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라지는 미국 긴축 시계…한은 금리 인상 채비

뉴시스

입력 2021-12-14 11:16 수정 2021-12-14 11:16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미국 물가가 근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앞당겨질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미국의 긴축 행보가 빨라지면서 우리나라도 내년 1월 금리 인상 명분이 커지고 있다.

14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시장 전문가들은 미 연준이 오는 14~15일(현지시간) 열리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채권매입 축소 규모를 300억 달러로 늘릴 것으로 전망했다. 연준은 앞서 지난달 3일 FOMC 회의에서 자산매입 규모를 매월 150억 달러씩 줄여나가 8개월 뒤인 내년 6월에 테이퍼링 절차를 종료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렇게 되면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종료 시점이 내년 6월에서 3~4월 종료로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첫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내년 3월로 앞당겨 지고 내년 말까지 기준금리 인상 횟수가 종전 1~2차례에서 3~4차례로 늘어날 것으로 보는 등 정책금리 정상화 일정도 앞당겨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불과 한 달 만에 자산매입 축소 규모를 늘리는 등 전세계에 풀었던 달러를 거둬들이는 ‘테이퍼링’에 속도를 내는 것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6개월 연속 5%대를 웃돌면서 통화정책 정상화에 속도를 낼 수 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1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동기대비 6.8% 증가해 6개월 연속 5%를 넘었다. 이는 1982년 6월(7.1%) 이후 39년 만에 최대 폭 상승이다. 10월에도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기 대비 6.2%를 기록했는데 상승 폭이 더 커진 셈이다.

주요 연준 인사들도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던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최근 “이제는 ‘일시적’이라는 단어 사용을 중지하고 우리가 의미하는 것을 더 정확하게 설명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대표적인 비둘기(통화완화 선호) 인사인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장은 지난 1일 10월 물가에 대해 “눈이 튀어나올 지경”이라고 했다. 1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가 더 높아지면서 연준이 테이퍼링에 속도를 내고 기준금리 인상도 앞당길 가능성이 커졌다.

미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국도 내년 1월 기준금리 인상 명분이 더 커지고 있다. 지난 11월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한미 기준금리 격차는 더 벌어졌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0~0.25%, 한국은 1%로 한미 간 기준금리 격차는 상단이 1%포인트로 벌어졌다.

글로벌 공급 병목 문제와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높은 수준의 소비자물가도 단시간 안에 해결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내년 상반기까지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 수준인 2%를 넘는 등 당초 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 10월 3.2%, 11월 3.7% 상승하면서 2개월 연속 3%를 넘어섰다. 이는 지난 2011년 12월(4.2%) 이후 9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한은은 높은 물가 흐름이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최근의 국제유가 흐름, 유류세 인하 효과 등을 감안할 때 점차 둔화되겠으나 수요측 물가상승압력 확대, 공급병목의 영향 등으로 상당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려 온 만큼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시기가 앞당겨 지더라도 금융시장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미 연준 인사의 매파적 발언으로 미국의 첫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내년 3월 이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지만, 12월 FOMC에서 채권 매입 축소 규모를 300억 달러로 늘려 내년 1분기 안에 테이퍼링을 끝내고 이르면 6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우리나라는 정상화 의지가 있고,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려온 만큼 미국의 긴축 시계로 당장 부담이나 압력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속도가 빨라진다면 시장 영향은 있을 것”고 말했다.

윤 연구원은 “이주열 한은 총재가 내년 1분기 인상을 시사했고, 금융불균형 문제가 커지고 있는 만큼 내년 1월 기준금리 인상이 확실할 것으로 보인다”며 “내년 말까지 기준금리지 1.5%까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주열 한은 총재가 내년 1분기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해 왔고, 시장에도 내년 1월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이라는 기대를 높여왔기 때문에 대선과 총재 임기 종료 직전인 2월보다는 1월에 인상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이 그동안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두 차례나 기준금리를 인상해 와 미국이 금리 인상을 앞당긴다고 우리 통화당국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겠지만 미국 동향에 따라 국내 시장금리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가계부채 증가 속도도 줄고 있는 등 한은의 금리인상 목표도 어느 정도 달성 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다른 이슈가 더 발생하지 않는다면 내년 1월 한 차례 인상 후 휴지기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