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올들어 36조 손실… 1년치 연금 날린 셈
박민우 기자
입력 2022-07-07 03:00:00 수정 2022-07-07 03:00:00
복합위기에 4월말 수익률 ―3.8%… 금리 인상 따라 하반기 전망 어두워
4년만에 年수익률 마이너스 가능성… 적립금 고갈 시기도 앞당겨질 수도
“이사장 공석 석달, 선임 서둘러야”

글로벌 복합위기로 자산시장 거품이 빠지면서 국민 노후자금 935조 원을 굴리는 국민연금의 연간 기금운용 수익률이 4년 만에 ‘마이너스’로 추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올해 들어 국민연금기금 손실 규모는 36조 원을 넘었다. 올해 30조 원 수준으로 예상되는 연간 국민연금 지급액을 날린 셈이다.
하반기(7∼12월) 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국민연금의 리더십 공백도 길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하루빨리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선임에 나서 기금운용 수익률을 점검하고 연금개혁에도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다.

6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공시에 따르면 4월 말 현재 국민연금기금의 전체 수익률은 ―3.79%로 잠정 집계됐다. 국민연금기금은 2019년 이후 연간 10% 안팎으로 높은 수익률을 거뒀지만 올해 1월(―3.82%)과 2월(―3.57%), 3월(―2.66%)에 이어 4월까지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올해 들어 국민연금기금 손실액은 36조2000억 원이다.
운용 자산군별로 살펴보면 금융부문에서 대체투자(5.22%)와 단기자금(0.88%)을 제외한 모든 자산이 손실을 봤다. 올해 들어 국민연금기금의 수익률이 악화된 건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전 세계 자산시장이 큰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올해 1분기 노르웨이, 네덜란드, 캐나다 등 연기금도 3% 내외의 마이너스 수익률을 나타냈다.
향후 전망도 밝지 않다. 인플레이션은 아직 정점에 도달하지 않았고 하반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 자산시장이 더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올해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 국민연금기금의 수익률은 악화될 수밖에 없지만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통해 최소한의 성과를 보여줘야 한다”며 “마이너스 수익률이 연금 고갈에 대한 국민들의 위기감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금개혁이 시급하지만 관련 움직임은 더디다.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2명이 연이어 낙마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기 때문이다. 올해 4월 김용진 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이 자진 사퇴한 후 이사장 자리는 석 달째 비어 있다. 제청권을 가진 복지부 장관 인선이 늦춰지면서 국민연금 수장 공백도 장기화된 것. 김용하 순천향대 IT금융경제학과 교수는 “국민연금이 이사장 공모 절차를 진행하고 복지부 장관 직무를 대행하는 차관이 제청권을 행사해 하루빨리 리더십 공백 사태를 해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은숙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정치적인 이유로 기금운용본부장의 근속 기간이 해외 주요 연기금에 비해 너무 짧다”며 “중장기적으로 전문적인 투자가 이뤄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민우 기자 minwoo@donga.com
4년만에 年수익률 마이너스 가능성… 적립금 고갈 시기도 앞당겨질 수도
“이사장 공석 석달, 선임 서둘러야”

글로벌 복합위기로 자산시장 거품이 빠지면서 국민 노후자금 935조 원을 굴리는 국민연금의 연간 기금운용 수익률이 4년 만에 ‘마이너스’로 추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올해 들어 국민연금기금 손실 규모는 36조 원을 넘었다. 올해 30조 원 수준으로 예상되는 연간 국민연금 지급액을 날린 셈이다.
하반기(7∼12월) 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국민연금의 리더십 공백도 길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하루빨리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선임에 나서 기금운용 수익률을 점검하고 연금개혁에도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다.
○ 4개월 연속 ‘마이너스’ 수익률

운용 자산군별로 살펴보면 금융부문에서 대체투자(5.22%)와 단기자금(0.88%)을 제외한 모든 자산이 손실을 봤다. 올해 들어 국민연금기금의 수익률이 악화된 건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전 세계 자산시장이 큰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올해 1분기 노르웨이, 네덜란드, 캐나다 등 연기금도 3% 내외의 마이너스 수익률을 나타냈다.
향후 전망도 밝지 않다. 인플레이션은 아직 정점에 도달하지 않았고 하반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 자산시장이 더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올해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 국민연금기금의 수익률은 악화될 수밖에 없지만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통해 최소한의 성과를 보여줘야 한다”며 “마이너스 수익률이 연금 고갈에 대한 국민들의 위기감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 “이사장 하루빨리 뽑아야”
국민연금기금의 올해 연간 수익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서면 국민연금 적자와 고갈 시기는 더 앞당겨질 수 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국민연금 적립금이 2038년 최대 수준인 1344조6000억 원에 이른 뒤 2055년에 고갈될 것으로 추계했다.연금개혁이 시급하지만 관련 움직임은 더디다.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2명이 연이어 낙마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기 때문이다. 올해 4월 김용진 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이 자진 사퇴한 후 이사장 자리는 석 달째 비어 있다. 제청권을 가진 복지부 장관 인선이 늦춰지면서 국민연금 수장 공백도 장기화된 것. 김용하 순천향대 IT금융경제학과 교수는 “국민연금이 이사장 공모 절차를 진행하고 복지부 장관 직무를 대행하는 차관이 제청권을 행사해 하루빨리 리더십 공백 사태를 해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은숙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정치적인 이유로 기금운용본부장의 근속 기간이 해외 주요 연기금에 비해 너무 짧다”며 “중장기적으로 전문적인 투자가 이뤄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민우 기자 minwoo@donga.com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테슬라 모델 Y 13개월차 유지비
- ‘우윳값 개편’에 단호한 정부…밀크플레이션 우려 커지며 소비자도 ‘불안’
- 유아 표 끊어 강아지 앉혔다 ‘벌금 40만원’…KTX “성인승차권 사야”
- 경기침체 신호탄?…실업수당 청구 늘어난 美, 韓도 고용 악화 우려
- 휴가철에 혼잡…영동선·서울양양선 많이 막힌다
- 해외여행 면세 한도 600→800달러, 술은 2병까지…“추석 전 적용”
- “기존 출력에 차세대 기술 통합”…페라리 ‘296 GTS’ 국내 출시
- 치솟는 물가에…대출이자 더 오른다
- 서울 아파트 경매도 찬바람…감정가 대비 2억원 낮아도 유찰
- 세입자 피눈물…집주인 체납에 떼인 전세 보증금 472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