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사업 지원자 선정후 기반 면적 2배로 늘고 매출도 1.7배 껑충

정미경 기자

입력 2021-09-29 03:00 수정 2021-09-29 03:22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작년 영농 정착지원금 예산 453억
자금 부족 청년농업인에 큰 버팀목



무자본, 무기술, 무연고의 ‘3무(無) 세대’로 불리는 청년농업인에게 2018년 시작된 영농정착지원사업은 버팀목이 돼왔다.

신청 자격은 만 18세 이상∼만 40세 미만이며 독립 영농 경력 3년 이하여야 한다. 선발된 청년창업농에게는 최대 3년간 월 최대 100만 원의 영농정착지원금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최대 3억 원 한도의 창업자금 융자 지원,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 우대 보증, 농지은행 비축농지 임대 우선 지원, 영농기술 교육 등이 연계 지원된다. 미래 농업의 핵심 분야인 스마트팜, 사회적 농업, 6차산업, 공동 창업(법인 창업) 등에 대한 비전과 계획을 가진 청년농을 우대 선발한다.

2018∼2020년에는 연 1600명씩 선발됐으나 호응도가 높아지면서 올해에는 1800명으로 인원이 늘어나 지금까지 총 6600명이 혜택을 받고 있다. 선발자의 80% 이상은 남성이며 연령대는 30대가 약 60% 수준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경북, 전북, 전남에서 가장 많은 인원이 선발됐다. 선발자의 절반은 농지은행 비축농지 지원 사업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농정착지원사업의 핵심은 바우처 카드 형태로 지급되는 영농정착지원금이다. 이 카드를 필요한 곳에서 쓰면 된다.

주로 사용하는 곳은 편의점, 슈퍼마켓, 농·축협 직영매장, 대형마트, 식당, 정육점 등으로 나타났다. 식비 관련 결제 건수가 전체 사용 건수의 약 75%에 달한다. 1회 지출이 큰 사용처로는 수리 서비스(650만 원), 농기구 구입(500만 원), 수의업(470만 원) 등이다. 사업 주체인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바우처 카드가 평상시에는 주로 생활비 용도로 쓰이고 있으나 지출 부담이 큰 영농활동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영농정착지원사업에 쏠린 관심은 예산 증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선발 인원 누적에 따라 영농정착지원금 예산 규모도 매년 크게 늘었다. 2018년 122억2500만 원에서 2019년 309억 원, 지난해에는 452억9100만 원이었다. 국비와 지방비 집행 비율은 7 대 3 수준이다.

농식품부의 지난해 설문조사에 따르면 선발자들의 종합적인 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83.17점으로 높았다. 매달 지급되는 영농정착지원금 만족도가 85.5점으로 가장 높았다. 만족도뿐 아니라 영농 실적에서도 뚜렷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영농 기반 면적은 선정 전 평균 6500m²에서 선정 후 1만3000m²로 2배로 증가했다. 총매출도 평균 2345만 원에서 4034만 원으로 1.7배로 늘어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청년 농부를 위한 다른 지원 프로그램은 영농교육, 비닐하우스 설치 지원 등에 주력하는 것과 달리 영농정착지원사업은 현금과 다름없는 지원금을 매달 받을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라며 “성과가 좋은 사업인 만큼 앞으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미경 기자 mickey@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