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수신료 인상안 국민 의견 반영했다…수신료 비중 58%로 확대”

뉴스1

입력 2021-07-01 19:36 수정 2021-07-02 08:46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KBS 본관 © News1
양승동 KBS 사장은 수신료 인상안과 관련해 “과거 세 차례 인상안과는 달리 국민의 의견을 반영했다”고 말했다.

KBS는 1일 별관 공개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텔레비전 방송 수신료 조정안’에 대해 설명했다.

양 사장은 이 자리에서 “수신료 조정안에 28차례 심의가 있었고 2년 전부터 물밑에서 수신료 문제와 공적 책무를 어떻게 강화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KBS이사회는 지난 30일 제987회 정기 이사회를 열고 수신료를 현행 2500원에서 3800원으로 인상하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료 조정안을 찬성 9명, 반대 1명, 기권 1명으로 통과시켰다.

◇ 수신료 비율 58%로 확대…“광고는 못 없앤다”

양승동 KBS 사장(왼쪽)이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별관에서 열린 텔레비전 방송 수신료 조정안 설명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KBS이사회는 전날 수신료를 현행 월 2500원에서 3800원으로 52% 올리는 인상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이같은 인상안에 국민 여론·정치권의 반응이 차가워 국회 통과는 쉽지 않을 거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21.7.1/뉴스1 © News1
KBS는 이번 인상안을 통해 재원구조에서 수신료의 비중을 47.3%(2020년)에서 58%(2022~2026년 평균)로 확대하고 광고의 비중은 16.1%(2020년)에서 12.6%로 줄일 계획이다.

그러나 최근 미디어가 다양해지면서 KBS의 광고 매출이 줄어든 가운데 수신료 인상으로 이 부분을 메우려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가 발표한 방송사업자 재산현황에 따르면, KBS는 지난 2013년 이후 전체 매출액에서 수신료 매출이 계속해서 광고 매출을 앞지르고 있다. 그 격차는 점점 더 벌어져 지난해에는 수신료 매출이 49.8%를, 광고 매출이 17%를 차지했다.

그러나 양 사장은 “프랑스 공영방송를 비롯한 다른 공영방송도 수신료로만 (재원을) 충당할 수는 없기에 광고를 하고 있다”며 “독일과 프랑스의 공영방송은 (수신료 비중이) 70% 이상이며 NHK는 90~95%에 이르는 반면 KBS 수신료 비중은 46% 정도로 이번 조정안을 통해 58%로 올리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KBS는 수신료 비중이 늘어나도 광고를 완전히 없애지는 않을 계획이다.

임병걸 KBS 부사장은 “(수신료 인상안은) 재원의 확충 차원에서 수신료를 현실화하려는 것인데 광고를 줄이게 되면 그 부분만큼 수신료 현실화에 부담이 가게 된다”며 “광고를 전혀 하지 않을 경우 KBS의 콘텐츠 판매도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상파 방송에도 이날부터 중간광고가 허용되면서 광고가 늘어날 가능성에 대해서는 임 부사장은 “이미 PCM(분리편성광고)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획기적으로 늘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EBS 수신료 배분율 5%로 높여…EBS “적정 수신료는 1069원”

KBS는 이번 수신료 인상안에서 EBS에 대한 수신료 배분률을 인상하는 내용도 포함했다.

현행 3%에서 5%로 2%포인트(P) 높이겠다는 것. 수신료가 3800원으로 인상될 경우 EBS에 대한 수신료는 190원이다. 이에 따라 KBS는 향후 5년간 EBS에 대한 지원금이 현재 190억원에서 518억원으로 328억원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게다가 EBS에 대한 송신 지원과 방송광고 결합판매 지원까지 더하면 수신료 수입의 6%를 초과하다는 것이 KBS의 입장이다. 그러나 EBS에서 자체 실시한 조사에서는 적정 수신료를 1068.9원으로 나타나 양사의 간극이 매우 큰 상황이다.

다만 양 사장은 방통위와 수신료 조정안을 두고 협상하는 과정에서의 조정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KBS도 열린 자세로 임하겠다”고 말했다.

◇ 향후 5년간 1400명 인력 감축, 신규채용은 500명…“무조건적 감축만이 능사는 아냐”

KBS는 수신료 인상과 함께 방만한 경영에 대한 자구 노력의 일환으로 인력을 감축할 계획이다. 2026년까지 5년간 1400여명을 줄이고 500명 정도를 신규 채용해 단계적으로 900여명을 감축하겠다는 것.

임 부사장은 “1400명 중 자연감소는 1100명이며 나머지는 명예퇴직 등 다른 구조조정을 포함한 수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연감소를 인력 감축 방안으로 여길 수는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10명이 하던 일을 2명이 퇴직하고 8명이 해야 한다면 다른 구성원들의 노동강도나 높아지는 것”이라며 “다른 구성원들이 노동강도가 높아지는 것을 감내한다는 것은 자구 노력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양 사장도 자연 감소에 대해 “무조건적인 감축만이 능사는 아니다”라며 “수치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지만 무조건적인 인위적인 구조조정보다는 인력 효율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과거 몇 차례 방송실수로 국민들 신뢰 잃어…“위기상황에서 대응능력 키웠다”

KBS는 수신료 인상의 당위성에 대해 이해시키고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방송사고를 줄이겠다고 밝혔다.

양 사장은 “2010년대 초중반까지 제작 거부와 파업 등이 잦다보니 취재 역량 등이 젊은층에서 쌓여가는데 애로사항이 있었다”며 “그러다보니 실수들이 몇 차례 있었고 이러한 부분들이 시청자들의 신뢰를 훼손시키는데 큰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최대한 실수를 줄이고 위기 상황에서 대응 능력을 키웠다”며 “수신료 인상이 현실화까지는 방통위를 비롯한 절차들이 남아있다. KBS는 그동안 달라지는 모습을 보이고 국민들의 이해를 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임 부사장은 “과거에는 용궁 이미지 사건이 있었고 일본해가 표기된 지도를 쓰는 경우도 있었지만 그냥 지나갔다”며 “시스템 적으로 보강해서 사고를 예방하고 체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