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신분증 확인 의무화’ 시행前 충분한 논의 거쳐야
동아일보
입력 2021-12-02 03:00:00 수정 2021-12-02 03:00:00
[전문의 칼럼]황지환 대한의사협회 의무자문위원

“100번도 더 온 단골 환자인데 신분증이 필요하다니 너무한 거 아닌가요.”(재진료 환자)
“이제는 신분증을 꼭 내셔야 해요. 안 그러면 진료를 받을 수 없어요.”(동네 의원 원장)
앞으로 우리 주위의 동네 의원에서 자주 오갈 수 있는 대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요양기관, 즉 병의원이 내원 환자 모두의 신분증을 확인하도록 강제하는 법을 발의하고 한 달 만에 마치 전광석화처럼 통과시켰다.
해당 법안에 따르면 병의원은 환자를 진료할 때 건강보험증이나 신분증으로 본인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문제는 이와 같은 규제에 대해 제대로 된 국민 홍보가 없었다는 점이다. 또 의료계와 사전에 충분한 시범사업을 하지도 않고 갑자기 이뤄진 상황이라 앞으로 환자와 의사 사이에 갈등 아닌 갈등이 생길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신분증 의무 확인의 배경에는 타인의 건강보험을 도용해 부정하게 건강보험을 이용하는 ‘무자격자’ 문제가 가끔씩 발생했기 때문이다. 그런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정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병의원에 환자 신분증을 매번 강제로 확인하는 의무를 지우려고 해 왔다.
일부에서는 병의원 신분증 확인이 왜 문제인지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도 나온다. 하지만 현장에서 매일 진료를 하는 의사 입장에서는 노인 등 취약 계층에 대한 배려를 놓친 것 아니냐는 지적을 할 수밖에 없다.
필자는 도시에서 진료를 하고 있지만 환자의 특성상 노인, 장애인 등이 자주 방문한다. 신분증, 신용카드, 지갑, 심지어 휴대전화를 지참하지 않거나 사용법을 모르는 환자가 적지 않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 환자가 평소 다니던 단골 병의원에 관절염 진료를 받으러 갔다가 신분증을 집에 놓고 와 다시 집에 돌아가야 하는 상황도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다.
남의 건강보험을 몰래 도용하는 무자격자는 당연히 엄벌에 처해야 한다. 여기엔 의사들도 동의한다. 그러나 그 무자격자를 잡기 위해 병의원과 환자를 갈등으로 밀어 넣는 법안에 대해선 강력히 반대한다. 법안 하위 규정에라도 신분증 의무 확인 대상을 초진 환자로 국한시키는 차선책을 강구해야 한다. 100번 넘게 내원한 재진 환자에게 올 때마다 신분증이나 휴대전화를 내놓으라고 요구하는 건 불필요한 마찰 소지가 크다.
또 신분증 의무 확인과 같은 제도를 도입하려면 정부와 건보공단이 ‘병의원을 방문할 때는 신분증을 꼭 지참하세요’ 등의 메시지를 전하는 홍보 활동과 캠페인을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 의사들은 환자들이 신분증이 없다는 이유로 집에 되돌아가는 불편이 생기는 것을 결코 원하지 않는다.

“100번도 더 온 단골 환자인데 신분증이 필요하다니 너무한 거 아닌가요.”(재진료 환자)
“이제는 신분증을 꼭 내셔야 해요. 안 그러면 진료를 받을 수 없어요.”(동네 의원 원장)
앞으로 우리 주위의 동네 의원에서 자주 오갈 수 있는 대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요양기관, 즉 병의원이 내원 환자 모두의 신분증을 확인하도록 강제하는 법을 발의하고 한 달 만에 마치 전광석화처럼 통과시켰다.
