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달 넘은 우크라 전쟁…‘전시·펀딩·기부’ 선한 영향력

뉴시스

입력 2022-05-02 10:49 수정 2022-05-02 10:49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지 2개월이 지났다.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는 러시아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가 입은 물리적 피해가 74조2000억원에 이른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한국 정부는 최근 우크라이나 국민과 피난민을 위한 추가적인 인도적 지원 물품을 전달했으며 여러 단체들의 후원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IT기업도 우크라이나 회복을 위해 뜻을 모으고 있다. 모금을 위한 NFT(대체불가능토큰) 전시회부터 펀딩 조성까지 다양하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 플랫폼 ‘스페이셜’은 지난 3월말 세계 최대 NFT 거래소 오픈씨와 손잡고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한 ‘평화와 통일의 전시’를 열었다. 해당 전시는 스페이셜이 개최한 첫 인도주의적 예술 전시회다.

해당 전시에는 ▲리나드 ▲크리스타 킴 ▲비틀스의 드러머 링고 스타 등 유수의 아티스트가 참여해 다양한 NFT 작품을 선보였다.

모금을 위한 NFT 드롭도 진행됐다. 스페이셜은 이번 전시를 위해 확장현실(XR) 디자인 스튜디오 폴리카운트와 협력해 우크라이나의 실제 독립 기념비를 3D 모델로 재창조해냈다.

스페이셜에서 재창조한 독립 기념비는 NFT로 1000개 한정 에디션으로 발행됐다. 드롭을 통해 모인 수익금 전액은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기부될 예정이다.

우크라이나 출신의 3D 아티스트인 맥스 쉬카와의 협업으로 전시회의 의미를 더했다. 맥스 쉬카와 폴리카운트가 주축이 되어 전시회 공간인 ‘평화의 파빌리온’ 제작에 참여했다. 해당 전시회장은 우크라이나를 상징하는 노란 밀밭을 배경으로 한 돔 형태의 가상 공간이다. 우크라이나의 평화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기획됐다.

국내 소셜 펀딩 플랫폼 ‘와디즈’는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과 국내 산불 재난 사태의 심각성에 공감하고 구호의 뜻을 전하고 싶은 지지자들을 모으기 위한 긴급구호 펀딩을 진행했다.

두 펀딩은 운영 이후 3일만에 약 1000만원이 모였다. 특히 페이스북 공유만으로도 모금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기부 편의성을 높였다. 후원 참여를 원하는 사람이 ‘지지서명’ 버튼을 통해 페이스북에 공유할 때마다 1인당 2022원을 추가 기부하는 방식이다.

우크라이나 구호 펀딩은 지난 3월22일 종료됐다. 펀딩과 지지서명으로 모인 우크라이나 모금액은 ‘한국 해비타트’와 ‘국경없는의사회’에 전달됐다. 전쟁 피해 주민의 주거 마련과 의료 지원을 위해 기부됐다.

블록체인·핀테크 기업 ‘두나무’는 지난 3월 유엔세계식량계획(WFP)과 함께 우크라이나 주민 식량 지원을 위한 기부금 기탁식을 진행했다. 국내 기업 중 WFP의 우크라이나 긴급 구호 활동에 기부한 것은 두나무가 처음이다.

두나무가 WFP에 전달한 기부금은 총 10억원이다. 해당 기부금은 160만명 이상의 우크라이나 현지와 피난민에게 하루치 식량을 지원할 수 있는 규모다.

기부에 동참하는 회원들도 지원하고 나섰다. 두나무는 지난 3월20일까지 우크라이나 정부의 공식 지갑으로 전송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에 대한 출금 수수료 전액을 지원하고 회원들에게 우크라이나 기부를 증명하는 NFT를 지급했다.

해당 기간 동안 기부에 참여한 업비트 회원은 902명이다. 약 1억6000만원 상당의 디지털 자산을 우크라이나에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티몬’은 국제구호개발 NGO 월드비전과 손잡고 지난달 18일부터 약 2주간 우크라이나 분쟁 피해 아동을 지원하기 위한 참여형 ‘소셜기부 글로벌’ 캠페인을 진행했다.

티몬은 2010년부터 참여형 기부 프로그램 ‘소셜기부’를 운영해오고 있다. 이번 ‘소셜기부 글로벌’ 신규 캠페인을 통해 해외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게도 따뜻한 마음을 전하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티몬 고객들이 소셜기부 페이지에서 2000원부터 1만원까지 자유롭게 후원 금액을 선택해 기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모금액은 월드비전을 통해 ▲비누·기저귀·응급처치 키트 등 필수품 지원 ▲심리적 응급 치료·교육 환경 지원 ▲난민수용시설 개선과 공공시설 개보수 지원 등에 사용된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