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자동차 생산·수출 ‘증가’…일본 수입차 판매 전월比 32%↓
뉴시스
입력 2019-08-15 11:06:00 수정 2019-08-15 11:06:53
자동차 35만9554대 생산…전년比 17.4%↑
유럽·북미지역 판매 호조로 수출 11.6%↑
도요타·렉서스 등 일본 수입차 판매 급감

올해 7월 국내 자동차 생산과 수출이 지난해와 비교해 늘었다. 내수 판매의 경우 수출규제 이후 일본 수입차 판매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국내 자동차 산업동향’을 보면 지난달 생산된 자동차는 35만9554대로 전년 대비 17.4% 증가했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큰 증가 폭이다.
특히 현대와 기아의 자동차 생산이 각각 41.4%, 10.7% 늘었다. 신차 효과와 수출 호조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반대로 한국지엠과 쌍용의 자동차 생산은 각각 12.6%, 15.7% 감소했다. 르노삼성도 로그(닛산 OEM 수출)의 해외 판매 부진으로 4.1% 줄었다.
올해 7월 자동차 수출은 전년 대비 11.6% 늘어난 21만5927대로 집계됐다. 금액 기준으로는 21.6% 증가한 28억2000만달러어치를 수출했다. 북미와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친환경차 판매가 호조세를 보였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역별로 보면 EU(37.8%), 동유럽(33.7%), 북미(23.2%), 오세아니아(29.0%), 중동(24.3%), 아시아(5.0%)에 대한 수출이 늘었다. 반면 중남미(-7.6%), 아프리카(38.8%)는 줄었다.
같은 기간 자동차 내수 판매는 전년 대비 2.4% 줄어든 15만1091대로 집계됐다. 도요타·렉서스·혼다 등 수입차 판매는 32.2% 감소했다. 국산차 판매도 2.0% 줄었다.
특히 일본 브랜드 수입차의 경우 지난달 2674대가 팔렸다. 이는 전년 대비 17.2% 감소한 수치다. 지난달과 비교하면 32.2% 급감했다. 지난달 1일 일본이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를 발표한 이후 소비심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7월 친환경차 내수 판매량는 전년 대비 23.0% 증가한 1만2421대로 집계됐다. 보조금, 세제 혜택 등 정부의 친환경차 보급 정책이 확대되면서 내수 판매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주요 모델로는 하이브리드차의 경우 그랜저(2289대), 니로(1836대), 신형 K7(1546대) 순으로 많이 판매됐다. 전기차인 코나와 수소차인 넥쏘도 각각 1528대, 352대의 판매 실적을 냈다. 친환경차 내수 실적은 전체 승용차 내수 판매에서 9.7%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친환경차 수출은 102.3% 늘어난 2만6063대이다. 이는 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이다. 북미와 유럽 등을 중심으로 전차종에서 고른 실적을 냈다.
올해 7월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1.9% 늘어난 20억6000만 달러이다.
【서울=뉴시스】
유럽·북미지역 판매 호조로 수출 11.6%↑
도요타·렉서스 등 일본 수입차 판매 급감

올해 7월 국내 자동차 생산과 수출이 지난해와 비교해 늘었다. 내수 판매의 경우 수출규제 이후 일본 수입차 판매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국내 자동차 산업동향’을 보면 지난달 생산된 자동차는 35만9554대로 전년 대비 17.4% 증가했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큰 증가 폭이다.
특히 현대와 기아의 자동차 생산이 각각 41.4%, 10.7% 늘었다. 신차 효과와 수출 호조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반대로 한국지엠과 쌍용의 자동차 생산은 각각 12.6%, 15.7% 감소했다. 르노삼성도 로그(닛산 OEM 수출)의 해외 판매 부진으로 4.1% 줄었다.
올해 7월 자동차 수출은 전년 대비 11.6% 늘어난 21만5927대로 집계됐다. 금액 기준으로는 21.6% 증가한 28억2000만달러어치를 수출했다. 북미와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친환경차 판매가 호조세를 보였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역별로 보면 EU(37.8%), 동유럽(33.7%), 북미(23.2%), 오세아니아(29.0%), 중동(24.3%), 아시아(5.0%)에 대한 수출이 늘었다. 반면 중남미(-7.6%), 아프리카(38.8%)는 줄었다.
같은 기간 자동차 내수 판매는 전년 대비 2.4% 줄어든 15만1091대로 집계됐다. 도요타·렉서스·혼다 등 수입차 판매는 32.2% 감소했다. 국산차 판매도 2.0% 줄었다.
특히 일본 브랜드 수입차의 경우 지난달 2674대가 팔렸다. 이는 전년 대비 17.2% 감소한 수치다. 지난달과 비교하면 32.2% 급감했다. 지난달 1일 일본이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를 발표한 이후 소비심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7월 친환경차 내수 판매량는 전년 대비 23.0% 증가한 1만2421대로 집계됐다. 보조금, 세제 혜택 등 정부의 친환경차 보급 정책이 확대되면서 내수 판매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주요 모델로는 하이브리드차의 경우 그랜저(2289대), 니로(1836대), 신형 K7(1546대) 순으로 많이 판매됐다. 전기차인 코나와 수소차인 넥쏘도 각각 1528대, 352대의 판매 실적을 냈다. 친환경차 내수 실적은 전체 승용차 내수 판매에서 9.7%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친환경차 수출은 102.3% 늘어난 2만6063대이다. 이는 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이다. 북미와 유럽 등을 중심으로 전차종에서 고른 실적을 냈다.
올해 7월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1.9% 늘어난 20억6000만 달러이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11월 극장에 무슨 일 있었나…1860만명 관람 역대 최고
- 비둘기 머리에 카우보이 모자 씌운 건 누구?
- ‘마약 혐의’ 홍정욱 딸 집행유예…法 “처벌 전력 없어”
- 교총 회장 “문재인 정부 교육정책 C학점…잘한 게 없다”
- 서울교대 ‘단톡방 성희롱’ 교사·재학생 징계 불복
- “바닥에 고인물 닦던 중 감전”…인천 헬스클럽 직원 부상
- 워너원 1명, 떨어질 멤버가 붙었다 ‘충격’…‘프듀’ 모든 시즌 투표 조작
- 조현병 환자 범죄율 낮지만 살인 비율은 일반인의 5배
- ‘유승준 비자소송’ 다시 대법으로… 주LA 총영사관, 재상고장 제출
- 익스 출신 이상미, 엄마 된다…“임신 20주차, 태교에 전념”
- 작지만 강하다, 도심 주행도 폭발적 가속력
- 육회가 Six Times?…외국어 메뉴판 만들기 쉬워졌다
- 소형 전기 트럭 시대 열렸다! 현대차, ‘포터II 일렉트릭’ 출시
- 세수 작년보다 3조 줄어… 재정적자 역대 최대
- 취업자 넉 달째 30만↑…역대급 고용률에도 40대만 ‘꽁꽁’(종합)
- 포드 내부자들, “변속기 결함 알고도 팔아” 폭로… 2011년부터 은폐 의혹
- ‘초대형’ 덩치로… 신세계百, 지역상권 지배하다
- ‘조개 중 으뜸’ 새조개 대량생산 ‘활짝’…치패 생산량 10배 높여
- 文정부 들어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평균 40% ‘폭증’
- 명동-홍대앞 텅 빈 점포 “권리금 없습니다”… 전통상권까지 불황 한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