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건강에 안 좋은 음식·식습관 7가지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입력 2022-07-04 14:00 수정 2022-07-04 14:00
조미료가 과다하게 들어간 음식을 섭취하거나 잘못된 식습관을 유지하면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미국 뉴욕포스트는 1일(현지 시간) 뇌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식습관 7가지를 정리해 소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설탕이 많이 첨가된 과일 주스
아침 식사 대용으로 과일 주스를 마시는 사람들이 있다. 물론 유용한 영양소가 함유된 과일 주스도 있지만, 설탕이 과다 첨가된 과일 주스도 많다. 설탕이 많이 든 과일 주스를 자주 마시면 뇌 기능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영양사 수전 켈리는 과일 주스 대신 과일을 통째로 먹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지나친 음주
장시간 술을 마시거나 반주하는 습관은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일을 기억하고,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쉽게 우울해질 위험도 있다.
게티이미지뱅크정제 설탕
아이스크림, 쿠키, 사탕 등이 뇌 건강에 좋지 않은 이유는 정제당 때문이다. 뇌와 소화기관은 서로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특별한 신경세포와 면역 경로인 ‘장-뇌 축(gut-brain axis)’으로 연결돼 있는데, 정제당이 장내 세균 불균형을 유발해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장 건강을 지키는 것이 정신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정제 곡물
정제 곡물 섭취를 최소화하는 것도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된다. 정제 곡물은 염증을 유발하는데, 지나친 염증 반응이 우울증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정제된 곡물보단 보리, 현미 등이 통곡물 형태로 들어간 제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게티이미지뱅크과식
과식을 하거나 단기간에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면 기억, 인지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과식은 당뇨병, 고혈압 및 심장병을 일으키는 비만을 유발하는데, 비만은 알츠하이머 및 기타 뇌 질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이어트 탄산음료
다이어트 탄산음료 섭취도 뇌 염증, 우울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 아직 더 많은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정신 건강 외에도 골밀도 감소 등 다이어트 탄산음료를 끊어야 하는 건강상의 이유는 많다.
염증성 식품
염증을 유발하는 음식을 피하는 것도 뇌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 염증을 유발해 뇌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음식은 정크 푸드, 튀긴 음식, 설탕이 들어간 제품, 붉은 고기 등이다.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

아침 식사 대용으로 과일 주스를 마시는 사람들이 있다. 물론 유용한 영양소가 함유된 과일 주스도 있지만, 설탕이 과다 첨가된 과일 주스도 많다. 설탕이 많이 든 과일 주스를 자주 마시면 뇌 기능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영양사 수전 켈리는 과일 주스 대신 과일을 통째로 먹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지나친 음주
장시간 술을 마시거나 반주하는 습관은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일을 기억하고,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쉽게 우울해질 위험도 있다.

아이스크림, 쿠키, 사탕 등이 뇌 건강에 좋지 않은 이유는 정제당 때문이다. 뇌와 소화기관은 서로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특별한 신경세포와 면역 경로인 ‘장-뇌 축(gut-brain axis)’으로 연결돼 있는데, 정제당이 장내 세균 불균형을 유발해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장 건강을 지키는 것이 정신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정제 곡물
정제 곡물 섭취를 최소화하는 것도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된다. 정제 곡물은 염증을 유발하는데, 지나친 염증 반응이 우울증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정제된 곡물보단 보리, 현미 등이 통곡물 형태로 들어간 제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과식을 하거나 단기간에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면 기억, 인지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과식은 당뇨병, 고혈압 및 심장병을 일으키는 비만을 유발하는데, 비만은 알츠하이머 및 기타 뇌 질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이어트 탄산음료
다이어트 탄산음료 섭취도 뇌 염증, 우울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 아직 더 많은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정신 건강 외에도 골밀도 감소 등 다이어트 탄산음료를 끊어야 하는 건강상의 이유는 많다.
염증성 식품
염증을 유발하는 음식을 피하는 것도 뇌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 염증을 유발해 뇌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음식은 정크 푸드, 튀긴 음식, 설탕이 들어간 제품, 붉은 고기 등이다.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
비즈N 탑기사
- 김소월 ‘진달래꽃’ 초판본 1.65억원…근현대문학 서적 경매 최고가
- “편의점이 휴게소냐”…신발 벗고 1시간 있다가 가져온 ‘닭뼈’ 버리고 간 男
- “자식 아니어도 후계자 가능”…세계 최고부자 루이비통 회장 발언 화제
- 코카인이 석유 제치고 콜롬비아 수출품 1위 등극 ‘오명’
- 지하철 선로로 빠진 내 휴대폰, 당황하지 말고…“위치 기억해 신고”
- 1.5㎞ 걸어 간 자폐 가출인…CCTV 관제센터 덕에 무사 귀가
- 포도주가 강처럼 흘러…포르투갈 양조장 탱크 터져
- 퇴근 후 운동하던 경찰들, 쓰러진 시민 구했다 “남편 잃을 뻔…감사”
- 잠 못 이루게 하는 ‘슈퍼 블루문’?…과학적 근거 있을까
- 5000원에 구매한 그림이 3억?…로또 맞은 골동품 애호가
- ‘꺾이지 않는 인기’… 농심 ‘먹태깡’, 600만 봉 넘게 팔렸다
- 일교차 커지는 가을철…“당신의 혈관은 공격 받습니다”
- “고금리 공포 몰려오나”…떨고 있는 영끌족
- 찾아가는 점포-글자 키운 ATM… ‘올드리치 잡기’ 은행의 변신
- “도무지 낫질 않네” 만성 통증…당뇨병이 원인일수 있다
- “형광등 교체도 집주인이?”… 전셋집 수리, 누가 해야 하나[부동산 빨간펜]
- 신세계, 이마트 등 대표 40% 교체… 유통업 인사 폭풍
- 올가을엔 낙조 맛집 ‘오이도’로 가볼까
- ‘화웨이 열풍’에도 완판된 아이폰15…동력 약해진 中 ‘애국소비’[글로벌 현장을 가다]
- 서울 아파트 전세가, 4년만에 최대폭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