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적 선택 사망자 10명 중 3명 이상이 정신건강문제

뉴시스

입력 2021-08-30 16:53 수정 2021-08-30 16:53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한 6만40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첫 전수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년 대비 소득 하락 등 경제적 수준 악화와 정신·신체 질환 영향이 확인됐다.

이번 조사를 통해 지역별 다빈도 장소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돼 정부는 이를 토대로 맞춤형 예방 대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2013~2017년 사망자 감소세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2013~2017년 5년간 경찰청과 협력해 추진한 자살사망자 전수조사 사업 결과인 ‘5개년 전국 자살사망 분석 결과보고서’를 29일 발표했다. ‘자살예방국가행동계획’(2018~2022년)에 따른 결과다.

경찰 변사 사건 조사 기록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연계해 자살사망자 5년간 발생한 자살 사망자는 6만4124명을 전수 조사한 첫 자료다.

기존 통계청 사망 신고와 경찰 형사 사법 정보를 이용하면 전국 단위 정확한 통계가 산출된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사망자 주소지를 기반으로 하다보니 지역별 특성 파악에는 한계가 있었다.

읍·면·동 단위까지 구분해 발견지와 수사 의뢰를 기준으로 한 이번 전수 조사에선 사망자 현황과 추이를 성별, 생애주기, 가구형태 등으로 확인하고 건강보험 연계해 건강보험료분위(경제 상황), 정신질환과 신체질환 치료 이력, 장애 종류 등도 분석할 수 있었다. 다빈도 지역 분석 결과 4개 다빈도 장소 유형이 나왔다.

5년간 사망자 수는 1만3851명→1만3154명→1만2955명→1만2474명→1만1690명으로 같은 기간 통계청 기준과 마찬가지로 감소(1만4427명→1만2463명)했다. 지역별 연령 표준화를 적용한 5년간 연평균 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는 25.2명이다. 2013년 27.4명에서 2017년 22.8명으로 매년 감소했다.


남성이 5년간 평균 9029명으로 3796명인 여성보다 약 2.4배 높았으며 남녀 모두 사망자 수는 감소했다. 다른 지역보다 남자 사망자가 많은 지역은 제주도(74.7%), 강원도(74.3%), 전북(73.9%) 순으로, 여성 사망자가 많은 지역은 대구(34.1%), 서울(33.0%), 대구(31.5%) 순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별로 장년기(50~64세) 28.1%, 중년기(35세~49세) 27.7%, 노년기(65세 이상) 27.0%, 청년기(19세~34세) 15.7%, 아동기(18세 이하) 1.5% 등이었다. 인구 10만명당 발생률은 노년기가 51.4명으로 가장 높았고 장년기 32.4명, 중년기 27.7명, 청년기 18.1명, 아동기 2.0명 등으로 나타났다.

장년기는 세종(31.9%), 중년기는 제주(32.6%), 노년기는 전남(34.5%), 청년기는 광주(21.1%), 아동기는 울산(2.5%) 등이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인 이상 가구 비율이 67.5%로 가장 높게 나타난 가운데 5년간 28.0%인 1인 가구 비중은 연도별로 보면 2013년 27.0%에서 2016년 30.0%, 2017년 30.1%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발견 장소는 자택(연평균 56.7%) 가장 많고, 공공장소(연평균 27.8%), 숙박업소(연평균 4.3%), 교외·야산(연평균 4.0%), 학교·직장(연평균 3.5%) 순으로 확인됐다. 2012년 11월 맹독성 농약 유통 금지 등으로 농약 음독 사망자 수는 2013년 1551명에서 2017년 909명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주요 원인은 정신건강문제(2만3150명, 36.1%), 경제문제(1만2504명, 19.5%), 신체건강문제(1만1159명, 17.4%) 등으로 확인됐다.


“경제수준 악화 일부 영향”…정신·만성질환 2.6~8.6배↑


건강보험료 분위 구간별 분석 결과 의료급여구간 43.5명, 건강보험 하위(1~6분위) 구간 30.0명, 건강보험 중위(7~13분위) 구간 24.6명, 건강보험 상위(14~20분위) 구간 19.1명 순으로 발생률이 높게 확인됐다. 전년 대비 분위구간이 하락한 경우 발생률이 41.9명으로 상승한 경우(36.9명)나 유지된 경우(35.1명)도 높아 경제수준 악화가 일부 영향을 준다고 복지부와 재단은 분석했다.

정신질환 이력이 있던 사망자 비율은 56.2%이며 정신질환자 10만명당 발생률 평균은 215.5명으로 전체 인구 평균(25.2명) 대비 8.6배로 나타났다. 우울장애(22.3%)가 가장 많고 수면장애(20.1%), 불안장애(15.8%) 순었다. 정신질환자 가운데 발생률은 정신활성화물질사용장애(2129.0명), 성격장애(1074.0명), 알코올사용장애(903.4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5년간 사망자 중 만성신체질환 이력이 있는 비율은 81.6%로 10만명당 발생률은 66.1명으로 전체 인구 기준 대비 2.6배였다. 신경계 질환(18.6)이 가장 많았고 관절염(17.2%), 고혈압 사망자(13.3%) 순이었다. 만성신체질환자 가운데에선 호흡기결핵(550.9명), 간질환(240.9명), 암(230.6명) 순으로 발생률이 높았다.

사망자 중 등록 장애인은 연평균 13.4%였다. 10만명당 발생률은 평균 68.7명으로 전체 인구보다 2.7배 높았다. 정신장애(176.6명), 호흡기장애(165.2명), 뇌전증장애(155.1명) 순으로 발생률이 높았다.

이번 조사에선 발견된 장소를 기반으로 공원, 강 인근, 도로변 차량, 영구 임대 아파트 등에서 사망자가 자주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토대로 시·도별 특징을 보면 경기(사망자 수), 인천(우울·수면장애), 부산(정신건강문제), 대구(의료급여구간·정신장애인 비율), 광주(청년기 비율), 대전(여성·독거 비율), 울산(경제문제·아동기·공공장소 비율), 세종(장년기 비율), 강원(숙박업소 비율), 충남(신체건강문제·교외 및 야산 비율), 전남(노년기 비율), 경남(호흡기결핵 비율), 제주(남성·중년기·건강보험 하위구간·알코올 사용장애 비율) 등 특징이 확인됐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누리집(www.kfsp.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복지부 염민섭 정신건강정책관은 “지역에서 다빈도 지역 분석 결과를 활용해 예방시설 설치, 순찰 등 관리감독 강화 등 맞춤형 대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사회경제적 상태나 기저 질환이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됐으므로 관계부처 및 기관과의 협력으로 선제적으로 예방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권덕철 복지부 장관은 보고서를 통해 “이번 보고서는 국민 중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자살에 이르렀는지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포괄적으로 담고 있다”며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사회 전반의 우울감이 증가하면서 국내외 전문가들이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어 예방부터 사후관리에 이르는 전 주기별 정책을 점검하고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종=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