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 국산 밀 1만4000t 비축
정미경 기자
입력 2022-03-16 03:00:00 수정 2022-03-16 03:00:00
매입시기 6월로 한달 앞당겨… 건조저장 부족한 곳은 산물 매입

올해 정부가 민간으로부터 매입하는 밀 가격이 40kg당 3만9000원(일반 양호 등급)으로 정해졌다. 또 올해 정부의 국산 밀 비축량은 지난해보다 5600t 늘어난 1만4000t으로 정해졌다. 매입 품종은 국내 밀 생산농가에서 주로 재배하는 금강, 새금강, 조경, 백강 등 4개 품종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5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 국산 밀 비축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국산 밀의 안정적인 공급을 유도하고 소비 기반을 늘리기 위해 매년 일정량을 생산농가로부터 매입해 비축하고 있으며 매입 물량도 늘리고 있다. 올해 밀 매입 방식은 3가지 측면에서 개선된다.
우선 매입 시기가 6월로 앞당겨진다. 지난해 장마 기간인 7월 말에 매입하는 바람에 농가에서 밀 보관에 어려움이 많았던 것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함께 건조저장 시설이 부족한 지역을 대상으로 산물(産物) 매입이 시범 시행된다. 지역농협과 협력해 농가에서 생산한 밀을 인근 농협의 건조 시설을 이용해 건조한 뒤 정부에서 매입하는 방식이다. 시범 사업에는 4개 지역농협(군산 회현, 부안 하서, 무안 청계, 의령 동부)이 참여한다. 생산단지는 지역농협과 협의해 매입 일정과 물량을 정하게 된다.
또한 비축 밀 품질검사 전에 밀의 단백질 함량을 알고 싶은 농가는 인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사무소에 의뢰해 무료 분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김보람 농식품부 식량산업과장은 “최근 국제곡물가가 상승해 식량작물 수급을 안정시키는 게 중요해졌다”며 “국산 밀 비축 확대 등 밀 자급률 제고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꾸준히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미경 기자 mickey@donga.com

올해 정부가 민간으로부터 매입하는 밀 가격이 40kg당 3만9000원(일반 양호 등급)으로 정해졌다. 또 올해 정부의 국산 밀 비축량은 지난해보다 5600t 늘어난 1만4000t으로 정해졌다. 매입 품종은 국내 밀 생산농가에서 주로 재배하는 금강, 새금강, 조경, 백강 등 4개 품종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5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 국산 밀 비축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국산 밀의 안정적인 공급을 유도하고 소비 기반을 늘리기 위해 매년 일정량을 생산농가로부터 매입해 비축하고 있으며 매입 물량도 늘리고 있다. 올해 밀 매입 방식은 3가지 측면에서 개선된다.
우선 매입 시기가 6월로 앞당겨진다. 지난해 장마 기간인 7월 말에 매입하는 바람에 농가에서 밀 보관에 어려움이 많았던 것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함께 건조저장 시설이 부족한 지역을 대상으로 산물(産物) 매입이 시범 시행된다. 지역농협과 협력해 농가에서 생산한 밀을 인근 농협의 건조 시설을 이용해 건조한 뒤 정부에서 매입하는 방식이다. 시범 사업에는 4개 지역농협(군산 회현, 부안 하서, 무안 청계, 의령 동부)이 참여한다. 생산단지는 지역농협과 협의해 매입 일정과 물량을 정하게 된다.
또한 비축 밀 품질검사 전에 밀의 단백질 함량을 알고 싶은 농가는 인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사무소에 의뢰해 무료 분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김보람 농식품부 식량산업과장은 “최근 국제곡물가가 상승해 식량작물 수급을 안정시키는 게 중요해졌다”며 “국산 밀 비축 확대 등 밀 자급률 제고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꾸준히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미경 기자 mickey@donga.com
비즈N 탑기사
- 별, 막내딸 송이 안고 절친 테이 결혼식 참석 “제일 멋진 신랑”
- “어묵 5000원어치는 안 팔아”…지역 축제 ‘바가지’ 또 도마
- “연매출 25억” 하버드 출신 한인 여성 아이스크림 가게 대박 비결은?
- 중3 학부모 82% 미적분·기하 선호…“쏠림 심해질 것”
- “나는 사회주의자” 병역거부한 30대…항소심에서도 패소
- 휴대폰 가져왔다고…“물에 빠뜨려라” 중학교사 극단처벌 시끌
- “숨이 턱턱”…때 아닌 ‘5월 폭염’에 강릉은 이미 피서철 풍경
- 아이유, 표절 혐의로 고발당했다…소속사 “허위사실” 맞불
- “경찰에게 납치됐다”…대학 제적 숨기려 납치 자작극 벌인 美 여성
- 김소연, 결국 ‘이상우 보일러’ 일화 해명…“건강 생각해주는 남편”
- 삶을 바꾸고 싶다면 이것부터 살펴라[직업인을 위한 김호의 생존의 방식]
- MZ세대 핫플 찾는 외국인들 “뻔한 관광지 NO”
- 대출규제 풀자 6억~15억 아파트 숨통… 서울 매매의 60% 차지
- 자영업자 4년새 180만명 증가, 月평균소득 160만원까지 추락
- 수도권 아파트 값도 17개월 만에 ‘상승’ 전환…서울은 상승 폭 유지
- 항공요금 향후 10~15년간 더 오른다… 이유는?
- 삼성·청담·대치·잠실 토지거래허가 연장…“10월 재논의”
- 스마트 워치로 일상서 혈압-심전도 측정… 자는 동안 수면분석도
- 450만원짜리 애플 ‘MR 헤드셋’… “눈-손-목소리로 앱 열고 게임”
- 회장이 직접뛴다… 신동빈, 일본 소비재 포럼서 ‘부산 엑스포’ 유치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