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양궁’ 극강 진화… 현대차그룹 혁신 기술 효과 톡톡

동아닷컴 정진수 기자

입력 2021-07-27 14:46 수정 2021-07-27 14:53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대한민국 양궁이 세계를 압도하고 있다. 한국은 2020 도쿄올림픽 양궁 경기에서 현재까지 열린 3개 종목 모두를 석권하며 최고 수준의 기량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한국 양궁의 이 같은 결과는 현대자동차그룹의 혁신 기술지원이 뒷받침 됐기 때문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회장(대한양궁협회 회장)의 주도로 이번 올림픽 석권을 목표로 기술지원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이미 세계 최강의 한국 양궁이지만 현대차그룹의 미래차 R&D 기술을 접목하면 선수들의 기량을 한 단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현대차그룹은 2016년 브라질 리우대회 직후부터 양궁협회와 함께 다양한 기술 지원방안을 논의해 왔다. 양궁선수들이 평소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내용을 청취하고 그룹이 가진 R&D 기술로 지원할 수 있는 분야를 집중 검토했다. 이를 통해 ▲고정밀 슈팅머신 ▲점수 자동 기록 장치 ▲비전 기반 심박수 탐지 ▲딥러닝 비전 인공지능 코치 ▲선수 맞춤형 그립 등 5대 분야에서 기술 지원이 이뤄졌다.

고정밀 슈팅머신은 최상 품질의 화살을 선별하는 장비다. 선수들은 품질이 우수하면서도 자신에게 맞는 화살을 선별하기 위해 직접 활시위를 당기며 테스트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 했는데 현대차그룹과 양궁협회가 협의해 이를 자동화 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6년 리우대회를 위해 제작한 장비 대비 정밀도와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슈팅머신을 신규로 제작했다. 선수들은 70m 거리에서 슈팅머신으로 화살을 쏘아 신규 화살의 불량 여부를 테스트한다. 과녁에 쏘아진 화살이 일정 범위 이내에 탄착군을 형성하면 합격이다.

현대차그룹이 양궁 국가대표 선수단의 기량 향상을 위해 지원한 또다른 기술은 ‘점수 자동 기록 장치’다. 정밀 센서 기반의 '전자 과녁'을 적용, 점수를 자동으로 판독하고 저장하는 기술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점수를 모니터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해 준다. 특히 점수와 탄착 위치 데이터는 훈련 데이터 센터에 자동으로 저장되는 시스템을 갖춰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현대차그룹은 비전 기반의 심박수 측정 장비를 양궁 국가대표 선수단에 지원했다. 선수 얼굴의 미세한 색상 변화를 감지해 맥파를 검출, 심박수를 측정하는 장비로 경기나 훈련 중 접촉식 생체신호 측정이 어려운 점을 감안해 첨단 비전 컴퓨팅 기술을 활용했다.

현대차그룹은 보다 정교한 심박수 측정을 위해 활시위를 당기고 있는 선수 얼굴 영역을 판별하고 주변 노이즈를 걸러내는 별도 안면인식 알고리즘 개발, 코칭 스태프는 훈련 과정에서 축적된 심박수 정보와 점수 데이터를 연계해 선수의 심리적 불안 요인을 제거하는데 적극 활용했다.

AI 딥러닝 기술도 적용됐다. 딥러닝 비전 인공지능 코치는 현대차그룹 인공지능 전문 조직 에어스(AIRS) 컴퍼니가 보유한 AI 딥러닝 비전 기술을 활용, 선수들의 훈련 영상을 실전을 위한 분석에 용이하도록 자동 편집해 주는 기술이다. 선수와 코치는 최적화된 편집 영상을 통해 평소 습관이나 취약점을 집중 분석할 수 있었고, 이는 곧 경기력 향상으로 이어졌다.

기존에는 훈련 및 경기 중 선수가 활시위를 당기고 쏘는 자세를 촬영한 영상과 표적에 화살이 적중하는 영상을 사람이 일일이 대조하며 분석 데이터를 만들어야 했다. 하지만 인공지능 코치는 영상 속 선수의 셋업 및 릴리즈 시점과 과녁 영상 내 화살이 꽂히는 시점만을 정확히 포착해 하나의 짧은 영상으로 자동 편집해 활용성을 극대화했다.

선수의 손에 최적화된 그립도 3D 프린터로 제작했다. 통상적으로 선수들은 활의 중심에 덧대는 그립을 자신의 손에 꼭 맞도록 직접 손질한다. 하지만 도쿄대회처럼 장기간 경기가 벌어지는 도중에 그립에 손상이 가면 새 그립을 다시 손에 맞도록 다듬어야 해 컨디션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1mm 미만의 오차로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는 양궁 경기의 특성을 고려할 때 그립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현대차그룹과 양궁협회는 3D 스캐너 및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선수의 손에 꼭 맞는 맞춤형 그립을 제작해 선수들에게 제공했다. 선수들이 이미 손에 맞도록 손질한 그립을 미세한 흠집까지 3D 스캐너로 스캔해 그 모습 그대로 3D 프린터로 재현했고 지난 리우대회부터 맞춤형 그립을 제작해 선수들에게 제공해 왔다.


동아닷컴 정진수 기자 brjeans@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