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수출입물가 상승률 13년만에 최고…“유가·원자잿값 급등 영향”
뉴스1
입력 2022-01-13 06:06:00 수정 2022-01-13 06:06:46

지난해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급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수출 및 수입물가지수 상승률이 모두 1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수출입물가지수(잠정)’에 따르면, 2021년 수출물가지수는 108.29(2015=100)를 기록했다. 지난 2013년(112.2) 이후 8년만의 최고치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14.3%로 2008년(21.8%) 이후 13년만에 가장 높았다.
앞서 수출물가지수는 2017년 102.64에서 2018년 103.41로 오른 뒤 2019년 99.94, 2020년 94.74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그러다 2021년 들어서 108.29로 반등한 것이다.
지난해 수입물가지수는 117.46으로 2014년(118.1) 이후 7년만에 최고 기록을 세웠다. 전년 대비 상승률은 17.6%로, 이 역시 2008년(36.2%) 이후 13년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입물가지수 추이를 살펴보면 2016년 95.78에서 2017년 102.04, 2018년 108.43, 2019년 109.34로 꾸준한 오름세를 보이다가 2020년 99.85로 떨어진 뒤 2021년 117.46으로 다시 올랐다.
한은 관계자는 “2020년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하락했던 수입·수출물가지수가 2021년에는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해 다시 크게 튀어 올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수출물가지수는 석탄 및 석유제품,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1.0% 하락한 114.64를 기록했다. 2개월 연속 하락이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23.5%로 11개월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127.11을 나타냈다. 전월 대비로는 1.9% 떨어졌다. 2개월 연속 하락이다. 국제유가가 하락한 가운데 광산품,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이 내린 결과다. 월평균 두바이 유가는 지난해 11월 배럴당 80.30달러에서 12월 73.21달러로 8.8% 하락했다.
전년 동월 대비 수입물가지수 상승률은 29.7%로 10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대학교 도서관 폭탄 설치’ 거짓글 올린 20대, 집행유예
- 올 여름 평년보다 덥다는데…초유의 폭염 올까
- ‘고소득·명문대 男만 가입’ 데이팅앱…인권위 “차별은 아냐”
- 동물 학대 영상·이미지 전년 대비 183% 급증
- 208만원짜리 초고가 우산 中서 출시…정작 방수 안돼 ‘뭇매’
- 대낮 거실에 웬 낯선 남자가…아파트 무단침입 20대 입건
- 코로나19 검사 중 면봉 통째로 삼킨 英여성…응급 수술받아
- “2살 아이 피흘리며 우는데…어린이집 5시간 방치했다” (영상)
- 멜라니아 “백악관 재입성? 절대 아니라고 말 못해”
- “손주 낳지 않아서”…인도서 부모가 아들에 8억 손배 청구
- 70대에 두 번째 전기차를 운전하시는 장모님
- 여의도~서울대 16분 만에, 신림선 28일 개통…부동산 ‘들썩’
- ‘LG 배터리’ 폭스바겐 ID.4 GTX, 가장 높은 고도 주행한 전기차 기네스 신기록
- 삼성, 반도체·바이오 등에 5년간 450조 투자…8만명 신규 채용
- 아시아나도 초대형 ‘A380’ 다시 띄운다
- 부모님 건강관리…질병지표 ‘이중턱’ 생겼다면 주의해서 보세요
- “한주에 1~14시간 일한다” 154만명 역대 최대…5년새 60만명↑
- [DBR]쇼호스트가 미소 지으면 매출 뚝… “무표정 유지해야”
- 밀가루값 때문에…분식집·빵집 사장님들 ‘한숨’ 커진다
- 전부 바뀐 BMW 7시리즈… 내연기관·전기차 동시 출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