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점대의 연구중심 전환이 지역 균형발전 핵심”

이종승 기자

입력 2022-03-30 03:00 수정 2022-03-30 03:0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거점대총장협, 오늘 정책포럼

국가거점국립대는 오래전부터 국가 균형발전에 거점국립대의 연구중심대학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해 오고 있다. 거점국립대는 기틀을 잡아가고 있는 혁신도시와 거점국립대의 연구 기능, 국책연구소 등이 융합하면 지역산업을 선도할 ‘연구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은 지난해에 열렸던 국가거점국립대 총장협의회 2차 정책 포럼. 동아일보DB

지역대학 육성을 통한 지역 균형발전과 지방 과학기술 주권 시대를 열어 지방의 자생력을 강화하자는 것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주요 공약이다. 지난 대선에서 지역 균형개발을 위해 지방 소재 대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내건 정책이다.

윤 당선인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지역균형개발특별위원회를 설치해 지역 균형개발이 새 정부의 핵심 정책이 될 것임을 예고했다.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도 교육(대학)의 기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산업 및 노동과 연계해 종합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가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가 30일 ‘국가 균형발전과 지역대학 역할’을 주제로 정책포럼을 연다. 서울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열리는 ‘2022년 제1차 고등교육 정책포럼’에는 김병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개발특위 위원장이 참석해 균형발전에서 지방 소재 대학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날 포럼에서 국가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는 국가거점 국립대의 연구중심 대학 전환이 윤 당선인의 공약 실현을 위해 필요한 조치라고 촉구할 계획이다.

총장협의회는 오래전부터 9개의 국가거점국립대의 연구중심 대학 전환이 지역 균형발전에서 핵심 요소라고 주장해왔다. 국가거점국립대는 광역 자치단체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고등교육 기관으로 강원대, 경북대, 경상국립대,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 등이다.

이 대학들은 지역에서 산학협력을 비롯해 연구개발(R&D), 기초연구 등 지역사회 전반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총장협의회는 지역이 수도권과 경쟁하는 데 효과적인 정책으로 국가거점 국립대의 역량 강화를 꼽는다. 대학이 지역 발전에 선순환 역할을 하면 수도권에 몰리는 과밀 압박을 자연스레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혁신도시들과 대학의 융합을 통해 제대로 된 지역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정성택 전남대 총장은 사전 배포 자료에서 국가거점국립대가 연구중심 대학이 되려면 △과학기술특성화대학(KAIST, UNIST, DGIST, GIST, 포스텍) 수준의 재정 지원과 △지역별 연구거점 구축 △지자체-지역 대학 협력의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권순기 경상국립대 총장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지방대학에 지역혁신연구센터(RLRC)와 기초과학연구원(IBS)의 규모을 줄인 IBS 등 다양한 연구조직을 배치하고, 지역 산업에 기여하는 특성화 대학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이 세계 5대 과학기술강국으로 도약하려면 전국에 20개 이상의 연구중심 대학을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동원 국가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장(전북대 총장)은 “IBS사업단은 UNIST 사례에서 보듯 연구인력 확보와 연구의 질 향상, 높은 대학 평가로 이어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해왔다.

IBS사업단은 현재 서울대, KAIST, UNIST, 포스텍 등에 집중돼 있는 반면에 국가거점국립대에는 부산대에만 설치돼 있다. 국가거점국립대는 IBS사업단을 고리로 과학특성화 대학과 시너지를 내기 위해 이용훈 UNIST 총장과 긴밀하게 논의하고 있다.

오세정 서울대 총장은 ‘대학의 미래―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연구중심 대학’이란 발제문에서 지역별로 특성화된 연구중심 대학 육성이 대학4.0 시대에 적합한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이종승 기자 urisesang@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