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재난 시 ‘와이파이’ 개방…“KT 셧다운 사태 재발 막자”

뉴시스

입력 2021-12-29 15:19 수정 2021-12-29 15:19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통신재난 위기경보가 ‘경계’ 이상 수준으로 발령 때 공공·상용 와이파이를 개방해 긴급한 인터넷 사용을 ‘재난 와이파이’를 통해 할 수 있게 된다.

지난 10월 25일 발생한 KT의 네트워크 장애로 전국 인터넷을 비롯해 상점 포스기 카드 결제, 초중고 원격수업, 증권거래 등 서비스가 일시에 먹통이 되는 사태가 발생하자 정부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한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0월 KT 네트워크 장애 사고에 대한 후속 대책으로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방안’을 이같이 29일 발표했다.

우선 통신사 상호 협력체계를 통해 통신사의 자체 복원력을 강화하고, 이용자에게는 다양한 예비복원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두텁게 보호할 방침이다.

먼저 국지적 무선망 장애 발생 시 이용자가 기존단말을 통해 타 통신사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는 로밍 규모를 시도 규모 통신재난에 대부분 대응할 수 있도록 1.5배(현 200만→300만)로 확대 추진한다.

또 유무선 장애 시 긴급한 인터넷 사용이 가능토록 통신재난 위기경보 ‘경계’ 발령 시에 총 34만개의 공공(7.2만 곳)·상용 와이파이(KT 10.3만개+SKT 8.8만개+LGU+ 7.6만개)를 개방하고,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재난 와이파이(Public WiFi Emergency)를 별도 송출할 계획이다.

소상공인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백업 서비스도 지원한다. 가령 유선인터넷 장애 시 소상공인 휴대폰으로 테더링(무선통신)을 통한 포스기 결제기기의 무선통신 기능을 개발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표준 공용단말 등 관련 기술 개발을 통해 재난 시 주회선을 대체해 서비스 제공시에만 요금을 부과하는 무선 백업요금제를 검토할 계획이다.

또 이번 사고처럼 유선망의 장애가 무선망의 인터넷 장애로 이어지지 않도록, 무선망에서도 자사 유선망 외 재난 시 활용 가능한 인터넷 접속경로를 확보하는 유무선 접속경로 이중화도 추진키로 했다.

주요 기간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오류 예방·대응 체계도 강화하기로 했다. 전국망에 영향을 주는 코어망 오류 예방을 위해, 모의시험체계를 활용한 사전검증을 코어망 전체 작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네트워크 안전관리를 위한 중장기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오류를 조기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이 전체 네트워크에서 문제를 자동으로 예측해 관제센터에 알려주고, 소프트웨어 기반(SDN)으로 네트워크도 자동으로 관리하는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또 기간통신망은 계속 운영되고 있는 특성상 직접적인 시험과 연구를 통한 개선이 어렵기 때문에 통신사와 협조해 기간통신망의 사전 시험검증이 가능하도록 실제 통신망과 유사한 ‘디지털트윈’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용자가 네트워크 장애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문자메시지(SMS) 또는 SNS(카카오톡, 라인 등)를 통해 지체 없이 장애를 고지하도록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이 밖에 기간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안정성 확보의무, 사전적인 기술적·관리적 조치의무, 장애고지의무, 네트워크 안정성 조치현황 연차보고서 작성 등에 대한 제도적 근거도 마련하기로 했다.

과기부 관계자는 “기간네트워크가 신뢰성와 안정성을 갖춰 향후 디지털경제 성장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내부, 외부 요인에 의한 네트워크 장애를 예방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대책을 철저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