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애플워치도 대중교통 찍고 탄다
장은지 기자
입력 2025-06-17 03:00 수정 2025-06-17 03:00
티머니, 애플페이 연동하기로

앞으로 아이폰 사용자들도 교통카드 없이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만 있으면 대중교통을 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티머니는 16일 자사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에 “티머니가 아이폰과 애플워치에 찾아온다”고 밝혔다. 다만 티머니와 애플코리아 측은 구체적인 서비스 시점에 대해선 “추후 밝히겠다”고만 했다.
서비스가 시작되면 아이폰 또는 애플워치만으로 버스와 지하철을 탈 수 있게 된다. 그동안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달리 애플 아이폰은 실물 카드나 스티커 형태의 카드를 갖고 다니며 티머니를 이용해야 했다.
간편결제 서비스인 애플페이는 2023년 3월 현대카드를 시작으로 국내에 출시됐다. 다만 지원 점포가 편의점과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 등에 한정된 데다 교통카드 이용이 제한되면서 국내 생태계 확장이 더뎠다.
애플페이 출시 이후 교통카드 기능 도입에 2년의 시간이 걸린 배경에는 교통카드 사업자가 애플이 채택한 ‘EMV(유로페이-마스터카드-비자) 비접촉 결제’ 규격의 근거리무선통신(NFC) 단말기로 교체해야 하는 부담, 애플에 대한 수수료 지급 문제 등이 있었다.
애플코리아 측은 “앞으로 아이폰과 애플워치에서도 티머니를 사용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사용자들이 애용하는 기기로 대중교통을 좀 더 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장은지 기자 jej@donga.com

앞으로 아이폰 사용자들도 교통카드 없이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만 있으면 대중교통을 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티머니는 16일 자사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에 “티머니가 아이폰과 애플워치에 찾아온다”고 밝혔다. 다만 티머니와 애플코리아 측은 구체적인 서비스 시점에 대해선 “추후 밝히겠다”고만 했다.
서비스가 시작되면 아이폰 또는 애플워치만으로 버스와 지하철을 탈 수 있게 된다. 그동안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달리 애플 아이폰은 실물 카드나 스티커 형태의 카드를 갖고 다니며 티머니를 이용해야 했다.
간편결제 서비스인 애플페이는 2023년 3월 현대카드를 시작으로 국내에 출시됐다. 다만 지원 점포가 편의점과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 등에 한정된 데다 교통카드 이용이 제한되면서 국내 생태계 확장이 더뎠다.
애플페이 출시 이후 교통카드 기능 도입에 2년의 시간이 걸린 배경에는 교통카드 사업자가 애플이 채택한 ‘EMV(유로페이-마스터카드-비자) 비접촉 결제’ 규격의 근거리무선통신(NFC) 단말기로 교체해야 하는 부담, 애플에 대한 수수료 지급 문제 등이 있었다.
애플코리아 측은 “앞으로 아이폰과 애플워치에서도 티머니를 사용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사용자들이 애용하는 기기로 대중교통을 좀 더 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장은지 기자 jej@donga.com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여름철 맥주, 통풍 부른다…무알코올 맥주도 안심 못해
- “베르사유 5만원 vs 경복궁 3000원”…스스로 가치 깎는 한국관광
- ‘1도의 마법’… 방신실, 아이언 로프트 각도 높여 정확도 잡았다
- 李정부 첫 세법개정 핵심은 증시 부양용 ‘배당소득 분리과세’
- 비트코인 신고가, 알트코인도 폭등…스텔라 18%-헤데라 17%
- 연이은 호재에 자산시장은 활황…3000조 국내 증시, 꽃길 이어질까[D’s 위클리 픽]
- 이재용, 美 선밸리 콘퍼런스 참석후 귀국…“하반기 열심히 하겠다”
- 누리호발사 3년 공백, 고숙련 인력 대 끊길 우려[IT팀의 테크워치]
- 서울 아파트 ‘26억 이상’ 거래 최다 증가… 상반기 강남-마포 등 ‘똘똘한 한 채’ 선호
- 올해 기업 여름휴가 평균 3.7일…대기업은 ‘5일 이상’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