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車, 지난달 美판매량 역대 최대… “SUV 중심전략 먹혔다”
서형석 기자
입력 2021-04-05 03:00:00 수정 2021-04-05 10:29:10
작년 3월과 비교해 115% 증가
기아도 6만6523대 팔며 상승세
현대자동차그룹이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를 2일(현지 시간) 중국 시장에 본격 선보였다. 제네시스는 이날 중국 상하이
국제크루즈터미널에서 제네시스 출범 행사 ‘제네시스 브랜드 나이트’를 통해 세단 ‘G80’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GV80’를 소개했다. 제네시스 제공
세계 주요 완성차 업체의 격전지로 꼽히는 미국에서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판매 성장세가 주목받고 있다. 과거 소형 세단 등 특정 차종 위주였던 미국 내 판매가 현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중심으로 다양한 차종에서 이뤄지면서 브랜드 인지도와 판매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일(현지 시간)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법인 집계에 따르면 3월 현대차의 미국 판매량은 7만5403대(제네시스 제외), 기아의 미국 판매량은 6만6523대였다. 지난해 3월과 비교하면 각각 114.7%, 46.5% 판매량이 늘었다. 특히 현대차는 월간 기준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지난해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미 완성차 시장이 침체됐던 걸 감안해도 현대차·기아의 판매 증가는 이례적인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지난해 3월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전년 동월 대비 42.5%, 18.6% 줄었다.
특히 현대차 측은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된 ‘소매 판매’ 기준으로 판매량이 153% 늘어난 걸 고무적으로 본다. 직접 대리점과 온라인을 찾아 현대차를 고른 소비자가 법인 고객보다 증가 폭이 크다는 뜻이다. 그만큼 현대차 브랜드에 대한 평가가 향상됐다는 의미다.
현대차그룹의 북미 시장 성장을 주도한 건 단연 SUV다. 현대차는 대형 SUV 팰리세이드(9184대)와 소형 SUV 코나(1만416대)가 월간 미국 판매 최다 기록을 세웠다. 스테디셀러인 투싼(1만5744대), 싼타페(1만1538대)도 선전했다. 기아는 소형 SUV 셀토스(6497대)가 월간 미국 판매 최다 기록을 갈아 치웠다. 중형 SUV 스포티지, 대형 SUV 텔루라이드도 판매가 1년 전보다 75.9%, 66.7% 늘었다.
소형부터 대형까지 SUV에서 모두 인기를 끄는 점은 미국 시장에서 고무적이다. 아시아, 유럽에 비해 미국 소비자들은 일상생활 전반에서 자가용 이용이 잦다. 이를 겨냥해 현대차는 세단 못지않은 정숙성과 세련된 디자인, 많은 짐을 실을 수 있는 SUV를 소형부터 대형까지 여러 차종 선보였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평소 해외 시장과 관련해 “현지 소비자들의 시선에 맞춘 차종을 선보여야 한다”며 경쟁력 있는 SUV 출시를 독려하고 있다. 랜디 파커 현대차 미국법인 부사장은 “강력한 소비자 신뢰도, 안정적인 재고, 매력적인 제품군, 소비자의 관심을 끄는 광고, 딜러들의 노력 덕분”이라며 “투싼 신모델 출시로 시장 점유율을 더 늘려나갈 것”이라고 기대했다.
3월 선전에 힘입어 현대차그룹 1분기(1∼3월) 미국 내 실적 성장세도 경쟁 회사를 앞질렀다.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를 모두 더한 1분기 미국 판매량은 33만4902대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2.8% 증가했다. 미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의 3.7%, 0.6%는 물론 일본 도요타(21.6%) 혼다(16.2%)도 앞지른 성장세다. 판매량으로도 혼다와의 격차를 1만 대 초반 수준으로 줄였다.
현대차그룹은 제네시스를 2일(현지 시간) 중국 시장에 공식 출시했다. 현대차·기아의 중국 판매가 부진한 가운데, 고급차를 선호하는 중국 소비자를 겨냥해 제네시스를 내놓으며 중국 내 위상 회복에 나섰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시장은 코로나19로 연간 신차 판매가 2019년보다 6.1% 줄었지만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BMW, 일본 렉서스는 2019년보다 각각 10% 넘게 판매를 늘리며 고급차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서형석 기자 skytree08@donga.com
기아도 6만6523대 팔며 상승세

세계 주요 완성차 업체의 격전지로 꼽히는 미국에서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판매 성장세가 주목받고 있다. 과거 소형 세단 등 특정 차종 위주였던 미국 내 판매가 현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중심으로 다양한 차종에서 이뤄지면서 브랜드 인지도와 판매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일(현지 시간)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법인 집계에 따르면 3월 현대차의 미국 판매량은 7만5403대(제네시스 제외), 기아의 미국 판매량은 6만6523대였다. 지난해 3월과 비교하면 각각 114.7%, 46.5% 판매량이 늘었다. 특히 현대차는 월간 기준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지난해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미 완성차 시장이 침체됐던 걸 감안해도 현대차·기아의 판매 증가는 이례적인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지난해 3월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전년 동월 대비 42.5%, 18.6% 줄었다.

