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0 ‘뉴시니어’ 83%, 모바일로 은행업무 OK
신지환 기자
입력 2022-05-20 03:00:00 수정 2022-05-20 05:01:32
하나금융경영硏 1000명 설문

경기 수원시에 사는 직장인 최모 씨(58)는 최근 2년간 은행 영업점을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고 깜짝 놀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은행 업무 대부분을 모바일뱅킹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처리한 것이다. 올 들어선 식당이나 마트에서 결제할 때도 신용카드 대신 네이버페이를 자주 쓰고 있다.
경제력이 있는 50, 60대는 모바일뱅킹 등 디지털 금융 채널을 활발히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토스, 카카오페이 등 빅테크(대형 기술기업)와 핀테크의 새로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도 거리낌이 없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이런 내용의 ‘뉴시니어가 원하는 금융’ 보고서를 19일 발표했다. 금융자산을 1억 원 이상 보유한 만 51∼65세를 ‘뉴시니어’로 정의하고 이들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담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뉴시니어의 83.3%는 계좌이체, 주식 매매 등 금융거래를 할 때 뱅킹 앱이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등 모바일 채널을 이용했다(복수 응답). 인터넷뱅킹,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등 웹 채널을 쓴다는 응답도 75.8%였다.
영업점을 이용하는 사람(49.3%)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여전히 시니어의 절반 가까이는 금융회사 지점을 찾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78%는 은행 영업점에서 반드시 처리해야 할 업무가 있다고 답했다. 상품 해지(30.8%)나 대출 상담(20.1%), 고액 이체(17.8%) 등이 꼽혔다. 연구소는 “영업점은 디지털 채널보다 일상적 활용도가 낮지만 뉴시니어에게 여전히 중요한 채널로 인식되고 있다”고 했다.
뉴시니어들은 최신 금융 트렌드를 따라가는 속도도 빨랐다. 응답자 64%는 최근 1년간 새로운 금융회사와 거래한 경험이 있었다. 일부 증권사(9.7%)와 저축은행(5.5%) 등을 제외하곤 빅테크와 핀테크에서 신규 거래를 했다. 토스(6.5%)를 새로 이용한 시니어가 가장 많았고 토스뱅크(5.8%), 카카오페이(5.4%), 카카오뱅크(4.6%), 네이버페이(4.3%)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을 이용한 이유로는 ‘앱이 편리해서’(38.0%)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금융 수익이 우수해서’(23.0%), ‘신규 서비스나 기능이 좋아서’(22.5%) 등이 많이 꼽혔다. 단순 수익률보다 편리성 등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뜻이다.

금융상품을 선택할 때는 절반 이상이 ‘원금 보장’(55.7%)과 ‘정기적인 수익 발생’(55.3%)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고 했다. 반면 ‘수익성’(39.7%)을 먼저 고려한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현금화, 인출 용이성’을 우선 생각한다는 응답은 34.5%였다. 은퇴 전후로 소득이 줄어들 것에 대비해 리스크를 줄이고 안정적인 유동성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풀이된다.
윤선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뉴시니어는 디지털 금융에 큰 거부감 없이 적응하고 경제적 혜택보다는 편리성과 신규 서비스 등을 우선시한다”며 “대면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도 여전히 갖고 있어 이러한 특성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했다.
신지환 기자 jhshin93@donga.com

