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면소비 줄자… 5만원권 환수율 ‘최저’
박희창 기자
입력 2020-12-01 03:00:00 수정 2020-12-01 03:00:00
숙박-음식점 ‘현금수입 입금’ 급감
환수율 25%… 발행첫해 이후 최저

올해 10개월간 발행된 5만 원권 중 4분의 3이 한국은행으로 다시 돌아오지 않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소비가 줄면서 상당수의 지폐가 어딘가에서 잠자고 있는 셈이다.
30일 한은에 따르면 올해 1∼10월 5만 원권 환수율(발행액 대비 환수액 비율)은 25.4%로 집계됐다. 이는 5만 원권이 처음 발행된 2009년을 제외하고 가장 낮다. 5만 원권 환수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39.4%포인트 하락했다. 5000원권 등 전체 은행권 환수율은 39.5%로 5만 원권보다 14.1%포인트 높다.
지폐 발행을 계속 늘렸는데도 환수액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건 과거 경제위기 때와는 다른 패턴이다. 외환위기가 덮쳤던 1998년, 세계 금융위기 때인 2008년에는 경기 위축 등의 영향으로 발행액과 환수액이 함께 감소했다.
한은은 5만 원권 환수율이 저조한 이유를 코로나19 확산으로 숙박, 음식점 등 대면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거래가 위축된 영향으로 설명했다. 현금 거래 비중이 높은 이 업종들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으면서 5만 원권의 은행 입금이 크게 줄었다는 것이다. 특히 면세점, 카지노 등 관광 관련 사업체 주변 은행 점포나 환전영업자 거래 영업점 및 현금자동입출금기(ATM)의 5만 원권 입금이 대폭 감소했다.
되돌아오는 5만 원권 비율이 다른 지폐보다 떨어진 데는 경기 불확실성과 저금리로 현금 보유 심리가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5만 원권이 발행된 지 11년밖에 지나지 않아 신규 수요가 많다는 점도 한 요인으로 꼽았다. 옥지훈 한은 발권기획팀 과장은 “경제 상황이 크게 개선되지 않으면 5만 원권 순발행 기조가 상당 기간 이어질 수도 있다”며 “내년에는 발주량을 많이 늘릴 계획”이라고 했다.
박희창 기자 ramblas@donga.com
환수율 25%… 발행첫해 이후 최저

30일 한은에 따르면 올해 1∼10월 5만 원권 환수율(발행액 대비 환수액 비율)은 25.4%로 집계됐다. 이는 5만 원권이 처음 발행된 2009년을 제외하고 가장 낮다. 5만 원권 환수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39.4%포인트 하락했다. 5000원권 등 전체 은행권 환수율은 39.5%로 5만 원권보다 14.1%포인트 높다.
지폐 발행을 계속 늘렸는데도 환수액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건 과거 경제위기 때와는 다른 패턴이다. 외환위기가 덮쳤던 1998년, 세계 금융위기 때인 2008년에는 경기 위축 등의 영향으로 발행액과 환수액이 함께 감소했다.
한은은 5만 원권 환수율이 저조한 이유를 코로나19 확산으로 숙박, 음식점 등 대면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거래가 위축된 영향으로 설명했다. 현금 거래 비중이 높은 이 업종들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으면서 5만 원권의 은행 입금이 크게 줄었다는 것이다. 특히 면세점, 카지노 등 관광 관련 사업체 주변 은행 점포나 환전영업자 거래 영업점 및 현금자동입출금기(ATM)의 5만 원권 입금이 대폭 감소했다.
되돌아오는 5만 원권 비율이 다른 지폐보다 떨어진 데는 경기 불확실성과 저금리로 현금 보유 심리가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5만 원권이 발행된 지 11년밖에 지나지 않아 신규 수요가 많다는 점도 한 요인으로 꼽았다. 옥지훈 한은 발권기획팀 과장은 “경제 상황이 크게 개선되지 않으면 5만 원권 순발행 기조가 상당 기간 이어질 수도 있다”며 “내년에는 발주량을 많이 늘릴 계획”이라고 했다.
박희창 기자 ramblas@donga.com
비즈N 탑기사
- “퇴직땐 ‘3년치 임금+α’ 주겠다”… 4대銀 1700명 손들어
- 빌 게이츠 “기후 변화 재앙은 코로나19보다 더 심각할 것”
- 예비 배우자의 이상적 결혼자금? 男 “8320만 원” ·女 “1억 44만 원”
- [단독]SK하이닉스 내달 ‘M16’ 준공… 초미세공정 가속도
- ‘2월 말에 100만원’…긴급 고용안정지원금, 준비할 서류는
- 계란 한판 6700원, 사과 1개 3000원… 설 차례상 어쩌나
- ‘코로나 선방’ 中 작년 경제성장률 2.3%
- 코로나發 고용 한파… 비자발적 실직자 사상 첫 200만명 돌파
- 공채 핵심 키워드는 ‘직무’… 역량-경험 질문 가장 많았다
- [우병탁의 절세통통(㪌通)]집 맞바꿔도 ‘부동산 양도’… 세금도 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