현대차그룹의 북미 시장 성장을 주도한 건 단연 SUV다. 현대차는 대형 SUV 팰리세이드(9184대)와 소형 SUV 코나(1만416대)가 월간 미국 판매 최다 기록을 세웠다. 스테디셀러인 투싼(1만5744대), 싼타페(1만1538대)도 선전했다. 기아는 소형 SUV 셀토스(6497대)가 월간 미국 판매 최다 기록을 갈아 치웠다. 중형 SUV 스포티지, 대형 SUV 텔루라이드도 판매가 1년 전보다 75.9%, 66.7% 늘었다.
소형부터 대형까지 SUV에서 모두 인기를 끄는 점은 미국 시장에서 고무적이다. 아시아, 유럽에 비해 미국 소비자들은 일상생활 전반에서 자가용 이용이 잦다. 이를 겨냥해 현대차는 세단 못지않은 정숙성과 세련된 디자인, 많은 짐을 실을 수 있는 SUV를 소형부터 대형까지 여러 차종 선보였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평소 해외 시장과 관련해 “현지 소비자들의 시선에 맞춘 차종을 선보여야 한다”며 경쟁력 있는 SUV 출시를 독려하고 있다. 랜디 파커 현대차 미국법인 부사장은 “강력한 소비자 신뢰도, 안정적인 재고, 매력적인 제품군, 소비자의 관심을 끄는 광고, 딜러들의 노력 덕분”이라며 “투싼 신모델 출시로 시장 점유율을 더 늘려나갈 것”이라고 기대했다.
3월 선전에 힘입어 현대차그룹 1분기(1∼3월) 미국 내 실적 성장세도 경쟁 회사를 앞질렀다.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를 모두 더한 1분기 미국 판매량은 33만4902대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2.8% 증가했다. 미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의 3.7%, 0.6%는 물론 일본 도요타(21.6%) 혼다(16.2%)도 앞지른 성장세다. 판매량으로도 혼다와의 격차를 1만 대 초반 수준으로 줄였다.
현대차그룹은 제네시스를 2일(현지 시간) 중국 시장에 공식 출시했다. 현대차·기아의 중국 판매가 부진한 가운데, 고급차를 선호하는 중국 소비자를 겨냥해 제네시스를 내놓으며 중국 내 위상 회복에 나섰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시장은 코로나19로 연간 신차 판매가 2019년보다 6.1% 줄었지만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BMW, 일본 렉서스는 2019년보다 각각 10% 넘게 판매를 늘리며 고급차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서형석 기자 skytree08@donga.com
자동차 인기기사
- 1대변혁 기아 첫 신차 ‘K8’ 출시… “미래 드라이빙 경험을 미리 만난다”
- 2볼보, ‘안전의 대명사’ 위상 재입증… 美 안전도평가서 최다 차종 최고등급
- 3DS, 신세계 아울렛 4개점에 팝업스토어 운영
- 4반도체 대란에 車업계 ‘셧다운’ 현실화… 현대차도 생산 차질
- 5BMW ‘520i M 스포츠 패키지’ 공식 출시…6550만원
- 6쌍용차, 경쟁력 높인 리스펙 코란도·티볼리 출시
- 7[단독]차량용 반도체 부족에…대만 바라보는 정부, 물량 확보 ‘난항’
- 8‘페라리 로마’ 부산서 첫 공개
- 980년 역사 ‘원조 SUV’, 단단함에 안정감 더해져
- 10[시승기]韓 고급 세단의 자존심을 지킨다…제네시스 3세대 G80
비즈N 탑기사
- “호주 여행가자” 거짓말, 인도 여성 데려와 8년간 노예로 부린 부부
- “팔 좀 놔 달라”던 김태현…범죄심리전문가 “아, 이건 좀 심하다”
- 구미 3세 여아 사망 김씨 아버지 “언론이 애를 둘로 만들었다”
- 박미선 “183㎝ 아들, 연기하고 싶어해…잘 됐으면”
- 괴롭힘 당했던 강다니엘 “가해자 학부모들, 뭐가 문제인지 모른다”
- 개학 후 한 달 간 62개교서 확진자 발생…유은혜 “13~18세 확진자 증가”
- 美 법대생들, 바이든에 편지 “스가 위안부 문제 사과·배상해야”
- 블룸버그 “코로나 이후 세계경제 성장 중국이 주도한다”
- ‘싱글맘’ 박연수, 훌쩍 큰 송지아·지욱 남매 생일이벤트에 “대성통곡”
- 日 국민 약 60% “스가 총리 연임하지 말아야”
- 국민연금, 국내주식 이탈범위 1%P 늘린다…즉시 시행
- “앱 켜는 0.001초의 순간, 당신의 개인정보가 팔려나간다”
- “美상장 비용, 한국의 최대 10배”… ‘대어’ 낚시 나선 거래소
- [단독]SK텔레콤, 지배구조 개편 가속도… 14일경 대외 공식화 예정
- 유통가 ‘최저가 전쟁’ 불붙어… 이마트 “타사보다 비싸면 보상”
- 백화점 3社, 3월 매출 껑충… 코로나 확산 이전보다 더 올랐다
- 대변혁 기아 첫 신차 ‘K8’ 출시… “미래 드라이빙 경험을 미리 만난다”
- [정충진의 경매 따라잡기]권리분석 앞서 ‘시세 조사’ 능력 키워야
- 코로나에 지갑 닫아… 가계지출 최대폭 감소
- 3월 경매 낙찰가율 82.6% ‘역대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