경기 수원시에 사는 직장인 최모 씨(58)는 최근 2년간 은행 영업점을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고 깜짝 놀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은행 업무 대부분을 모바일뱅킹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처리한 것이다. 올 들어선 식당이나 마트에서 결제할 때도 신용카드 대신 네이버페이를 자주 쓰고 있다.
경제력이 있는 50, 60대는 모바일뱅킹 등 디지털 금융 채널을 활발히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토스, 카카오페이 등 빅테크(대형 기술기업)와 핀테크의 새로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도 거리낌이 없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이런 내용의 ‘뉴시니어가 원하는 금융’ 보고서를 19일 발표했다. 금융자산을 1억 원 이상 보유한 만 51∼65세를 ‘뉴시니어’로 정의하고 이들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담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뉴시니어의 83.3%는 계좌이체, 주식 매매 등 금융거래를 할 때 뱅킹 앱이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등 모바일 채널을 이용했다(복수 응답). 인터넷뱅킹,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등 웹 채널을 쓴다는 응답도 75.8%였다.
영업점을 이용하는 사람(49.3%)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여전히 시니어의 절반 가까이는 금융회사 지점을 찾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78%는 은행 영업점에서 반드시 처리해야 할 업무가 있다고 답했다. 상품 해지(30.8%)나 대출 상담(20.1%), 고액 이체(17.8%) 등이 꼽혔다. 연구소는 “영업점은 디지털 채널보다 일상적 활용도가 낮지만 뉴시니어에게 여전히 중요한 채널로 인식되고 있다”고 했다.
뉴시니어들은 최신 금융 트렌드를 따라가는 속도도 빨랐다. 응답자 64%는 최근 1년간 새로운 금융회사와 거래한 경험이 있었다. 일부 증권사(9.7%)와 저축은행(5.5%) 등을 제외하곤 빅테크와 핀테크에서 신규 거래를 했다. 토스(6.5%)를 새로 이용한 시니어가 가장 많았고 토스뱅크(5.8%), 카카오페이(5.4%), 카카오뱅크(4.6%), 네이버페이(4.3%)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을 이용한 이유로는 ‘앱이 편리해서’(38.0%)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금융 수익이 우수해서’(23.0%), ‘신규 서비스나 기능이 좋아서’(22.5%) 등이 많이 꼽혔다. 단순 수익률보다 편리성 등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뜻이다.

윤선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뉴시니어는 디지털 금융에 큰 거부감 없이 적응하고 경제적 혜택보다는 편리성과 신규 서비스 등을 우선시한다”며 “대면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도 여전히 갖고 있어 이러한 특성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했다.
신지환 기자 jhshin93@donga.com
비즈N 탑기사
- 하니♥양재웅, 열애 인정 “좋은 만남 갖고 있어”
- “조유나양 아버지, 가상화폐 투자 뒤 큰 손해”
- “젖병에 꽁초 가득”…담뱃값 경고 그림, 더 끔찍하게 바꾼다
- “이걸 두고 월북을?”…서해 공무원측 ‘무궁화10호’ 방수복 공개
- 바이든, 자전거 타다 ‘꽈당’… 몸상태 묻자 ‘깡충깡충’
- “수험생 공부 중입니다”…尹자택 앞 맞불집회 이틀째 현수막 내걸려
- “한국인과 너무 닮아, 가슴철렁” 필리핀서 땅콩파는 코피노 소년
- 마지막 ‘버핏과의 점심’ 경매, 59억원 기록 깰까
- “71년前 태극기 건네준 한국 해병전우 찾습니다”
- 96세 英여왕 “국민 계속 섬길것” 재위 의지
- 클래식카에 새 생명을 불어넣어줄 전기차 개조
- 감정가 20억 웃돈에도 “없던 일로”…용산 상가 경매서 무슨 일?
- “월 10만원 저축하면 3년뒤 1440만원”…청년내일저축계좌 18일부터 신청
- 로봇 대중화 시대 성큼… “구독하고 보험도 들어요”
- 한전-LH 등 公기관 14곳 ‘재무위험’ 지정
- 500대 기업 28% “하반기 투자, 상반기보다 줄일것”
- 아이오닉 5, 독일서 벤츠·아우디 전기차 제쳤다
- [고준석의 실전투자]집주인, 벽의 실금까지는 안 고쳐줘도 된다
- 더 강하고 더 편안하게… 8년 만에 새 단장 ‘베이비 S클래스’
- 다시 열린 김포~하네다… “경제-문화 교류도 열리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