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빚투에 가계빚 1726조… 또 최고치
신나리 기자
입력 2021-02-24 03:00:00 수정 2021-02-24 05:00:56
작년 말 기준 1년새 125조 늘어
주담대 막히자 신용대출 몰려
기타대출, 증가폭 추월현상 이어져
가계부채가 1년 새 125조 원 넘게 불어나 사상 처음으로 1700조 원을 돌파했다. 부동산과 주식 투자 열풍 속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 ‘빚투’(빚내서 투자)가 계속된 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로 빚으로 연명하는 취약계층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신용대출 증가 규모가 주택담보대출을 넘어서는 이상 현상도 2개 분기 연속 이어졌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20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현재 가계부채(가계신용) 잔액은 1726조1000억 원으로 또 사상 최대치를 갈아 치웠다. 이는 2019년 말에 비해 125조8000억 원(7.9%) 급증한 규모다.
연간 증가 폭은 2016년(139조4000억 원)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았다. 지난해 4분기(10∼12월)에만 가계부채는 44조2000억 원 늘어나 분기 증가 폭으로도 역대 세 번째로 높았다. 가계신용은 금융회사의 가계대출과 결제 이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더한 실질적인 가계부채(가계 빚)를 뜻한다.
가계신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계대출만 보면 지난해 말 1630조2000억 원으로 역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4분기 가계대출 증가액(44조5000억 원)도 2003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가장 많았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끈 건 신용대출로 이뤄진 ‘기타대출’이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719조5000억 원)은 지난해 4분기에만 24조2000억 원 늘었다. 금융당국과 은행들이 잇달아 ‘신용대출 조이기’에 나섰지만 3분기(22조3000억 원)보다 증가 폭을 키우며 역대 최대로 늘었다.
반면 주택담보대출은 4분기에 20조2000억 원 불었다. 신용대출(기타대출) 증가 규모가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을 넘어서는 드문 현상이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이어진 것이다. 이는 지난해 ‘빚투’를 기반으로 주식 투자와 내 집 마련에 뛰어든 사람들이 크게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부동산 대출 규제가 강화되자 ‘패닉바잉’(공황구매)에 나선 30, 40대를 중심으로 모자란 주택 매수 자금을 충당하기 위해 신용대출을 끌어다 쓴 사람이 많았다. 여기에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생활자금 수요도 크게 늘었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지난해 11월 정부가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을 발표했지만 규제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좀 더 걸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신나리 기자 journari@donga.com
주담대 막히자 신용대출 몰려
기타대출, 증가폭 추월현상 이어져
가계부채가 1년 새 125조 원 넘게 불어나 사상 처음으로 1700조 원을 돌파했다. 부동산과 주식 투자 열풍 속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 ‘빚투’(빚내서 투자)가 계속된 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로 빚으로 연명하는 취약계층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신용대출 증가 규모가 주택담보대출을 넘어서는 이상 현상도 2개 분기 연속 이어졌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20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현재 가계부채(가계신용) 잔액은 1726조1000억 원으로 또 사상 최대치를 갈아 치웠다. 이는 2019년 말에 비해 125조8000억 원(7.9%) 급증한 규모다.
연간 증가 폭은 2016년(139조4000억 원)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았다. 지난해 4분기(10∼12월)에만 가계부채는 44조2000억 원 늘어나 분기 증가 폭으로도 역대 세 번째로 높았다. 가계신용은 금융회사의 가계대출과 결제 이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더한 실질적인 가계부채(가계 빚)를 뜻한다.
가계신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계대출만 보면 지난해 말 1630조2000억 원으로 역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4분기 가계대출 증가액(44조5000억 원)도 2003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가장 많았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끈 건 신용대출로 이뤄진 ‘기타대출’이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719조5000억 원)은 지난해 4분기에만 24조2000억 원 늘었다. 금융당국과 은행들이 잇달아 ‘신용대출 조이기’에 나섰지만 3분기(22조3000억 원)보다 증가 폭을 키우며 역대 최대로 늘었다.
반면 주택담보대출은 4분기에 20조2000억 원 불었다. 신용대출(기타대출) 증가 규모가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을 넘어서는 드문 현상이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이어진 것이다. 이는 지난해 ‘빚투’를 기반으로 주식 투자와 내 집 마련에 뛰어든 사람들이 크게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부동산 대출 규제가 강화되자 ‘패닉바잉’(공황구매)에 나선 30, 40대를 중심으로 모자란 주택 매수 자금을 충당하기 위해 신용대출을 끌어다 쓴 사람이 많았다. 여기에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생활자금 수요도 크게 늘었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지난해 11월 정부가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을 발표했지만 규제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좀 더 걸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신나리 기자 journari@donga.com
비즈N 탑기사
- “호주 여행가자” 거짓말, 인도 여성 데려와 8년간 노예로 부린 부부
- “팔 좀 놔 달라”던 김태현…범죄심리전문가 “아, 이건 좀 심하다”
- 구미 3세 여아 사망 김씨 아버지 “언론이 애를 둘로 만들었다”
- 박미선 “183㎝ 아들, 연기하고 싶어해…잘 됐으면”
- 괴롭힘 당했던 강다니엘 “가해자 학부모들, 뭐가 문제인지 모른다”
- 개학 후 한 달 간 62개교서 확진자 발생…유은혜 “13~18세 확진자 증가”
- 美 법대생들, 바이든에 편지 “스가 위안부 문제 사과·배상해야”
- 블룸버그 “코로나 이후 세계경제 성장 중국이 주도한다”
- ‘싱글맘’ 박연수, 훌쩍 큰 송지아·지욱 남매 생일이벤트에 “대성통곡”
- 日 국민 약 60% “스가 총리 연임하지 말아야”
- [단독]SK텔레콤, 지배구조 개편 가속도… 14일경 대외 공식화 예정
- “美상장 비용, 한국의 최대 10배”… ‘대어’ 낚시 나선 거래소
- 유통가 ‘최저가 전쟁’ 불붙어… 이마트 “타사보다 비싸면 보상”
- 백화점 3社, 3월 매출 껑충… 코로나 확산 이전보다 더 올랐다
- “앱 켜는 0.001초의 순간, 당신의 개인정보가 팔려나간다”
- 코로나에 지갑 닫아… 가계지출 최대폭 감소
- 3월 경매 낙찰가율 82.6% ‘역대 최고’
- 국민연금, 국내주식 이탈범위 1%P 늘린다…즉시 시행
- 대변혁 기아 첫 신차 ‘K8’ 출시… “미래 드라이빙 경험을 미리 만난다”
- [정충진의 경매 따라잡기]권리분석 앞서 ‘시세 조사’ 능력 키워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