해당 법안에 따르면 병의원은 환자를 진료할 때 건강보험증이나 신분증으로 본인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문제는 이와 같은 규제에 대해 제대로 된 국민 홍보가 없었다는 점이다. 또 의료계와 사전에 충분한 시범사업을 하지도 않고 갑자기 이뤄진 상황이라 앞으로 환자와 의사 사이에 갈등 아닌 갈등이 생길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신분증 의무 확인의 배경에는 타인의 건강보험을 도용해 부정하게 건강보험을 이용하는 ‘무자격자’ 문제가 가끔씩 발생했기 때문이다. 그런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정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병의원에 환자 신분증을 매번 강제로 확인하는 의무를 지우려고 해 왔다.
일부에서는 병의원 신분증 확인이 왜 문제인지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도 나온다. 하지만 현장에서 매일 진료를 하는 의사 입장에서는 노인 등 취약 계층에 대한 배려를 놓친 것 아니냐는 지적을 할 수밖에 없다.
필자는 도시에서 진료를 하고 있지만 환자의 특성상 노인, 장애인 등이 자주 방문한다. 신분증, 신용카드, 지갑, 심지어 휴대전화를 지참하지 않거나 사용법을 모르는 환자가 적지 않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 환자가 평소 다니던 단골 병의원에 관절염 진료를 받으러 갔다가 신분증을 집에 놓고 와 다시 집에 돌아가야 하는 상황도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다.
남의 건강보험을 몰래 도용하는 무자격자는 당연히 엄벌에 처해야 한다. 여기엔 의사들도 동의한다. 그러나 그 무자격자를 잡기 위해 병의원과 환자를 갈등으로 밀어 넣는 법안에 대해선 강력히 반대한다. 법안 하위 규정에라도 신분증 의무 확인 대상을 초진 환자로 국한시키는 차선책을 강구해야 한다. 100번 넘게 내원한 재진 환자에게 올 때마다 신분증이나 휴대전화를 내놓으라고 요구하는 건 불필요한 마찰 소지가 크다.
또 신분증 의무 확인과 같은 제도를 도입하려면 정부와 건보공단이 ‘병의원을 방문할 때는 신분증을 꼭 지참하세요’ 등의 메시지를 전하는 홍보 활동과 캠페인을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 의사들은 환자들이 신분증이 없다는 이유로 집에 되돌아가는 불편이 생기는 것을 결코 원하지 않는다.
비즈N 탑기사
- “젖병에 꽁초 가득”…담뱃값 경고 그림, 더 끔찍하게 바꾼다
- “이걸 두고 월북을?”…서해 공무원측 ‘무궁화10호’ 방수복 공개
- 바이든, 자전거 타다 ‘꽈당’… 몸상태 묻자 ‘깡충깡충’
- “수험생 공부 중입니다”…尹자택 앞 맞불집회 이틀째 현수막 내걸려
- “한국인과 너무 닮아, 가슴철렁” 필리핀서 땅콩파는 코피노 소년
- 마지막 ‘버핏과의 점심’ 경매, 59억원 기록 깰까
- “71년前 태극기 건네준 한국 해병전우 찾습니다”
- 96세 英여왕 “국민 계속 섬길것” 재위 의지
- 손흥민 ‘이란전 축구화’ 자선경매서 1600만원
- “급 떨어뜨렸다” BTS 백악관 방문 조롱한 美앵커
- W재단, UNFCCC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 자문기관으로 선정
- ‘5000만원대’ 프리미엄 SUV로 변신… 지프, 새로워진 ‘컴패스’ 국내 출시
- 年6% 적금 나오자마자 완판… “금리 상승기엔 예·적금 재테크”
- 4년간 LG체질 바꾼 구광모, AI-바이오 날개 단다
- “최저임금 또 올리면 문 닫아야”…자영업자들 ‘이미 한계’ 성토
- ‘이자장사’ 비판에…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연 7%대’ 금리 사라져
- 전기차오너의 대구 서문시장 활용 팁
- 가뭄 끝나니 장마 시작…요동치는 농산물 가격 고물가 부채질
- ‘주택 45채 싹쓸이’… 외국인 부동산투기 칼 빼든다
- 녹아버린 계좌…동학개미들 떠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