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블루’ 상담사도 지쳤다…65.5% 정신질환 겪어

뉴시스

입력 2021-10-05 13:31 수정 2021-10-05 13:32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의료진뿐 아니라 이들의 정신건강을 책임지는 상담 인력의 ‘번아웃’도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도한 업무와 불안정한 근무 환경으로 근속 연수도 짧아 상담의 연속성과 전문성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별 운영 형태 및 상근인력 현황’ 및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 중 65.5%가 신경성 질환, 우울증 등 정신적 질환 경험이 있었다.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코로나19 대응인력·확진자·유가족·격리자·일반인 등에게 전화 및 대면 심리상담을 제공하는 일선 기관이다. 광역과 기초로 구분되며, 주로 기초센터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초센터의 상근인력 3224명 중 70%에 달하는 2276명이 비정규직이었다. 이들의 평균 근속연수는 3.3년에 불과하다.

2년 이하 근속자 수는 1838명으로 전체의 57%에 달한다. 절반 이상이 2년도 채 근무하지 않고 현장을 떠나는 셈이다.

지난해 기준 기초센터 244개소 중 절반을 넘는 123개소는 상근인력 100%가 비정규직으로 구성돼 있었다.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직무 분석을 통해 직역별 인원편성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급여 지급 기준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남 의원은 “지역사회 중증정신질환자 관리에서부터 자살예방, 코로나19 심리지원 등 정신건강과 관련해 무한한 역할을 떠안고 있는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들의 상당수가 비정규직에 근속연수 2년이 채 안 된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종사자의 경력 단절을 유발하고 전문성 축적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서비스 대상자와의 라포(rapport) 형성 및 사례관리 연속성의 단절을 초래한다”며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역할을 표준화하고 불안정한 센터 운영 및 고용 형태를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