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에 3월 휘발유·경유 소비량 줄었다…“4월엔 더 감소”
뉴스1
입력 2022-05-20 06:18:00 수정 2022-05-20 09:39:02

고유가 여파로 국내 소비자들의 휘발유·경유 소비량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에 따르면 지난 3월 국내 휘발유·경유 합계 소비량은 1842만4000배럴로 2월 소비량(1849만2000배럴)보다 6만8000배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3월 날짜가 2월보다 3일 많기 때문에 3월 소비량이 2월보다 많은 것이 통상적인데 이례적으로 감소한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전인 2018년, 2019년은 물론 2020년, 2021년에도 3월 소비량이 2월 소비량보다 많았다.
하루 소비량을 따지면 소비가 줄었다는 것이 더 명확해진다. 3월 하루 평균 소비량은 59만4323배럴로 2월 소비량(66만429배럴)보다 10% 감소했다.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제도가 시행되던 지난해 3월 하루 평균 소비량(63만1032배럴)보다도 3만6709만배럴 준 규모다. 올해 1월 하루 평균 소비량은 70만9548만배럴로 지난해 1월 소비량(61만6000배럴)을 9만배럴 많았다.
국내 석유제품 가격 급등이 소비량 감소의 주 원인으로 풀이된다. 3월 휘발유와 경유 평균 가격은 각각 리터(L)당 1938.46원, 1826.93원으로 2월보다 각각 223.85원, 290.29원 올랐다.
업계에선 4월 소비량은 3월보다 더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각각 1976.53원, 1906.42원으로 더 오른데다 이달 1일 시행된 유류세 추가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소비자들이 유류 소비를 줄였을 것이란 관측이다.
1분기 수출이 정유사들 실적을 견인했던 만큼 국내 소비량 감소가 정유사들의 2분기 실적에는 큰 변수로 작용하지 않을것으로 전망된다.
3월 휘발유·석유 합계 수출량은 2542만배럴로 2월(2460만배럴)보다 3.3% 늘어나는데 그쳤지만 금액으로는 3억3453만달러로 2월(2억6669만달러)보다 25.4% 늘었다. 국제 석유제품 가격 인상 효과를 본 것이다. 전년 동기(1억8253만달러)와 비교하면 83.3% 늘어난 규모다.
러시아 제재에 따른 경유 공급 차질 현상, 미국의 ‘드라이빙 시즌’ 시작, 해외 여행 회복에 따른 항공유 수요 증가 등으로 고유가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유사들의 손익지표인 정제마진도 지난 3월4째주 배럴당 13.87달러를 기록한 뒤 5월2째주 24.2달러까지 오르며 신기록 행진을 이어갔다. 5월3째주 20.06달러로 떨어졌지만 손익분기점(4~5달러)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6월부터는 추가 마진 개선 요인도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가 OSP(Official Seelling Price)를 6월부터 인하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OSP는 아람코가 아시아에 원유를 판매할 때 국제 원유 가격에 붙이는 프리미엄이다. 아람코는 6월부터 OSP(아라비안라이트 기준)를 배럴당 9.35달러에서 4.4달러로 내리기로 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유가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수요 감소가 3월부터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전 세계적으로 석유제품 수급 차질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내수 감소량을 수출로 돌려 실적에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하니♥양재웅, 열애 인정 “좋은 만남 갖고 있어”
- “조유나양 아버지, 가상화폐 투자 뒤 큰 손해”
- “젖병에 꽁초 가득”…담뱃값 경고 그림, 더 끔찍하게 바꾼다
- “이걸 두고 월북을?”…서해 공무원측 ‘무궁화10호’ 방수복 공개
- 바이든, 자전거 타다 ‘꽈당’… 몸상태 묻자 ‘깡충깡충’
- “수험생 공부 중입니다”…尹자택 앞 맞불집회 이틀째 현수막 내걸려
- “한국인과 너무 닮아, 가슴철렁” 필리핀서 땅콩파는 코피노 소년
- 마지막 ‘버핏과의 점심’ 경매, 59억원 기록 깰까
- “71년前 태극기 건네준 한국 해병전우 찾습니다”
- 96세 英여왕 “국민 계속 섬길것” 재위 의지
- 클래식카에 새 생명을 불어넣어줄 전기차 개조
- 감정가 20억 웃돈에도 “없던 일로”…용산 상가 경매서 무슨 일?
- “월 10만원 저축하면 3년뒤 1440만원”…청년내일저축계좌 18일부터 신청
- 로봇 대중화 시대 성큼… “구독하고 보험도 들어요”
- 한전-LH 등 公기관 14곳 ‘재무위험’ 지정
- 500대 기업 28% “하반기 투자, 상반기보다 줄일것”
- 아이오닉 5, 독일서 벤츠·아우디 전기차 제쳤다
- [고준석의 실전투자]집주인, 벽의 실금까지는 안 고쳐줘도 된다
- 더 강하고 더 편안하게… 8년 만에 새 단장 ‘베이비 S클래스’
- 다시 열린 김포~하네다… “경제-문화 교류도 열리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