다. 센서는 스티어링휠(심전도)과 귀에 거는 이어셋(뇌파), 3차원(3D) 카메라, 공조장치 등에 부착돼 실시간으로 탑승객의 생체신호를 통합제어기로 전송한다. 통합제어기는 이를 토대로 운전자의 주의력과 건강 상태 등을 판단해 공조장치 제어와 경보 알림 등으로 운전자에게 피드백을 준다.
예를 들어 심전도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스트레스 지수가 높다고 판단되면 주행 모드를 자율주행(또는 주행보조기술)으로 전환할 것을 스피커 음성이나 클러스터 문자로 권유하는 식이다. 차량 내 공조 센서로 이산화탄소 수치가 높다고 판단되면 창문을 개방하거나 외부 순환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심정지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는 응급실로 안내하는 기술로도 진화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이 초기 성장단계인 차량용 헬스케어 시장을 선점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개발하고 있는 헬스케어 신기술을 모빌리티에 접목할 길이 열렸다는 판단에서다. 그동안 자동차 부품업계에서 이례적으로 바이오공학이나 로봇 분야의 전문인력을 확보하고자 했던 것도 차량용 헬스케어 시장 진출을 고려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뇌파 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엠브레인’을 개발해 공공버스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천재승 현대모비스 R&D 부문장(상무)은 “헬스케어 기능을 모빌리티에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한 소프트웨어와 이를 통합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 개발기술이 핵심 경쟁력”이라며 “현대모비스가 독자적으로 확보해 온 생체신호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멀미 예방, 스트레스 관리, 음주운전 차단 같은 다양한 기술로 발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4개 센서가 심박-뇌파 등 측정, 졸음-음주운전 차단 가능해져
“차량용 헬스케어 시장 선점”

피곤한 몸을 이끌고 운전석에 앉았을 때 내 상태에 꼭 맞는 운전환경이 만들어지고, 심지어 헬스케어 서비스까지 제공받을 수 있다면…. 지금의 기술 개발 속도라면 조만간 그런 차를 갖게 될지도 모른다.
현대모비스는 운전자의 자세와 심박, 뇌파 등 다양한 생체신호를 분석해 안전운행을 돕는 통합제어기 ‘스마트캐빈’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모빌리티 업계에서 여러 생체신호를 통합 분석할 수 있는 전용 제어기를 개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스마트캐빈은 ‘차량 내부 탑승객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똑똑한 제어기’란 뜻이다.
현대모비스는 “안전기술의 관점을 차량 성능 개선이 아니라 탑승객 중심으로 구현한 것”이라는 말로 스마트캐빈을 요약했다.
아직 선행기술 개발 단계라 구체적인 상용화 계획은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업계는 물론이고 미래의 잠재 고객들도 큰 관심을 가질 거란 기대가 나온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차량 내 탑승객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 최적의 주행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이라며 “향후 음주 여부를 감지해 운행을 원천 차단하는 것을 넘어 자동차가 움직이는 건강검진센터로 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마트캐빈은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4개의 센서와 이를 분석하는 통합제어기로 구성돼 있다. 센서는 스티어링휠(심전도)과 귀에 거는 이어셋(뇌파), 3차원(3D) 카메라, 공조장치 등에 부착돼 실시간으로 탑승객의 생체신호를 통합제어기로 전송한다. 통합제어기는 이를 토대로 운전자의 주의력과 건강 상태 등을 판단해 공조장치 제어와 경보 알림 등으로 운전자에게 피드백을 준다.
예를 들어 심전도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스트레스 지수가 높다고 판단되면 주행 모드를 자율주행(또는 주행보조기술)으로 전환할 것을 스피커 음성이나 클러스터 문자로 권유하는 식이다. 차량 내 공조 센서로 이산화탄소 수치가 높다고 판단되면 창문을 개방하거나 외부 순환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심정지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는 응급실로 안내하는 기술로도 진화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이 초기 성장단계인 차량용 헬스케어 시장을 선점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개발하고 있는 헬스케어 신기술을 모빌리티에 접목할 길이 열렸다는 판단에서다. 그동안 자동차 부품업계에서 이례적으로 바이오공학이나 로봇 분야의 전문인력을 확보하고자 했던 것도 차량용 헬스케어 시장 진출을 고려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뇌파 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엠브레인’을 개발해 공공버스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천재승 현대모비스 R&D 부문장(상무)은 “헬스케어 기능을 모빌리티에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한 소프트웨어와 이를 통합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 개발기술이 핵심 경쟁력”이라며 “현대모비스가 독자적으로 확보해 온 생체신호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멀미 예방, 스트레스 관리, 음주운전 차단 같은 다양한 기술로 발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자동차 인기기사
- 1전기차택시 손님들이 많이 하는 질문 Best 5
- 2‘6억 람보르기니’ 침수차 당근마켓 등장…“장식용, 100만원”
- 3공급부족으로 수입차 부진에도…중국차는 ‘쑥쑥’
- 4연식 변경에 車값은 수백만원씩 올라… 하반기도 ‘카플레이션’
- 5‘MINI 레솔루트 에디션’ 온라인 한정판 출시
- 6전기 스포츠카 ‘폴스타 6’ 2026년 양산 확정… 내달 사전 예약 실시
- 7韓전기차 美 판매 ‘비상’… 보조금 1000만원 끊겼다
- 8‘기아 보이즈’ 뭐길래…美서 현대차-기아차 노린 ‘틱톡 절도 놀이’ 확산
- 9침수차 6800대…이런 경우 보험금 못 받는다
- 10한국타이어, “다이나프로 HPX, 최강의 SUV 제품”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전기차택시 손님들이 많이 하는 질문 Best 5
- “수도권·서울 집값 너도나도 떨어진다”…소비심리 10년 만에 하락전환
- 희망퇴직금 수억원 쥐고… 빅테크서 ‘인생 2막’ 40대 금융인들
- 전세대출 60%가 청년층…치솟는 이자 부담
- K콘텐츠 바람 타고… K푸드, 중동-북미 입맛도 잡는다
- 배너 광고 늘리는 네이버-카카오… 이용자들 “서비스 사용 방해”
- 서울 재건축-재개발 풀어 5년간 24만채 공급
- “다 따블, 따따블이에요”…가락시장, 손님도 상인도 ‘울상’
- 통신3사 “갤Z 폴드4·플립4 사전예약 첫날 성적 전작 이상”
- ‘6억 람보르기니’ 침수차 당근마켓 등장…“장식용, 100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