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채무 첫 1000조 넘어… 나라 살림은 38조 적자
송충현 기자 , 세종=김형민 기자
입력 2022-06-17 03:00:00 수정 2022-06-17 03:00:00
한경연 “한국 부채비율 계속 상승땐
10년후 국가신용등급 1단계 하락”
올해 4월 말 기준 국가 채무가 사상 처음으로 1000조 원을 돌파했다. 16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재정동향 6월호’에 따르면 올해 4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1001조 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 전 981조9000억 원보다 19조1000억 원 증가한 수치로 중앙정부 채무 잔액이 1000조 원을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가 채무는 중앙정부 채무와 지방정부 채무를 합쳐 계산하는데 지방정부 채무는 1년에 한 번 산출하기 때문에 월간 재정동향에서는 중앙정부 채무를 국가 채무로 볼 수 있다. 올해 말 기준 국가 채무는 1068조8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나라 살림살이를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는 올해 4월 누계 기준으로 37조9000억 원 적자를 보였다.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에서 4대 보장성 기금을 빼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준다. 통합재정수지도 21조3000억 원 적자를 나타냈다. 국민연금기금과 고용보험기금 등 사회보장성기금 수지 흑자 폭이 축소됐고 이에 따라 통합재정수지 적자 규모는 1년 전보다 5조 원 늘었다.
4월 기준 정부 총수입은 245조9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8조3000억 원 늘었다. 이 중 국세 수입은 167조90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조5000억 원 늘었다. 하지만 총지출은 267조3000억 원으로 1년 사이 33조2000억 원 늘었다. 총수입보다 총지출이 더 크게 늘어나면서 재정수지가 더 악화된 셈이다.
갈수록 악화하는 재정 여건이 국가신용등급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이날 ‘국가부채비율과 국가신용등급 및 성장률 간 관계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일반정부 부채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2032∼2033년 국가신용등급이 한 단계 강등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우리나라의 일반정부 부채비율이 내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2.81% 오를 것으로 예상했는데 한경연은 일반정부 부채비율이 1%포인트 오르면 국가신용등급 점수가 0.049∼0.051점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한경연은 “기업의 경영 활력을 높이고 엄격한 재정 준칙으로 국가 부채를 제어해야 한다”고 밝혔다.
송충현 기자 balgun@donga.com
세종=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10년후 국가신용등급 1단계 하락”
올해 4월 말 기준 국가 채무가 사상 처음으로 1000조 원을 돌파했다. 16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재정동향 6월호’에 따르면 올해 4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1001조 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 전 981조9000억 원보다 19조1000억 원 증가한 수치로 중앙정부 채무 잔액이 1000조 원을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가 채무는 중앙정부 채무와 지방정부 채무를 합쳐 계산하는데 지방정부 채무는 1년에 한 번 산출하기 때문에 월간 재정동향에서는 중앙정부 채무를 국가 채무로 볼 수 있다. 올해 말 기준 국가 채무는 1068조8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나라 살림살이를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는 올해 4월 누계 기준으로 37조9000억 원 적자를 보였다.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에서 4대 보장성 기금을 빼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준다. 통합재정수지도 21조3000억 원 적자를 나타냈다. 국민연금기금과 고용보험기금 등 사회보장성기금 수지 흑자 폭이 축소됐고 이에 따라 통합재정수지 적자 규모는 1년 전보다 5조 원 늘었다.
4월 기준 정부 총수입은 245조9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8조3000억 원 늘었다. 이 중 국세 수입은 167조90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조5000억 원 늘었다. 하지만 총지출은 267조3000억 원으로 1년 사이 33조2000억 원 늘었다. 총수입보다 총지출이 더 크게 늘어나면서 재정수지가 더 악화된 셈이다.
갈수록 악화하는 재정 여건이 국가신용등급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이날 ‘국가부채비율과 국가신용등급 및 성장률 간 관계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일반정부 부채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2032∼2033년 국가신용등급이 한 단계 강등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우리나라의 일반정부 부채비율이 내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2.81% 오를 것으로 예상했는데 한경연은 일반정부 부채비율이 1%포인트 오르면 국가신용등급 점수가 0.049∼0.051점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한경연은 “기업의 경영 활력을 높이고 엄격한 재정 준칙으로 국가 부채를 제어해야 한다”고 밝혔다.
송충현 기자 balgun@donga.com
세종=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한전 상반기 14조 적자…‘연간 30조 적자’ 현실화 되나
- 손보업계 ‘물폭탄’… 차량 침수 피해액 사상최대 1300억원 육박
- 피곤해서 마신 커피, 효과 없는 이유 있었네
- 20개 추석 성수품 공급 1.4배 확대… 가격 작년 수준으로 낮춘다
- 코로나 전보다 3배 뛴 해상·항공운임…정부 “내년 예산에 반영”
- “한국 전기차도 북미산처럼 세제혜택 달라”…車업계, 美 IRA에 반발
- 스타벅스, 발암물질 나온 ‘서머 캐리백’ 리콜
- 차 보험료 내린다더니…물폭탄 때문에 물 건너가나
- 美 ‘인플레 정점론’ 고개… “긴축 속도 조절” 기대
- 전기차 전용 타이어, 20~30% 비싸도 잘 나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