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촉즉발’ 우크라 사태, 실물-금융 韓경제 전반에 족쇄로

뉴스1

입력 2022-02-20 07:19 수정 2022-02-20 07:19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2022.2.18/뉴스1

일촉즉발로 치닫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한국의 실물 경제와 금융 부문에 총체적인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안 그래도 불안했던 원유와 원자재 가격이 치솟고 증시·환율 등 금융 불안도 심화하면서 우리 경제 성장률을 끌어내리는 힘이 연초 예상보다 강해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언급했던 정부도 최근에는 총력 대응 방침을 밝히는 등 긴장을 곤두세우는 중이다.

20일 정부에 따르면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지난 15일 개최한 제3차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태스크포스(TF)에서 “(우크라이나 지역의) 정세 불안이 심화될 경우 원자재를 비롯한 공급망 차질, 실물경제 회복세 제약,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 등 국내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11일 “우크라이나 사태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한 것과 비교하면 경고 수위를 한층 높인 셈이다.

이 차관은 “만일의 사태에도 실물경제 위축을 방지하고 금융시장 변동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할 계획”이라며 “유사시 즉각 대응할 수 있게 기존에 마련한 기관별 행동 계획(action plan)을 구체화하고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실물경제 타격 불가피…원유·원자재 수입물가 ‘껑충’

우크라이나 사태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원자잿값 등 수입물가 상승에 기름을 붓고 있다. 러시아가 작년 12월 말 벨라루스-폴란드를 거쳐 독일로 연결되는 야말-유럽 가스관 공급을 중단하면서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폭등했고 이는 원유 등 다른 에너지·원자재 가격의 추가 상승을 불렀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전월보다 4.1% 상승한 132.32(2015년=100)를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30.1% 급등한 수치다.

수입물가를 이같이 높게 끌어올린 주된 원인은 원유·광산품 등 원자잿값 폭등이었다. 특히 원유가 전월보다 15.0% 치솟았다.

수입물가 급등은 생산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기업의 원가 부담을 키운다. 이러면 원가 상승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운 중소기업부터 경영이 악화하게 된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지난 18일 발간한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현황 및 우리 기업 영향’ 보고서에서 “국내 기업의 경우 원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인해 무역수지 악화와 제조원가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기업만 아니라 국가 전체로도 손실이 예상된다. 글로벌 유가 상승은 원유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성장률을 하락시키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 8일 보고서에서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까지 오르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은 0.3%포인트(p)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2020년 기준 한국의 원유 의존도(국내총생산 대비 원유소비량)는 5.70배럴로 OECD 37개국 중 1위인데, 국제 유가가 치솟으면 정유, 철강, 화학 등 많은 부문에서 비용 상승 압력이 올라 산업경쟁력이 약화하고, 거시경제까지 위축된다는 계산이다.

◇금융 불안 진폭 커졌다…美긴축 파문에 설상가상

우크라이나 사태는 증시는 물론 우리 경제 성장에 중요한 요소인 환율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증시의 경우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마저 정세 악화 때마다 급락을 면치 못하고 있다. 예컨대 코스피는 지난 18일 우크라이나 지역 정세 불안이 고조되자 장 초반 하락세를 보이다가 미·러 외무장관 회담 개최 소식에 낙폭을 만회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이어가는 중이다.

글로벌 증시는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라 하락세를 띨 가능성이 커졌는데 여기에 우크라이나 사태까지 가세해 불확실성이 더욱 커진 셈이다.

달러·원 환율이 1200원 선을 오르내리는 데에도 우크라이나 정세 영향이 크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자칫 국제 전쟁이 발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키우고 이것이 환율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환율 상승은 원자재 가격 상승과 유사한 효과를 낸다. 수입 물가 상승을 촉발해 국내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무역수지 적자로도 연결될 수 있고, 환변동에 취약한 중소기업 일부가 좌초될 가능성도 있다.

문제는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국제 정세가 빠른 시일 내 개선되기는 힘들단 점이다.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서방과 러시아의 입장이 팽팽해 단기간 내 리스크 해소가 어렵고 전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우리 기업의 피해 우려가 적지 않다”며 “정부는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수출기업을 위한 무역보증 확대, 현물결제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