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제조업 부가가치, IMF 이후 최대폭 감소…고용도 3만명 급감
뉴시스
입력 2020-11-27 12:40:00 수정 2020-11-27 12:41:32
통계청, '2019년 기준 광업·제조업 조사 잠정 결과'
부가가치, 1998·2013년에 이어 역대 세 번째 감소
D램 반도체 단가 하락·국제유가 하락 등 악재 영향
종사자 수 증가율 -0.9%…車 부품업체서 부진 심화

지난해 광공업을 포함한 국내 제조업의 부가가치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최대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업종인 화학, 자동차 등에서 부진했고 전자 부문에선 반도체 가격 하락 등 악재가 겹치면서다. 이에 따라 제조업 일자리 수도 연간 3만 명 가까이 감소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기준 광업·제조업 조사 잠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광·제조업 부가가치는 559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4%(7조8000억원) 감소했다. 이는 최근 10년간 부가가치 연평균 증감률(4.0%)에 비해 2.6%나 줄어든, 매우 큰 폭의 추락이다.
특히 이 감소폭은 1998년(-2.1%) 이후 최대치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67년 이래 부가가치가 감소한 적은 이 때와 2013년(-0.3%), 그리고 작년까지 총 세 차례에 불과하다.
제조업을 중화학공업과 경공업으로 나눠 보면, 전체 부가가치의 83.4%를 차지하는 중화학공업은 전년 대비 2.1%(9조8000억원) 감소했고 16.6%에 불과한 경공업만 2.3%(2조1000억원) 늘었다.
광·제조업 출하액 역시 1545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4%(21조4000억원) 줄었다. 이에 따라 작년 기준 제조업 종사자 수 역시 0.9%(2만8000명) 줄어든 294만 명을 기록했다. 전체 사업체 수만 6만9975개로 전년 대비 0.2%(140개) 늘어났다. 출하액과 종사자 수 모두 최근 10년간 연평균 증감률 3.2%, 1.8%에서 크게 벗어난 수치다.
이진석 통계청 산업통계과장은 “전체 광·제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자와 화학 업종이 지난해 반도체 가격과 유가하락 영향으로 부진한 탓”이라며 “종사자 수는 부품업체를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감소폭이 컸다”고 말했다.
업종별로 보면, 작년 전자산업 가운데 D램 등 반도체부문은 공급과잉에 따른 단가 하락으로 출하액과 부가가치가 각각 6.5%, 4.7%씩 줄었다. 액정표시장치(LCD) 등 전자 부품은 해외경쟁 심화 및 단가 하락으로 각각 6.4%, 5.3%씩 감소했다. 통신·방송장비부문은 휴대폰 교체 주기 증가와 해외생산 확대 등으로 9.2%, 17.6%씩 줄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 부문의 출하 감소로 기계·장비산업 역시 출하액이 3.1%, 부가가치가 4.1% 감소했다.
석유정제산업은 국제유가 하락 및 석유제품 수출 감소로 출하액과 부가가치 모두 5.1%, 5.7%씩 감소했다. 화학산업도 화학제품 수출 부진에 따라 5.3%, 5.1%씩 줄어들었다. 철강산업은 해외경쟁 심화로 생산이 줄면서 각각 1.6%, 1.4%씩 감소했다.
반면 자동차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친환경차 등 고가차량 판매증가로 출하액과 부가가치가 각각 3.6%, 4.0%씩 늘었다. 조선산업 역시 선박 건조량 증가에 힘입어 7.0%, 4.5%씩 증가하는 등 호조를 보였다.
작년 사업체당 출하액은 220억9000만원, 부가가치는 8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각각 1.6%씩 줄어든 수치다.
이번 조사는 광업·제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지난 6월12일부터 7월26일까지 2018년 실적을 조사해 집계한 잠정 결과치다. 다음 달 말 이후 발표되는 확정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세종=뉴시스]
부가가치, 1998·2013년에 이어 역대 세 번째 감소
D램 반도체 단가 하락·국제유가 하락 등 악재 영향
종사자 수 증가율 -0.9%…車 부품업체서 부진 심화

지난해 광공업을 포함한 국내 제조업의 부가가치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최대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업종인 화학, 자동차 등에서 부진했고 전자 부문에선 반도체 가격 하락 등 악재가 겹치면서다. 이에 따라 제조업 일자리 수도 연간 3만 명 가까이 감소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기준 광업·제조업 조사 잠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광·제조업 부가가치는 559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4%(7조8000억원) 감소했다. 이는 최근 10년간 부가가치 연평균 증감률(4.0%)에 비해 2.6%나 줄어든, 매우 큰 폭의 추락이다.
