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마지막 돈줄’ 대부업체 문턱마저 높아져
장윤정 기자
입력 2020-12-02 03:00:00 수정 2020-12-02 03:00:00
[코로나가 할퀸 삶]업계, 최고금리 인하에 대출 축소
내년 하반기 또 인하땐 더 위축될듯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우려 커져
서민들이 돈을 빌리기 위해 사채업자를 찾기 전 마지막으로 문을 두드리는 곳이 대부회사다. 최근 대부업체 문턱마저 높아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소득이 줄거나 끊긴 벼랑 끝 서민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일 한국대부금융협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부업체 신규 대출 이용자는 2018년 81만4000명에서 2019년 53만 명으로 줄었다. 2020년 1∼10월은 2019년 한 해의 63% 수준인 33만8000명 정도에 그쳤다. 이런 추세라면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적 충격이 큰 올해도 큰 폭의 이용자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신규 대출액 기준으로도 2018년 5조6287억 원에서 2019년 4조922억 원으로 감소한 데 이어 올해 1∼10월 전년의 72% 수준인 2조9560억 원에 머물렀다.
내년에는 법정 최고금리 인하가 예고돼 있어 대부업 이용이 더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시장에서는 내년 하반기 대출금리가 연 20%로 인하되면 사업을 아예 접는 대부업체들이 나타나는 ‘2차 충격’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렇게 되면 신용등급이 낮거나 한계상황에 처한 개인들이 불법 사금융 시장에 의존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법정 최고금리 인하가 선의(善意)에서 출발한 정책일지라도 결과는 반(反)서민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부금융협회 관계자는 “2018년 최고금리 인하의 영향으로 대출승인률이 2017년 16.1%에서 2019년 11.8%로 낮아진 상태”라며 “수익성 저하로 대출을 축소하거나 중단하는 곳이 늘어나면 저소득·저신용자들에 대한 대출 기회가 더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장윤정 기자 yunjng@donga.com
내년 하반기 또 인하땐 더 위축될듯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우려 커져
서민들이 돈을 빌리기 위해 사채업자를 찾기 전 마지막으로 문을 두드리는 곳이 대부회사다. 최근 대부업체 문턱마저 높아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소득이 줄거나 끊긴 벼랑 끝 서민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일 한국대부금융협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부업체 신규 대출 이용자는 2018년 81만4000명에서 2019년 53만 명으로 줄었다. 2020년 1∼10월은 2019년 한 해의 63% 수준인 33만8000명 정도에 그쳤다. 이런 추세라면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적 충격이 큰 올해도 큰 폭의 이용자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신규 대출액 기준으로도 2018년 5조6287억 원에서 2019년 4조922억 원으로 감소한 데 이어 올해 1∼10월 전년의 72% 수준인 2조9560억 원에 머물렀다.
내년에는 법정 최고금리 인하가 예고돼 있어 대부업 이용이 더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시장에서는 내년 하반기 대출금리가 연 20%로 인하되면 사업을 아예 접는 대부업체들이 나타나는 ‘2차 충격’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렇게 되면 신용등급이 낮거나 한계상황에 처한 개인들이 불법 사금융 시장에 의존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법정 최고금리 인하가 선의(善意)에서 출발한 정책일지라도 결과는 반(反)서민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부금융협회 관계자는 “2018년 최고금리 인하의 영향으로 대출승인률이 2017년 16.1%에서 2019년 11.8%로 낮아진 상태”라며 “수익성 저하로 대출을 축소하거나 중단하는 곳이 늘어나면 저소득·저신용자들에 대한 대출 기회가 더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장윤정 기자 yunjng@donga.com
비즈N 탑기사
- 한의사협회, ‘코로나에 고춧대 특효’한의사 징계 요청 절차
- 가수 휘성, 프로포폴 투약 혐의 대부분 인정
- ‘도시어부2’ 김준현, 감성돔 43㎝ 낚아 짜릿한 전율
- 카지노 145억 사건 입닫은 경찰…피해 업체는 괴소문 속앓이
- 술 취해 7살 아들 폭행하고 맨발로 내쫓은 아빠 실형 선고
- “살고 싶다면 따라와” 백신맞은 74세 터미네이터가 한 말
- 바이든 취임복장은 ‘아메리칸 클래식’ 랄프로렌 정장
- 안철수 “조국, 마지막 양심 있다면 직접 딸 의료행위 막아야”
- “법무부 이건 아니잖아요” 박준영, 추미애·정한중 직격 비판
- 코로나 이겨내고 106세 생일 맞은 英할머니
- 설 장바구니 물가 ‘비상’…계란 한판에 사과 10개 ‘4만원’
- [단독]구광모 “올해부터 ‘덧셈 경영’”… 대대적 사업재편 예고
- ‘반도체·차’ 수출 이끈다…“3개월 연속 상승 이어갈 듯”
- 4차 재난지원금 “선별 지급” 47%…“전국민 지급” 32%
- “고액 기준 얼마냐”… 신용대출 원금 분할상환 의무화 혼란
- 코로나19 장기화에도 주목할 여행지는?… 2021년 여행 트렌드 발표
- 삼각별 전기차 저변 확대… 벤츠, 소형 SUV 전기차 ‘EQA’ 공개
- 서울 아파트 5채 중 1채는 ‘15억’ 초과…‘주택담보대출’ 안된다
- “은밀하고 사적인 럭셔리 경험”… 벤틀리, 새로워진 ‘벤테이가’ 국내 첫선
- [Q&A]재난지원금, 건보료 기준으로 준다는데…나도 지원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