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영농정착 지원 영향 3년새 청년농 1만5000여 명 늘어

정미경 기자

입력 2021-07-21 03:00 수정 2021-07-21 03:19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2017년부터 귀농인구 점차 확대


“처음에는 ‘이 마을에 청년농부가 나 혼자면 어떻게 하나’라는 두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아니더라고요. 30여 가구가 있는 마을에 다섯 가구는 저 같은 20, 30대 귀농인 가족이 정착해 살고 있었습니다.”

A 씨(28)가 대도시 생활을 접고 전북지역으로 귀농한 것은 2018년 봄. 귀농하기 전 6개월 동안 주말마다 사전 답사를 하며 철저히 조사했다. 그가 관심 있게 알아본 것 중 하나는 같은 동네에 사는 동료 청년농업인의 존재였다. 과학으로 농사를 짓는 요즘 시대에 유망 작물과 농법 등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려면 비슷한 또래의 인적 네트워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는 단지 A 씨만의 고민이 아니다. 처음 농촌에 정착할 때 동료 청년농이 주변에 있다면 심리적 안정감을 찾는 데도 도움을 준다. 귀농에 도전하는 이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있다. 노년층만 남아있던 농촌에 다시 청년이 돌아오는 추세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30대 이하 농림어업 취업자 수는 2010년대 후반부터 반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화의 영향으로 그동안 농가 인구는 꾸준히 감소해 왔다. 1960년 전체 인구의 72%였던 농촌 인구는 2010년 16%까지 감소했다. 특히 두드러진 것이 핵심 노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20∼40대 청장년층의 탈출이었다. 농촌의 ‘역피라미드 구조’가 고착화됐다.

양극화 현상도 진행됐다. 대농과 영세농은 증가한 반면 중간 그룹은 감소한 것. 통계청 농업총조사에 따르면 40세 미만의 농가 중에서 경지 규모 5.0ha 이상인 대농의 비중은 2000년 3.7%에서 2015년 6.9%로 늘었다. 0.5ha 이하 영세농의 비중도 33.8%에서 48.5%로 증가했다. 반면 대농과 영세농 사이에 끼인 중간 그룹의 비중은 줄어들었다.

청년층 감소와 양극화라는 양적·질적 위기 속에서 변화가 감지되기 시작한 것은 2017년 3분기쯤부터다. 우리 주변에서 “청년농부”라는 단어가 자주 들리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다. 탈도시화 현상, 고학력 취업난 가중, 귀농 및 청년 정책 활성화 등이 이유로 꼽힌다. 청년농 중에서 특히 독립경영체로 창농한 자영업자군, 가족 농업활동에 참가하는 무급가족종사자군이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청년농 유입에 맞춰 정부의 지원사업도 본격화됐다. 현재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농촌 청년불패’(농림축산식품부), ‘청년농부사관학교’(농협 미래농업지원센터),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행정안전부), ‘신규농업인 현장실습교육’(농촌진흥청) 등이 진행되고 있다. 그중 하나인 농식품부의 영농정착지원사업은 2017년 시범사업을 거쳐 2018년부터 본격 시행됐다. 영농정착지원사업만의 차별화 포인트를 찾는다면 초기 정착기 3년 동안 생활자금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현재 생활비를 지원하는 정부 프로그램은 영농정착사업이 유일하다. 40세 미만을 대상으로 선발된 청년농에게 매달 100만 원(1년 차), 90만 원(2년 차), 80만 원(3년 차)씩 지급된다. 최대 3억 원 한도의 창업자금 융자지원, 농지은행 비축농지 임대 우선지원, 농신보(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 우대보증, 영농기술 교육 프로그램도 연계 운영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선발 인원이 1800명(올해 기준)으로 많고 신청서 접수도 내년 1월에 진행되므로 지금부터 준비하면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정미경 기자 mickey@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