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오른 ‘ADEX 2021’… UAM 맞춤형 기술 대거 공개
신동진 기자
입력 2021-10-20 03:00:00 수정 2021-10-20 03:20:06
현대위아 지상주행장치 ‘E택싱’
한화 우주기술통합 전시 등 선봬
19일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개막한 ‘ADEX 2021’의 현대위아 부스에 도심항공모빌리티용 지상주행장치 ‘E택싱’(왼쪽)과 관련 부품이 전시돼 있다. 현대위아 제공
국내 방산업계가 미래 도심 교통수단인 ‘도심항공모빌리티(UAM)’와 위성 등 민간 사업영역 확대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다.
19일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개막한 국내 최대 방산전시회 ‘ADEX 2021’에는 현대위아 대한항공 등 민간 방산업체가 참여해 UAM 시장 맞춤형 기술을 대거 선보였다. 비행체 제작에 특화된 방산기술 업체들이 기체 개발, 운항 관제 등 UAM 운영 분야의 기술 개발에 눈을 돌리고 있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글로벌 UAM 시장 규모는 지난해 8조 원에서 2040년 1711조 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의 부품 및 기계 계열사 현대위아는 UAM 기체의 착륙 후 활주를 돕는 지상주행장치 ‘E택싱’을 공개했다. E택싱은 비행기 착륙장치인 랜딩기어에 전기모터를 결합해 로터(회전익), 프로펠러 등 외부 견인장치 없이 자체 동력만으로 이동할 수 있다. 소음,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해 도심 환경에 적합하다는 게 현대위아 측의 설명이다.
군사용 무인기를 개발해온 대한항공은 UAM 관제로 저고도 도심 비행을 컨트롤하는 기술을 소개했다. UAM 기체에 활용될 수 있는 수직이착륙 무인기체와 2시간 이상 장거리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배터리·내연기관 결합) 드론도 선보였다.
한화는 올 3월 우주사업 개발을 위해 ‘스페이스 허브’를 출범한 뒤 처음으로 방산계열사 4곳이 함께 우주기술 통합 전시에 나섰다. 21일 발사할 예정인 누리호에 장착된 액체로켓 엔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과 위성의 궤도 수정 등을 돕는 위성추진계(㈜한화), 국내 최초로 100kg 이하, 해상도 1m급 개발에 성공한 초소형 SAR위성(한화시스템) 등이 대표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첨단기술의 각축장인 방산 시장에서 축적한 기술을 민간 산업에 접목해 미래 먹거리를 찾으려는 기업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신동진 기자 shine@donga.com
한화 우주기술통합 전시 등 선봬

국내 방산업계가 미래 도심 교통수단인 ‘도심항공모빌리티(UAM)’와 위성 등 민간 사업영역 확대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다.
19일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개막한 국내 최대 방산전시회 ‘ADEX 2021’에는 현대위아 대한항공 등 민간 방산업체가 참여해 UAM 시장 맞춤형 기술을 대거 선보였다. 비행체 제작에 특화된 방산기술 업체들이 기체 개발, 운항 관제 등 UAM 운영 분야의 기술 개발에 눈을 돌리고 있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글로벌 UAM 시장 규모는 지난해 8조 원에서 2040년 1711조 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의 부품 및 기계 계열사 현대위아는 UAM 기체의 착륙 후 활주를 돕는 지상주행장치 ‘E택싱’을 공개했다. E택싱은 비행기 착륙장치인 랜딩기어에 전기모터를 결합해 로터(회전익), 프로펠러 등 외부 견인장치 없이 자체 동력만으로 이동할 수 있다. 소음,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해 도심 환경에 적합하다는 게 현대위아 측의 설명이다.
군사용 무인기를 개발해온 대한항공은 UAM 관제로 저고도 도심 비행을 컨트롤하는 기술을 소개했다. UAM 기체에 활용될 수 있는 수직이착륙 무인기체와 2시간 이상 장거리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배터리·내연기관 결합) 드론도 선보였다.
한화는 올 3월 우주사업 개발을 위해 ‘스페이스 허브’를 출범한 뒤 처음으로 방산계열사 4곳이 함께 우주기술 통합 전시에 나섰다. 21일 발사할 예정인 누리호에 장착된 액체로켓 엔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과 위성의 궤도 수정 등을 돕는 위성추진계(㈜한화), 국내 최초로 100kg 이하, 해상도 1m급 개발에 성공한 초소형 SAR위성(한화시스템) 등이 대표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첨단기술의 각축장인 방산 시장에서 축적한 기술을 민간 산업에 접목해 미래 먹거리를 찾으려는 기업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신동진 기자 shine@donga.com
비즈N 탑기사
- “어린이날 선물인데… ” 도둑맞은 자전거 찾아준 경찰
- 최영아 전문의 성천상 수상… 20여년간 노숙인 치료 봉사
- 하니♥양재웅, 열애 인정 “좋은 만남 갖고 있어”
- “조유나양 아버지, 가상화폐 투자 뒤 큰 손해”
- “젖병에 꽁초 가득”…담뱃값 경고 그림, 더 끔찍하게 바꾼다
- “이걸 두고 월북을?”…서해 공무원측 ‘무궁화10호’ 방수복 공개
- 바이든, 자전거 타다 ‘꽈당’… 몸상태 묻자 ‘깡충깡충’
- “수험생 공부 중입니다”…尹자택 앞 맞불집회 이틀째 현수막 내걸려
- “한국인과 너무 닮아, 가슴철렁” 필리핀서 땅콩파는 코피노 소년
- 마지막 ‘버핏과의 점심’ 경매, 59억원 기록 깰까
- 테슬라 모델Y 1년 차 유지비
- [단독]“실손보험금 왜 안주나” 민원 1년새 85% 급증
- 환율 치솟은 美-유럽 포기… “한끼 3000원 베트남 여행”
- 음식물 쓰레기로 비행기 연료 만든다… 항공업계 탄소 감축 ‘일석이조’
- 은행 상반기 순익 9조… “이자장사” 지적에 금리 인하
- ‘확장재정’ 대신 ‘건전재정’… 1000조 넘어선 국가채무 관리 나선다
- 이른 폭염에 예비 전력 ‘아슬아슬’…자칫하면 전력대란 벌어진다
- 본격화된 노동계 ‘여름 투쟁’… 경제위기 속 커지는 ‘하투 리스크’
- 지프, 라임맛 ‘랭글러 하이 벨로시티’ 국내 50대 한정 판매
- 중산층 빚내서 살 수 있는 서울 아파트 3.7만채…역대 최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