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부 바뀐 BMW 7시리즈… 내연기관·전기차 동시 출격
동아닷컴 정진수 기자
입력 2022-05-25 17:49:00 수정 2022-05-25 18:04:39

“칼을 갈았습니다. 전부 뜯어고쳤어요.”
세상에 영원한 건 없다. 오랜 역사를 되새겨 봐도 그렇다. 그토록 강력했던 로마 제국, 프랑스 절대왕권도 한순간에 무너졌다. 19세기 동아시아를 장악했던 일본의 야욕도 오래가지 못했다. 당시엔 절대적이었어도 변화를 갈망하는 시대의 흐름엔 어찌할 도리가 없다.
자동차 산업도 비슷하다. 한때 국내 수입차 전성시대를 이끌었던 BMW 역시 쓴맛을 봤다. 2016년부터 메르세데스벤츠에 뺏긴 왕좌를 좀처럼 되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플래그십 제품군 판매 격차가 벌어지면서 어려운 싸움을 이어갔다. 그나마 단골 베스트셀링카 5시리즈로 선방하곤 있지만 결정적인 한방이 아쉬웠다.


지난 24일 BMW코리아는 신형 7시리즈를 아시아에서 최초로 한국 시장에 공개했다. 올해 말 공식 출시가 예정돼 있지만 국내 소비자들에게 뛰어난 상품성을 미리 각인 시키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BMW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위해 독일 본사에 요청해 뉴 7시리즈를 공수해 왔다”며 “7시리즈 완전 변경은 디자인부터 성능, 감성까지 전부 뜯어 고쳐 탄생한 최고급 세단”이라고 말했다.
이날 서울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에는 BMW 740i M스포츠와 순수전기차 i7 x드라이브60 두 대가 전시됐다. 뉴 7시리즈는 1977년 첫 선을 보인 BMW 플래그십 세단 7시리즈의 7세대 완전변경 모델로 드라이빙의 즐거움, 장거리 승차감, 최고의 디지털 경험에 초점이 맞춰졌다. 내연기관부터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순수 전기모델까지 다양한 파워트레인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뉴 7시리즈는 전 제품군 롱휠베이스 적용으로 한층 쾌적하고 여유로운 실내 공간을 자랑한다. 전 세대 대비 전장 130㎜, 전폭 48㎜, 전고 51㎜, 휠베이스 5㎜가 커졌다. 선택사양으로 제공되는 BMW 크리스탈 헤드라이트 아이코닉 글로우는 상단 헤드라이트 유닛에 주간주행등과 방향지시등 기능을 하는 ‘L’자 모양의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탈 조명이 내장돼 신비로운 매력을 발산한다.
특히 쇼퍼드리븐의 매력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뒷좌석에서는 천장에서 펼쳐져 내려오는 31.3인치 파노라믹 디스플레이를 활용할 수 있다. BMW 시어터 스크린은 8K 해상도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사상 최초로 유튜브 온디맨드 영상 스트리밍 기능도 제공한다. 전좌석 버튼식 도어 계폐 장치로 품격을 높였다. 캐시미어 시트를 적용해 안락하고 포근함도 강조했다.


함께 전시된 i7는 현재 시장에 나온 유일한 플래그십 전기차로 꼽힌다. 이 차는 WLTP 기준 최대 주행 가능거리가 무려 625㎞에 달한다. 플래그십 전기차 생산은 간단하지 않다. 더구나 내연기관 플랫폼을 공유하는 건 더 어려운 문제다. 실제로 경쟁업체들은 새로운 전용 플랫폼으로 전기차를 선보이고 있다. 반면 BMW는 7시리즈 내연기관 플랫폼을 공유하면서 실마리를 풀었다.
신형 7시리즈는 오는 7월 7일부터 뉴 7시리즈 온라인 사전예약을 받는다. 국내 출시는 11월로 예정돼 있다.
동아닷컴 정진수 기자 brjeans@donga.com
비즈N 탑기사
- “어린이날 선물인데… ” 도둑맞은 자전거 찾아준 경찰
- 최영아 전문의 성천상 수상… 20여년간 노숙인 치료 봉사
- 하니♥양재웅, 열애 인정 “좋은 만남 갖고 있어”
- “조유나양 아버지, 가상화폐 투자 뒤 큰 손해”
- “젖병에 꽁초 가득”…담뱃값 경고 그림, 더 끔찍하게 바꾼다
- “이걸 두고 월북을?”…서해 공무원측 ‘무궁화10호’ 방수복 공개
- 바이든, 자전거 타다 ‘꽈당’… 몸상태 묻자 ‘깡충깡충’
- “수험생 공부 중입니다”…尹자택 앞 맞불집회 이틀째 현수막 내걸려
- “한국인과 너무 닮아, 가슴철렁” 필리핀서 땅콩파는 코피노 소년
- 마지막 ‘버핏과의 점심’ 경매, 59억원 기록 깰까
- 냉면·김밥 속 이것이 식중독 범인이었다…심하면 사망
- 테슬라 모델Y 1년 차 유지비
- 지프, 라임맛 ‘랭글러 하이 벨로시티’ 국내 50대 한정 판매
- 중산층 빚내서 살 수 있는 서울 아파트 3.7만채…역대 최저
- 삼성전자, 5년만에 중국 임직원 절반 줄었다…‘脫중국 가속’
- “반도체 인재 양성, 학부생 늘리기보다 교수 확보가 시급”[인사이드&인사이트]
- “보행중 폰 사용” 69%… 사고 부른다
- 6% 넘보는 물가… 재정-통화 수장 등 긴급회동 “합동대응 강화”
- 韓 도로 점령한 중국산 전기버스…올해 1~5월 시장점유율 44%
- ‘GTX-B’ 구간 착공 가시화…2030년 개통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