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는 자율주행차 상용화 코앞인데…“정부 정책·재정 지원 미흡”

뉴스1

입력 2022-03-15 15:59 수정 2022-03-15 16:02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 뉴스1 © News1

미국, 중국 등 자율주행자동차 기술 선도국들이 국가 지원을 등에 업고 자율주행 상용화에 근접한 반면, 국내 자율주행차 기술은 이들 기술 선도국들에 비해 뒤처져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자율주행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의 재정·정책적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원택 에이스랩 대표는 15일 자동차산업연합회가 ‘자율주행차 산업현황과 발전과제’를 주제로 개최한 ‘제24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임 대표는 “자율주행 혁신 기술은 미국의 웨이모, 크루즈, 테슬라, 유럽의 독일3사, 중국의 바이두 등 민간 업체 주도로 기술개발 경쟁이 진행되고 있다”며 “이와 같은 주요업체의 기술 주도를 위해 주요국은 충분한 정책적 지원을 시행 중“이라고 했다.

그는 미국은 2010년부터 막대한 자금과 인력을 투자하고 있고, 중국은 후발주자임에도 정부의 막대한 지원으로 업체들이 빠르게 자율주행 상용화 단계에 접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 대표는 ”국내는 2027년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 목표로 장기적 관점에서 대응하고 있다. 주요국과 비교시 투자금과 전문인력이 선도국 대비 절대적 열세에 있다“고 지적하면서 해외 주요 업체와 유사한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정부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19년 국가별 AI(인공지능) 기술인력 유·출입 현황을 보면 독일의 경우 547.43명, 일본은 454.77명, 영국은 233.22명, 미국은 186.19명이 유입됐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반대로 35.04명이 유출됐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 KPMG의 자율주행 도입준비 지수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는 7위에 불과했다.

그는 ”민간 중심의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위한 투자 활성화 및 신규창업 촉진 정책이 필요하다“며 ”신기술을 시험하기 위한 대규모 테스트베드(testbed) 구축, 산학연 연계를 통한 신규인력 양성과 AI 등 관련 분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방지, 국내유입을 위한 국가적 지원이 병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창성 자동차산업협회 스마트안전실 실장도 주제 발표에서 ”우리 자율주행 산업은 미국, 중국 등 기술 선도국과 비교하면 기술 수준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시범서비스 차량을 1000대 이상 운영해 시범서비스 주행거리 합계가 2100만~3200만㎞에 달하는 미국과 중국에 비해 30대라는 적은 수의 시범서비스 차량밖에 운행하고 있지 않은 우리나라의 주행거리 합계는 단 72만㎞밖에 되지 않는다. 조 실장은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 축적에 뒤처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Δ택시형 자율주행 서비스 허용 Δ기업 수요에 맞춘 시범운행지구 탄력적 지정·운영 Δ레벨4 자율주행차 제작·출시에 맞춘 적합한 안전기준 정립 등 관련 규정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