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 1시간 넘자… 등허리 안마기능 작동
김재형 기자
입력 2022-06-23 03:00:00 수정 2022-06-23 03:00:00
‘더 뉴 팰리세이드’ 타보니

주행 시간이 한 시간을 넘어가자 운전석 안마 기능이 작동하며 뭉쳐 있던 등허리 근육을 풀어줬다. 덩치 큰 차량일수록 다른 차로로 이동할 때 더 긴장할 수밖에 없는데 이번 모델은 고속도로 주행보조 2(HDA 2) 기능이 탑재돼 방향지시등만 켜면 자동으로 차로를 변경했다. 좌석에는 발 받침대가 달려 있어 동승했던 친구 한 명은 “항공기 1등석 같다”며 호들갑을 떨었다.
팰리세이드의 부분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로 5월 국내에 출시된 더 뉴 팰리세이드는 외관보다 소프트웨어의 변화가 더 극적으로 와닿는 차였다. 세련된 디자인과 넉넉한 실내 공간으로 국내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과는 달리, 주행 편의성이나 인포테인먼트 면에서 “약간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던 첫 모델의 아쉬움을 보완하고도 남았다.
2018년 12월 처음 출시된 이후 팰리세이드는 돋보이는 디자인에 힘입어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레저용차량(RV)으로 자리매김했다. 팰리세이드는 연간 5만 대 이상을 판매하며 5월 기준 누적 판매량은 19만5526만 대를 달성했다. 판매량(올해 1∼5월 합계량 기준) 비중도 현대차 RV(제네시스 포함) 중 가장 높은 18.36%다.
최근 시승해 본 더 뉴 팰리세이드(3.8L 가솔린 캘리그래피)는 이 첫 모델의 상품성을 한층 더 끌어올리기 위해 주행 편의성과 인포테인먼트 기능 개선에 주안점을 둔 모델이었다. 키 170cm 중후반대의 성인 남성 2명을 태우고 서울서 경남 함양까지 편도 300km 거리를 왕복할 때 소프트웨어적인 면에서 확연히 달라진 주행감이 도드라졌다.
서울을 빠져나가는 도심길에선 한층 더 기능이 고도화한 주행보조기술(ADAS)을 작동시켰다. 중앙 차로 유지와 차간 거리 유지(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기능을 켠 채 20km를 주행하는 동안 10여 대의 차량이 갑작스레 앞으로 끼어들었다. 더 뉴 팰리세이드는 그때마다 별다른 위협감이 들지 않도록 무난히 대응했다.
ADAS 기능은 고속도로 위에서도 빛났다.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ISLA)’ 기능이 탑재돼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을 작동하면 도로제한 속도에 맞춰 알아서 속도를 바꿔 주행했다. 주행 시간 상당수를 페달에 발을 올리지 않고 달릴 수 있었던 이유다. 장거리 운행 시 발로 페달 조작을 하지 않는 게 얼마나 피로감을 덜어주는지, 알 만한 사람은 알 것이다.
큰 차체에도 ‘디지털 룸미러’ 덕분에 넓고 선명한 시야로 후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뒤 공조 장치(에어컨 등)를 한꺼번에 제어할 수 있는 ‘통합 공조 컨트롤’을 비롯해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기능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버튼으로 센터 페이샤를 구성한 점도 눈에 띄었다. 대형 차량으로서는 드물게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기능도 주차의 부담감을 줄여줬다.
이런 기능들은 기존 팰리세이드의 하드웨어적인 장점을 부각시켰다. 고속 주행 시 차체 떨림 없이 부드럽게 치고 나가는 특유의 안정감과 성인 남성 6명이 앉아도 비좁은 감이 들지 않는 넓은 실내 공간 등이 팰리세이드의 매력 포인트로 꼽혔다. 여기에 운전의 편의성을 높인 최첨단 기술과 인포테인먼트 기능이 강화된 좌석과 디스플레이 등이 추가되면서 주행감과 승차감을 동시에 높인 것이다.
오늘날은 차량 평가를 할 때 엔진성능 등 기계적인 요소만 놓고 논하기 어려운 시대다. 더 뉴 팰리세이드는 소프트웨어 기술력이 큰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증명하는 모델인 듯하다. 이 모델의 가격(기본 옵션, 가솔린 3.8 기준)은 익스클루시브 3867만 원, 프레스티지 4431만 원, 캘리그래피 5069만 원이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주행 시간이 한 시간을 넘어가자 운전석 안마 기능이 작동하며 뭉쳐 있던 등허리 근육을 풀어줬다. 덩치 큰 차량일수록 다른 차로로 이동할 때 더 긴장할 수밖에 없는데 이번 모델은 고속도로 주행보조 2(HDA 2) 기능이 탑재돼 방향지시등만 켜면 자동으로 차로를 변경했다. 좌석에는 발 받침대가 달려 있어 동승했던 친구 한 명은 “항공기 1등석 같다”며 호들갑을 떨었다.
팰리세이드의 부분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로 5월 국내에 출시된 더 뉴 팰리세이드는 외관보다 소프트웨어의 변화가 더 극적으로 와닿는 차였다. 세련된 디자인과 넉넉한 실내 공간으로 국내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과는 달리, 주행 편의성이나 인포테인먼트 면에서 “약간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던 첫 모델의 아쉬움을 보완하고도 남았다.
2018년 12월 처음 출시된 이후 팰리세이드는 돋보이는 디자인에 힘입어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레저용차량(RV)으로 자리매김했다. 팰리세이드는 연간 5만 대 이상을 판매하며 5월 기준 누적 판매량은 19만5526만 대를 달성했다. 판매량(올해 1∼5월 합계량 기준) 비중도 현대차 RV(제네시스 포함) 중 가장 높은 18.36%다.
