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가정은 안녕하신가” 작가 10명이 본 ‘가정폭력’
김태언 기자
입력 2022-01-24 03:00:00 수정 2022-01-24 03:15:11
서울대미술관 ‘밤을 넘는 아이들’
회화 사진 등 통해 억압 표현
신희수의 네버랜드-경계의 아이들. 서울대미술관 제공
‘당신의 가정은 어떤가요?’
서울 관악구 서울대미술관의 ‘밤을 넘는 아이들’ 전시는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작가 10명이 가정에서 정신적, 신체적 폭력을 당하는 아이들을 주제로 제작한 회화, 사진, 설치, 영상작품 104점을 선보인다.
작품에는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개인적 경험이 담겨 있다. 김수정의 ‘The war: 가장 일상적인’(2017년)은 단소, 골프채, 우산 등을 진열해놓은 작품이다. 일순간 ‘사랑의 매’로 돌변하는 생활도구를 통해 화목한 가정 이면에 도사린 억압을 표현했다. 고경호는 돌이나 졸업사진 등 가족 앨범에서 흔한 장면을 그린 ‘들러리’(2019년)를 통해 한 가정의 아들로서 기대되는 역할과 실제 자신 사이의 괴리감을 표현했다.
작가들은 각기 색다른 시선으로 주제를 풀어낸다. 민진영은 집 구조물을, 신희수는 가정 밖 청소년을 통해 가정폭력을 이야기한다. 민진영의 ‘Between Roof and Roof’(2012년)는 완벽해 보이는 집 사이로 깜빡이는 빛이 새어나오게 한 설치작품. 바깥을 향한 누군가의 신호는 보금자리처럼 보이던 집이 실은 고립된 공간이라는 긴장감을 준다. 신희수의 ‘네버랜드―경계의 아이들’(2020년)은 실제 가정 밖 청소년과 그들의 물건을 담은 사진 시리즈다. 이들은 가방 대신 종이쇼핑백이나 비닐봉투를 들고 다닌다. 그 안에는 피임약이나 슬리퍼도 있지만 자랑스레 간직해온 한 장의 상장도 있다. 작품 사이에 둔 스마트폰에서는 아이들의 인터뷰 녹취가 흘러나온다.
“집 나왔으면 들어가라는 소리 좀 안 했으면 좋겠어요. 대신 위로와 공감을 해줬으면 좋겠어요. 우리도 용기 내서 나온 이유가 있어요.”
“저 하고 싶은 거 엄청 많아요. 비행기도 타보고 싶고 로켓도 타보고 싶고….” 3월 13일까지. 무료.
김태언 기자 beborn@donga.com
회화 사진 등 통해 억압 표현

‘당신의 가정은 어떤가요?’
서울 관악구 서울대미술관의 ‘밤을 넘는 아이들’ 전시는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작가 10명이 가정에서 정신적, 신체적 폭력을 당하는 아이들을 주제로 제작한 회화, 사진, 설치, 영상작품 104점을 선보인다.
작품에는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개인적 경험이 담겨 있다. 김수정의 ‘The war: 가장 일상적인’(2017년)은 단소, 골프채, 우산 등을 진열해놓은 작품이다. 일순간 ‘사랑의 매’로 돌변하는 생활도구를 통해 화목한 가정 이면에 도사린 억압을 표현했다. 고경호는 돌이나 졸업사진 등 가족 앨범에서 흔한 장면을 그린 ‘들러리’(2019년)를 통해 한 가정의 아들로서 기대되는 역할과 실제 자신 사이의 괴리감을 표현했다.
작가들은 각기 색다른 시선으로 주제를 풀어낸다. 민진영은 집 구조물을, 신희수는 가정 밖 청소년을 통해 가정폭력을 이야기한다. 민진영의 ‘Between Roof and Roof’(2012년)는 완벽해 보이는 집 사이로 깜빡이는 빛이 새어나오게 한 설치작품. 바깥을 향한 누군가의 신호는 보금자리처럼 보이던 집이 실은 고립된 공간이라는 긴장감을 준다. 신희수의 ‘네버랜드―경계의 아이들’(2020년)은 실제 가정 밖 청소년과 그들의 물건을 담은 사진 시리즈다. 이들은 가방 대신 종이쇼핑백이나 비닐봉투를 들고 다닌다. 그 안에는 피임약이나 슬리퍼도 있지만 자랑스레 간직해온 한 장의 상장도 있다. 작품 사이에 둔 스마트폰에서는 아이들의 인터뷰 녹취가 흘러나온다.
“집 나왔으면 들어가라는 소리 좀 안 했으면 좋겠어요. 대신 위로와 공감을 해줬으면 좋겠어요. 우리도 용기 내서 나온 이유가 있어요.”
“저 하고 싶은 거 엄청 많아요. 비행기도 타보고 싶고 로켓도 타보고 싶고….” 3월 13일까지. 무료.
김태언 기자 beborn@donga.com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115년만 폭우에 유통업계 ‘날벼락’…별마당도서관도 누수
- “한국여행객 압도적 1위”…한국인 몰리는 해외여행지는? [여행라이브]
- 네카오 토종 SNS, 인스타-틱톡과 ‘영토싸움’
- 하룻밤새 폭우로 4800대 침수…보험사 손해액 660억원 육박
- PC방 “임대료 270만원인데, 전기료 350만원”…소상공인 ‘전기료 한숨’
- 한전, 2분기 영업적자 5조 원 이상 예상…전기료 인상 필요성 커져
- 침수차 6800대…이런 경우 보험금 못 받는다
- 금리 인상 끝이 보인다? …신흥국 주식·채권 펀드로 자금 유입
- “다시 내리막 오나”… 웃지 못하는 정유업계
- 편의점 “MZ세대 잡아라”… 유튜브 경쟁에 콘서트 열고 트렌드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