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한미동맹 중심축’으로 역할 커져, 공급망 안정 기대… ‘中보복’ 역풍 우려도

송충현 기자

입력 2022-05-23 03:00 수정 2022-05-23 03:26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한미 정상회담]
한미, 반도체 등 협력 확대 논의
기업들, 경제-기술동맹 전면으로
美투자 확대 부담… 기술유출 위험도


한미 기업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참석 21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회의에서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왼쪽에서 다섯 번째)과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에서 여섯 번째), 국내외 주요 기업 대표들이 양국의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방한으로 한국과 미국의 동맹 관계가 ‘경제·기술동맹’으로 확장하면서 국내 기업들은 지난해 중국발 요소수 사태와 같은 공급망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키웠다. 글로벌 시장에서 첨단기술 분야 우위도 노릴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공급망 재구축 과정에서 중국의 견제는 위험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2일 재계와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한미 정상회담 등을 통해 반도체와 배터리 공급망과 인공지능(AI), 바이오 분야 기술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 미국의 반도체 장비업체와 삼성전자 등 한국의 반도체 생산업체 간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고 AI, 양자기술, 바이오기술 등 핵심·신흥 기술에 대한 양국의 민관 협력을 강화하자는 내용이다.

국내 기업들은 양국 정부가 만든 투자·기술협력의 장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양산 능력을 키우는 데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AI와 파운드리(위탁생산), 양자기술 등 아직 세계 시장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분야에서 양국이 민관 협력과 인력 교류를 통해 기술력 성장을 꾀할 수 있게 된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자국 중심주의로 재편되는 글로벌 공급망 환경에서 든든한 우군을 확보한 점도 국내 기업들엔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다음 달 출범할 예정인 장관급 공급망 회의를 통해 수출통제 등 공급 이슈에 대해 긴밀히 협력해 ‘제2의 요소수 사태’ 등을 미연에 방지할 방침이다.

반면 전체 반도체 수출 시장의 약 40%를 중국이 차지하는 상황에서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미국과의 기술동맹이 자칫 역풍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국내 산업 공급망의 중국 의존도가 여전히 커 급격한 전환이 어려운 점도 걸림돌이다. 22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미국과의 밀착을 중국이 문제 삼아 보복 조치를 하면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는 한국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하기도 했다. 다만 정부는 중국 측과도 경제협력 소통을 강화해 조화로운 한미-한중 경제협력을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반도체, 배터리 등 미국 내 생산시설 확대로 기술 유출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우리 기업들로선 부담이다. 재계 관계자는 “미국 내 공장이 늘어날수록 우리 기술이 미국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송충현 기자 balgun@donga.com



관련기사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