최근 시승해 본 더 뉴 팰리세이드(3.8L 가솔린 캘리그래피)는 이 첫 모델의 상품성을 한층 더 끌어올리기 위해 주행 편의성과 인포테인먼트 기능 개선에 주안점을 둔 모델이었다. 키 170cm 중후반대의 성인 남성 2명을 태우고 서울서 경남 함양까지 편도 300km 거리를 왕복할 때 소프트웨어적인 면에서 확연히 달라진 주행감이 도드라졌다.
서울을 빠져나가는 도심길에선 한층 더 기능이 고도화한 주행보조기술(ADAS)을 작동시켰다. 중앙 차로 유지와 차간 거리 유지(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기능을 켠 채 20km를 주행하는 동안 10여 대의 차량이 갑작스레 앞으로 끼어들었다. 더 뉴 팰리세이드는 그때마다 별다른 위협감이 들지 않도록 무난히 대응했다.
ADAS 기능은 고속도로 위에서도 빛났다.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ISLA)’ 기능이 탑재돼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을 작동하면 도로제한 속도에 맞춰 알아서 속도를 바꿔 주행했다. 주행 시간 상당수를 페달에 발을 올리지 않고 달릴 수 있었던 이유다. 장거리 운행 시 발로 페달 조작을 하지 않는 게 얼마나 피로감을 덜어주는지, 알 만한 사람은 알 것이다.
큰 차체에도 ‘디지털 룸미러’ 덕분에 넓고 선명한 시야로 후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뒤 공조 장치(에어컨 등)를 한꺼번에 제어할 수 있는 ‘통합 공조 컨트롤’을 비롯해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기능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버튼으로 센터 페이샤를 구성한 점도 눈에 띄었다. 대형 차량으로서는 드물게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기능도 주차의 부담감을 줄여줬다.
이런 기능들은 기존 팰리세이드의 하드웨어적인 장점을 부각시켰다. 고속 주행 시 차체 떨림 없이 부드럽게 치고 나가는 특유의 안정감과 성인 남성 6명이 앉아도 비좁은 감이 들지 않는 넓은 실내 공간 등이 팰리세이드의 매력 포인트로 꼽혔다. 여기에 운전의 편의성을 높인 최첨단 기술과 인포테인먼트 기능이 강화된 좌석과 디스플레이 등이 추가되면서 주행감과 승차감을 동시에 높인 것이다.
오늘날은 차량 평가를 할 때 엔진성능 등 기계적인 요소만 놓고 논하기 어려운 시대다. 더 뉴 팰리세이드는 소프트웨어 기술력이 큰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증명하는 모델인 듯하다. 이 모델의 가격(기본 옵션, 가솔린 3.8 기준)은 익스클루시브 3867만 원, 프레스티지 4431만 원, 캘리그래피 5069만 원이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자동차 인기기사
- 1클래식카에 새 생명을 불어넣어줄 전기차 개조
- 2아이오닉 5, 독일서 벤츠·아우디 전기차 제쳤다
- 3“토레스, 무쏘-코란도 정신으로 돌아가는 첫작품… 野性 되찾을것”
- 4더 강하고 더 편안하게… 8년 만에 새 단장 ‘베이비 S클래스’
- 5테슬라에 원통형 동원참치 캔 기술이… 동원시스템즈, 모델3 50만대 규모 ‘배터리 캔’ 공장 증설
- 6테슬라 모델Y 10개월차 유지비
- 7‘5000만원대’ 프리미엄 SUV로 변신… 지프, 새로워진 ‘컴패스’ 국내 출시
- 8현대차 ‘아이오닉 6’ 디자인 최초 공개… “기술과 미학의 감성적 융합”
- 9혼다코리아, ‘혼다 데이 고객초청 골프대회’ 참가자 모집
- 10‘아이오닉6’의 곡선, 바람을 가른다
비즈N 탑기사
- 하니♥양재웅, 열애 인정 “좋은 만남 갖고 있어”
- “조유나양 아버지, 가상화폐 투자 뒤 큰 손해”
- “젖병에 꽁초 가득”…담뱃값 경고 그림, 더 끔찍하게 바꾼다
- “이걸 두고 월북을?”…서해 공무원측 ‘무궁화10호’ 방수복 공개
- 바이든, 자전거 타다 ‘꽈당’… 몸상태 묻자 ‘깡충깡충’
- “수험생 공부 중입니다”…尹자택 앞 맞불집회 이틀째 현수막 내걸려
- “한국인과 너무 닮아, 가슴철렁” 필리핀서 땅콩파는 코피노 소년
- 마지막 ‘버핏과의 점심’ 경매, 59억원 기록 깰까
- “71년前 태극기 건네준 한국 해병전우 찾습니다”
- 96세 英여왕 “국민 계속 섬길것” 재위 의지
- 클래식카에 새 생명을 불어넣어줄 전기차 개조
- 감정가 20억 웃돈에도 “없던 일로”…용산 상가 경매서 무슨 일?
- “월 10만원 저축하면 3년뒤 1440만원”…청년내일저축계좌 18일부터 신청
- 로봇 대중화 시대 성큼… “구독하고 보험도 들어요”
- 한전-LH 등 公기관 14곳 ‘재무위험’ 지정
- 500대 기업 28% “하반기 투자, 상반기보다 줄일것”
- 아이오닉 5, 독일서 벤츠·아우디 전기차 제쳤다
- [고준석의 실전투자]집주인, 벽의 실금까지는 안 고쳐줘도 된다
- 더 강하고 더 편안하게… 8년 만에 새 단장 ‘베이비 S클래스’
- 다시 열린 김포~하네다… “경제-문화 교류도 열리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