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저소득층, ‘국민취업지원’ 3개월 내 취업시 최대 350만원 받는다
주애진기자
입력 2022-01-04 14:36:00 수정 2022-01-04 16:00:28

올해부터 국민취업지원제도를 이용해 조기 취업에 성공하면 50만 원의 조기취업수당을 받는다. 취업 전 구직촉진수당과 조기 취업 후 취업수당을 합치면 최대 350만 원의 현금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통해 60만 명의 취업을 지원한다고 4일 발표했다. ‘한국형 실업부조’로 불리는 국민취업지원제도는 고용보험의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이 일자리를 구하는 데 전념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생계와 취업 지원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지난해 도입됐다. 지원자의 소득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첫 번째 유형에 참여하면 취업지원서비스를 받으면서 구직촉진수당을 받을 수 있다. 중위소득 60% 이하(1인 가구 116만6887원)면서 재산이 4억 원 이하인 15~64세 구직자가 대상이다. 청년(18~34세)은 중위소득 120%(1인 가구 233만3774원)까지 신청할 수 있다. 참여자는 매달 50만 원씩 6개월간 최대 300만 원의 구직촉진수당을 받는다. 이를 통해 취업한 뒤 6개월 이상 해당 회사에 다니면 50만 원, 1년간 다니면 100만 원의 취업성공수당도 받을 수 있다.
두 번째 유형은 중위소득 100% 이하면 재산 규모와 관계없이 신청할 수 있다. 청년은 소득 요건도 따지지 않는다. 구직수당 없이 취업지원서비스에 초점이 맞춰진 유형이다. 첫 번째 유형과 달리 취업경험이 없는 사람도 신청 가능하다.
올해부터는 첫 번째 유형 참여 후 3개월 내 취직하면 50만 원의 조기취업성공수당을 별도로 받는다. 3개월간 매달 구직촉진수당 50만 원씩 150만 원을 받고 취업에 성공하면 50만 원, 이후 1년간 근속하면 150만 원을 더 받아 최대 350만 원을 받는 셈이다.
지난해부터 청년의 지원요건을 대폭 완화하면서 일각에서는 ‘퍼주기식’ 선심성 지원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난해 7월 정부는 청년에 한해 소득요건을 중위소득 120%로 낮추고 취업경험이 없는 청년도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노동연구원의 설문 결과 지난해 참여자들은 받은 수당을 주로 생활비(76.4%)로 썼다. 구직활동비용(50.3%)이나 구직 관련 직접 비용(42.8%)으로 썼다는 응답은 절반 수준에 그쳤다.
주애진 기자 jaj@donga.com
비즈N 탑기사
- ‘대학교 도서관 폭탄 설치’ 거짓글 올린 20대, 집행유예
- 올 여름 평년보다 덥다는데…초유의 폭염 올까
- ‘고소득·명문대 男만 가입’ 데이팅앱…인권위 “차별은 아냐”
- 동물 학대 영상·이미지 전년 대비 183% 급증
- 208만원짜리 초고가 우산 中서 출시…정작 방수 안돼 ‘뭇매’
- 대낮 거실에 웬 낯선 남자가…아파트 무단침입 20대 입건
- 코로나19 검사 중 면봉 통째로 삼킨 英여성…응급 수술받아
- “2살 아이 피흘리며 우는데…어린이집 5시간 방치했다” (영상)
- 멜라니아 “백악관 재입성? 절대 아니라고 말 못해”
- “손주 낳지 않아서”…인도서 부모가 아들에 8억 손배 청구
- 70대에 두 번째 전기차를 운전하시는 장모님
- 전기차 “프렁크”의 모든 것
- “은퇴후 제2의 삶… 취미-적성 미리 찾고, 꾸준히 준비하라”
- 영양제 먹는 방법 왜 똑같을까? 개인 컨디션따라 맞춤 조제
- 사상 최악 적자낸 한전…나랏돈으로 손실 메우나
- ‘앞으로 1년 경제’ 물었더니…국민 40% ‘악화’ 25% ‘좋아질 것’
- 지프, 부분변경 거친 ‘컴패스’ 사전계약… “엔트리→프리미엄 콤팩트 SUV 도약”
- [단독]현대차-高大 “미래차 인력 양성”… 5년제 학-석사 통합학과 만든다
- 고유가에 3월 휘발유·경유 소비량 줄었다…“4월엔 더 감소”
- 원자잿값 급등에 전기차 배터리가격도 오른다…“4년내 22%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