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고령자, 스트레스 적고 가족관계 만족…“자녀 함께 안 살아도 돼”
뉴스1
입력 2023-09-26 13:45 수정 2023-09-26 13:47

일하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일하지 않는 고령자보다 스트레스가 적고 가족관계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일하는 고령자 중 향후 자녀와 동거를 희망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이들의 비율은 비취업 고령자보다 높았다.
통계청은 2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3 고령자 통계’를 발표했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 취업자 수는 326만5000명이며 고용률은 36.2%다. 10년 전인 2012년 당시 고령자 고용률(30.1%)보다 6.1%포인트(p) 상승했다. 65세 이상 비취업자 수는 576만2000명으로 전체 고령자의 63.8%이다.
우리나라의 고령자 고용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21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65세 이상 평균 고용률이 15%를 상회하는 나라는 한국(34.9%), 일본(25.1%), 스웨덴(19.2%), 미국(18%) 등 11개국뿐이다.


일하는 고령자가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낀다는 비중은 34.4%로, 비취업 고령자(36.4%)보다 2%p 낮았다.
또 일하는 고령자는 전반적인 가족관계, 배우자와의 관계, 자녀와의 관계에서 모두 비취업 고령자보다 만족하는 편이었다.
2021년 기준 일하는 고령자의 77.4%는 자녀와 같이 살고 있지 않았다. 비취업 고령자(70.7%)보다 6.7%p 높았다.
또 일하는 고령자 중 81.9%는 향후 자녀와 동거를 희망하지 않았다. 비취업 고령자는 72.9%가 같은 답변을 했다.
일하는 고령자의 소득 및 소비 만족도는 각각 20.7%, 13.9%였다. 비취업 고령자보다 각각 7.8%p, 4%p 높다.
아울러 일하는 고령자의 68.1%가, 비취업 고령자의 51.4%가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하는 고령자가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은 취미(36.1%), 여행·관광(25.4%), 소득 창출(21.3%) 순으로 높았다. 비취업 고령자는 취미(45.1%), 여행·관광(26.3%), 종교 활동(10.1%) 순이었다.
(세종=뉴스1)
비즈N 탑기사
- 이강인의 인기에 음바페도 ‘한글 유니폼’ 입고 뛰었다…‘파리 들썩’
- 빚 1억 남기고 실종 지적장애 男, 방송 직전에 극적 발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전국 미분양 10개월 만에 6만채 밑으로… “시장 침체에 분양 자체 줄어”
- “전세금 떼일라” 빌라 기피… 내년초 서울 입주 416채 역대최소
- 한동훈 “전세사기 저지르면 20년은 감옥 가게 될 것”
- ‘0원 요금’ 약발 끝났다…알뜰폰 18만명 번호 대이동
- 재건축 갈등 대처, 위법 여부 꼼꼼히 따져야[부동산 빨간펜]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PF 경색-미분양 우려… 올해 오피스텔 분양, 지난해의 ‘반토막’
- 실시간 여행지 정보 플랫폼 ‘메타라이브’, 겨울 필수 여행지 인증샷 이벤트 진행
- 제주드림타워 복합리조트, 11월 호텔 실적 전년比 17%↑… 외국인 비중 ‘10%→60%’
- 페북·인스타 ‘인증배지’ 월 3만5900원…한국에도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