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고용시장 ‘대졸 요건’ 점점 사라져… 구글-델타-IBM 등 주도
이채완 기자
입력 2022-11-28 03:00:00 수정 2022-11-28 03:00:00
WSJ “美 구인 규모, 구직자 2배
코로나 후 학위요구 공고 5%P↓”
메릴랜드 등 지방정부도 동참

노동자 부족이 심각한 미국 고용 시장에서 ‘4년제 대학 졸업’이라는 학력 요건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글, IBM, 월마트, 델타항공 등 미 대기업이 학력 조건을 완화하고 ‘기술’과 ‘경험’에 의존하는 채용을 주도하고 있다.
26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싱크탱크 버닝글라스 연구소를 인용해 올 11월 기준 전체 채용 공고 중 대학 졸업 이상의 학위를 요구하는 공고의 비중이 41.4%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초 46.5%에 비해 5.1%포인트 낮은 수치다.
이는 미국 내에서 구인 규모가 구직 규모를 크게 앞지르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고 WSJ는 분석했다. 올 9월 미국의 구인 공고는 총 1070만 건으로 구직자 수(580만 명)의 약 2배에 육박했다.
IBM은 최근 새롭게 고용하는 대부분의 일자리에서 “4년제 학위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델타항공 역시 올 초 조종사에 대한 학력 요건을 완화하며 “4년제 대학 학위를 선호하지만 필수는 아니다”라고 공개했다.
구글은 아예 온라인으로 대학을 대체하는 사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디지털 마케팅,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해 현재까지 미국 내에서 10만 명 이상이 수료했다. 구글 외 약 150개의 기업이 신입 사원을 대상으로 비슷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미 최대 민간 고용 사업자인 월마트도 마찬가지다. 캐슬린 매클로플린 수석 부사장은 “미국 내 매장 관리자의 75%가 시간제 일자리에서 경력을 시작했다”며 졸업장보다 업무 경험을 통해 얻은 기술과 지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장 업무는 물론이고 사무직 채용에서도 점차 학위를 요구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민간 기업뿐 아니라 지방정부 등 공공기관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다. 메릴랜드주 정부는 대졸 요건을 없애고 고졸자 채용을 늘리고 있다.
래리 호건 주지사가 올 3월 “모든 일자리에 대한 학위 요건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힌 후부터다. 이에 따라 올 5∼8월 채용된 주 공무원 중 4년제 대학 학위 없이 채용된 인원이 1년 전보다 41% 늘었다.
미국 비영리단체 ‘일자리에서 기회를’의 브리지트 그레이 최고고객책임자는 WSJ에 “대학은 신분 상승을 위한 명백한 길이지만 유일한 길이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채완 기자 chaewani@donga.com
코로나 후 학위요구 공고 5%P↓”
메릴랜드 등 지방정부도 동참

노동자 부족이 심각한 미국 고용 시장에서 ‘4년제 대학 졸업’이라는 학력 요건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글, IBM, 월마트, 델타항공 등 미 대기업이 학력 조건을 완화하고 ‘기술’과 ‘경험’에 의존하는 채용을 주도하고 있다.
26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싱크탱크 버닝글라스 연구소를 인용해 올 11월 기준 전체 채용 공고 중 대학 졸업 이상의 학위를 요구하는 공고의 비중이 41.4%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초 46.5%에 비해 5.1%포인트 낮은 수치다.
이는 미국 내에서 구인 규모가 구직 규모를 크게 앞지르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고 WSJ는 분석했다. 올 9월 미국의 구인 공고는 총 1070만 건으로 구직자 수(580만 명)의 약 2배에 육박했다.
IBM은 최근 새롭게 고용하는 대부분의 일자리에서 “4년제 학위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델타항공 역시 올 초 조종사에 대한 학력 요건을 완화하며 “4년제 대학 학위를 선호하지만 필수는 아니다”라고 공개했다.
구글은 아예 온라인으로 대학을 대체하는 사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디지털 마케팅,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해 현재까지 미국 내에서 10만 명 이상이 수료했다. 구글 외 약 150개의 기업이 신입 사원을 대상으로 비슷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미 최대 민간 고용 사업자인 월마트도 마찬가지다. 캐슬린 매클로플린 수석 부사장은 “미국 내 매장 관리자의 75%가 시간제 일자리에서 경력을 시작했다”며 졸업장보다 업무 경험을 통해 얻은 기술과 지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장 업무는 물론이고 사무직 채용에서도 점차 학위를 요구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민간 기업뿐 아니라 지방정부 등 공공기관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다. 메릴랜드주 정부는 대졸 요건을 없애고 고졸자 채용을 늘리고 있다.
래리 호건 주지사가 올 3월 “모든 일자리에 대한 학위 요건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힌 후부터다. 이에 따라 올 5∼8월 채용된 주 공무원 중 4년제 대학 학위 없이 채용된 인원이 1년 전보다 41% 늘었다.
미국 비영리단체 ‘일자리에서 기회를’의 브리지트 그레이 최고고객책임자는 WSJ에 “대학은 신분 상승을 위한 명백한 길이지만 유일한 길이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채완 기자 chaewani@donga.com
비즈N 탑기사
- 조희연 “해직교사 특채→화합”…1심은 왜 죄로 봤나
- 진태현·박시은 “아이 떠난 후 눈물…사실 매일 참고 있는 것”
- 폭설 속 달리는 구급차서 ‘새 생명’ 받아낸 소방대원들
- 470만원에 구입한 ‘포켓몬스터 옐로우’ 박살나버린 美 남성
- 공기질이 얼마나 나쁘길래…방콕, 초미세먼지에 재택근무 권고
- “히트곡, 금·석유보다 더 가치”…저스틴 비버, 저작권 2467억원에 매각
- 서현우 “‘유령’ 위해 24㎏ 증량…하루에 6끼 먹어”
- “고은 시집 공급 중단…실천문학 1년 휴간” 윤한룡 대표 사과
- ‘한옥의 아름다움 만끽’ 북촌 설화수의 집, 우수 디자인 선정
- god, 이게 몇 년 만이야?…완전체 화보 공개
- 10억 넘던 송도·청라 아파트 ‘반토막’ 거래 속출
- 지난해 수입 김치 100% ‘중국산’…다시 식탁 점령
- ‘얼죽아’들 모여라… 스타벅스, 5일간 아이스 아메리카노 사이즈업
- 파스타 삶는 셰프봇, 나르는 서빙봇… 日일손 부족에 로봇 확산[글로벌 현장을 가다]
- 초고령사회 2년 앞둔 韓 60세 정년 없어지나…55세이상 고용확대 논의
- ‘패션 1번지’ 파리서 날아오른 ‘K패션’
- 인터넷은행도 대출금리 줄줄이 인하
- 2년반만의 역성장…올해 1% 성장도 위태
- 삼성전자, 성과급 온도차…반도체 50% vs 생활가전 7%
- “햄버거 아닌 금버거?”…롯데리아發 도미노 인상 이어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