특히 이 감소폭은 1998년(-2.1%) 이후 최대치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67년 이래 부가가치가 감소한 적은 이 때와 2013년(-0.3%), 그리고 작년까지 총 세 차례에 불과하다.
제조업을 중화학공업과 경공업으로 나눠 보면, 전체 부가가치의 83.4%를 차지하는 중화학공업은 전년 대비 2.1%(9조8000억원) 감소했고 16.6%에 불과한 경공업만 2.3%(2조1000억원) 늘었다.
광·제조업 출하액 역시 1545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4%(21조4000억원) 줄었다. 이에 따라 작년 기준 제조업 종사자 수 역시 0.9%(2만8000명) 줄어든 294만 명을 기록했다. 전체 사업체 수만 6만9975개로 전년 대비 0.2%(140개) 늘어났다. 출하액과 종사자 수 모두 최근 10년간 연평균 증감률 3.2%, 1.8%에서 크게 벗어난 수치다.
이진석 통계청 산업통계과장은 “전체 광·제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자와 화학 업종이 지난해 반도체 가격과 유가하락 영향으로 부진한 탓”이라며 “종사자 수는 부품업체를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감소폭이 컸다”고 말했다.
업종별로 보면, 작년 전자산업 가운데 D램 등 반도체부문은 공급과잉에 따른 단가 하락으로 출하액과 부가가치가 각각 6.5%, 4.7%씩 줄었다. 액정표시장치(LCD) 등 전자 부품은 해외경쟁 심화 및 단가 하락으로 각각 6.4%, 5.3%씩 감소했다. 통신·방송장비부문은 휴대폰 교체 주기 증가와 해외생산 확대 등으로 9.2%, 17.6%씩 줄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 부문의 출하 감소로 기계·장비산업 역시 출하액이 3.1%, 부가가치가 4.1% 감소했다.
석유정제산업은 국제유가 하락 및 석유제품 수출 감소로 출하액과 부가가치 모두 5.1%, 5.7%씩 감소했다. 화학산업도 화학제품 수출 부진에 따라 5.3%, 5.1%씩 줄어들었다. 철강산업은 해외경쟁 심화로 생산이 줄면서 각각 1.6%, 1.4%씩 감소했다.
반면 자동차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친환경차 등 고가차량 판매증가로 출하액과 부가가치가 각각 3.6%, 4.0%씩 늘었다. 조선산업 역시 선박 건조량 증가에 힘입어 7.0%, 4.5%씩 증가하는 등 호조를 보였다.
작년 사업체당 출하액은 220억9000만원, 부가가치는 8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각각 1.6%씩 줄어든 수치다.
이번 조사는 광업·제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지난 6월12일부터 7월26일까지 2018년 실적을 조사해 집계한 잠정 결과치다. 다음 달 말 이후 발표되는 확정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세종=뉴시스]
비즈N 탑기사
- 한의사협회, ‘코로나에 고춧대 특효’한의사 징계 요청 절차
- 가수 휘성, 프로포폴 투약 혐의 대부분 인정
- ‘도시어부2’ 김준현, 감성돔 43㎝ 낚아 짜릿한 전율
- 카지노 145억 사건 입닫은 경찰…피해 업체는 괴소문 속앓이
- 술 취해 7살 아들 폭행하고 맨발로 내쫓은 아빠 실형 선고
- “살고 싶다면 따라와” 백신맞은 74세 터미네이터가 한 말
- 바이든 취임복장은 ‘아메리칸 클래식’ 랄프로렌 정장
- 안철수 “조국, 마지막 양심 있다면 직접 딸 의료행위 막아야”
- “법무부 이건 아니잖아요” 박준영, 추미애·정한중 직격 비판
- 코로나 이겨내고 106세 생일 맞은 英할머니
- LG, 스마트폰 사업 철수 가닥
- 홍남기 “시스템 반도체 인력 부족…내년까지 3600명 육성”
- ‘실시간으로 골라보고 물어보고’… 비대면 ‘라이브커머스’가 뜬다
- 연기금 코스닥 투자 확대… 주식-국채 장기보유땐 세제 혜택
- 이재용 부회장 옥중 첫 메시지 “준법감시위 계속 지원”
- [DBR/Trend & Insight]선택과 집중, 참 좋긴한데… 위기엔 약했다
- BMW 뉴 4시리즈 쿠페·컨버터블 공개… 내달부터 순차 출시
- [단독]실신 원인 못찾던 70대 심장환자 ‘웨어러블 기기’로 살렸다
- ‘현대 EV 스테이션 강동’ 개소… 초고속 하이차저 8기 설치
- “밥 굶는 아이 없는 세상 만들자” 기업-정부-시민 힘 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