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무서운 이유 따로 있네…젊다고 방심은 ‘금물’

뉴시스

입력 2022-05-16 09:21 수정 2022-05-16 09:21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매년 5월17일은 고혈압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세계 고혈압 연맹이 제정한 ‘세계 고혈압의 날’이다. 고혈압은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까지 대부분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20~30대 젊은층 환자도 증가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고혈압은 세계적으로 매년 940만 명이 합병증으로 사망할 만큼 매우 위험한 질환이다.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에 따르면 국내 고혈압 환자는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20세 이상 성인 중 29%, 65세 이상 성인에서는 61% 가량이 고혈압으로 진단받고 치료 중이다.

고혈압은 만성적으로 동맥의 혈압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혈압은 심장이 혈액을 내보낼 때 생기는 압력인 수축기 혈압과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면서 생기는 압력인 이완기 혈압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는 진료실에서의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고혈압이라고 진단한다. 정상 혈압의 범위는 동맥이 수축할 때 120mmHg 미만, 이완할 때 80mmhg 미만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수축기 혈압이 120mmHg~139mmHg, 이완기 혈압이 80~89mmHg라면 고혈압 전 단계로 보고 이때부터 본격적인 혈압 관리를 권장하고 있다.

고혈압은 주로 40대 이상 중년에서 흔히 발생하지만, 젊다고 해서 고혈압 발병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것은 아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고혈압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 수는 671만 671명으로 2016년(589만 553명)보다 약 14%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젊은층 환자가 눈에 띄게 늘었다. 2020년 고혈압 진단을 받은 20~30대 환자 수는 23만 5417명으로 2016년(18만 3685명)보다 약 23% 증가했다. 전체 고혈압 환자 증가율을 웃돈 것이다.

고혈압은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발생하는 일차성 고혈압과 기저질환으로 발생하는 이차성 고혈압으로 나눠진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고혈압은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본태성 고혈압이 대부분이다. 본태성 고혈압이 생기는 근본적인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심박출량이나 말초혈관 저항의 증가, 가족력이나 음주, 흡연, 고령, 운동 부족, 비만, 짜게 먹는 식습관, 스트레스 등 환경적 요인들이 고혈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혈압이 무서운 이유는 합병증이다. 고혈압은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까지 대부분에서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게 특징이다. 고혈압이 ‘조용한 살수’라고 불리는 이유다. 고혈압은 우리 몸의 주요 장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킨다. 심장이 대표적이다. 혈압이 높아지면 심장이 혈액을 내보내는 과정에서 더 많은 힘을 쓰게 돼 심장벽이 두꺼워지거나 심장의 기능이 떨어지는 심부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심장혈관 내막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고 딱딱하게 굳어지면서 막히는 동맥경화증이 진행돼 혈액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협심증과 심근경색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뇌혈관에도 문제를 일으켜 뇌출혈과 뇌경색, 뇌졸중, 치매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모세혈관이 몰려 있는 신장을 빠르게 손상시켜 만성 콩팥병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홍진헌 세란병원 내과 과장은 “육류 위주의 식단을 채소 위주로 바꾸고 소금 섭취를 일부 제한하는 식이요법과 유산소 운동을 통한 체중조절을 꾸준히 하는 것만으로도 혈압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며 “다만 이런 방법으로도 목표 혈압에 도달하지 않는다면 의료진과 충분한 상의 후에 곧바로 약물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에는 중장년 뿐 아니라 젊은 층에서도 고혈압 진단을 받는 경우가 흔해지고 있어 조금이라도 젊을 때 관리를 시작해야 더 나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며 “나이를 믿고 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검증되지 않은 방법으로 자가 치료하면 상태가 더욱 악화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