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마라톤 평생 즐기려면 욕심 버려야”[양종구의 100세 건강]
양종구 기자
입력 2021-06-19 14:00:00 수정 2021-06-19 16:13:14


의사로서 자신의 몸을 너무 망쳤다는 데 더 실망스러웠다. 더 독하게 마음먹게 된 이유다. 그 때부터 틈 만나면 산에 올랐다. 집(서울 반포)에 있을 땐 관악산을, 주말에 신촌 병원을 마칠 땐 북한산 북악산 인왕산을 올랐다. 연세의료원 산악회에 가입해 한달에 한번씩 전국의 명산도 찾았다. 1999년엔 세브란스의대 출신들로 세브란스산악회(세산회)를 만들어 지금까지 활동하고 있다.
국내 명산을 다 정복한 뒤엔 일본 후지산과 북알프스, 남알프스, 대만 위산(玉山), 아프리카 킬리만자로, 히말라야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 등 해외 명산도 올랐다. 킬리만자로 등정엔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다.

이 원장은 킬리만자로 5895m 정상을 정복하기 위해 전 세계 고산병관련 책자와 논문을 수집해 연구했다. 이 원장 휴대폰 뒷자리 번호가 5895다. 그만큼 절실했다. 그리고 2003년 5월 13명의 대원을 다 정상에 올리는 쾌거를 이룬다.

2007년 한국산악회가 구성한 실버원정대 주치의로 히말라야 에베레스트에 도전했다. 하지만 7000m에서 포기했다. 그는 “다른 원정대 사람들이 죽어나가 겁이 났다. 또 크레바스에 빠지면 죽을 것 같았다. 당시 원정대원 8명 중 2명만 정상에 올랐다”고 했다.

“산 정상을 정복한 뒤 성취감이 오듯 풀코스를 완주한 뒤에도 ‘고진감래(苦盡甘來)’라고 정말 뿌듯했습니다. 직접 내 다리로 달린 것이기 때문에 100%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 때부터 등산과 마라톤을 병행했다. 산을 오르고 달리다보면 인간관계와 사회생활, 모두 잊을 수 있어 머리가 맑아진다. 특히 마라톤은 달릴 때 온전히 자신에게만 집중할 수 있다. 복잡한 일을 정리하고 향후 어떤 일을 할지도 계획할 수 있다. 외래환자 돌보고, 학생들 가르치고 하루가 어떻게 지나가는지 모를 정도로 바빴지만 연구실에 마라톤화와 운동복을 갖춰놓고 틈만 나면 달렸다. 해외나 지방에서 열리는 학회나 세미나는 마라톤 전지훈련을 가는 기회라고 생각했다.

이 원장은 의사이기 때문에 절대 몸을 망칠 정도로 무리하지는 않았다. 지금까지 마라톤 풀코스를 361회나 뛰었고, 100km 울트라마라톤, 한반도 횡단 308km도 완주했지만 관절에 전혀 이상이 없다. 힘들면 과감히 포기했기 때문이다.
한반도 종단 622km(전남 해남에서 강원 고성)와 537km(부산에서 임진각)에 7차례 도전했다 모두 중도 포기했다. 2007년 120km에서 그만뒀고, 2008년 100km, 2009년 400km, 2011년 365km, 2012년 167km, 2013년 330km, 2014년 169km에서 각각 포기했다. 그는 “일단 시작한 것이라 욕심을 부릴 수도 있었지만 계속 달릴 경우 다치는 것은 고사하고 체력이 떨어지면 자칫 정신줄을 놓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과감히 포기했다. 지금 생각해도 잘한 일”이라고 했다. 국토종단 및 횡단 울트라마라톤은 사실상 혼자 달려야 해 밤엔 교통사고 사망 사고도 많이 일어난다. 200km 울트라마라톤도 도전했다가 100km에서 포기했다.

이 원장은 특히 산악마라톤인 트레일러닝을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도 지리산 화대종주(화엄사에서 대원사) 48km도 해봤고 불수사도북(불암산 수락산 사패산 도봉산 북한산) 45km도 해봤는데 너무 위험합니다. 산을 오르내리는 게 운동이 많이 되고 좋긴 하지만 내리막 달리는 것은 무릎 등 관절을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하더라도 정말 무리하지 않고 천천히 달려야 합니다.”

이 원장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 19)이 퍼지면서 대회 출전을 멈추고 집 근처(서울 신촌) 연세대와 이화여대 캠퍼스, 안산을 달렸다. 올해 코로나 19가 좀 누그러지면서 4월과 5월 서울 도림천 일대에서 열린 공원사랑마라톤에서 풀코스를 2번 달렸다. 최고기록은 3시간45분이지만 지금은 5시간을 훌쩍 넘긴다. 힘들면 쉬면서 물 한잔 마시고 천천히 달린다.
이 원장은 코로나 19가 잠잠해지면 미국대륙 4500km 횡단, 그리고 히말라야 에베레스트 정상 정복에 도전하고 싶다고 했다.
“솔직히 한창 마라톤에 빠졌을 때 미국대륙 횡단을 맘속에 두고 있었는데 벌써 80세를 눈앞에 두고 있네요. 현재론 목표일뿐입니다. 목표가 있어야 사는 이유도 있으니까요. 일종의 버킷리스트라고 보면 됩니다. 에베레스트는 2007년 오르지 못해 정말 아쉬웠습니다.”
하지만 이 원장은 “과유불급(過猶不及), 욕심을 버려야 평생 운동을 즐길 수 있다”며 “지금 현재 산을 오르고, 마라톤을 하고 있는 게 중요하다”며 웃었다.
양종구 기자 yjongk@donga.com
비즈N 탑기사
- ‘대학교 도서관 폭탄 설치’ 거짓글 올린 20대, 집행유예
- 올 여름 평년보다 덥다는데…초유의 폭염 올까
- ‘고소득·명문대 男만 가입’ 데이팅앱…인권위 “차별은 아냐”
- 동물 학대 영상·이미지 전년 대비 183% 급증
- 208만원짜리 초고가 우산 中서 출시…정작 방수 안돼 ‘뭇매’
- 대낮 거실에 웬 낯선 남자가…아파트 무단침입 20대 입건
- 코로나19 검사 중 면봉 통째로 삼킨 英여성…응급 수술받아
- “2살 아이 피흘리며 우는데…어린이집 5시간 방치했다” (영상)
- 멜라니아 “백악관 재입성? 절대 아니라고 말 못해”
- “손주 낳지 않아서”…인도서 부모가 아들에 8억 손배 청구
- 전기차를 타야만 하는 이유
- 전월세신고제 유예기간 1년 연장… 내년 6월부턴 과태료 부과
- 韓경제 구조적 문제 1위 ‘일자리’…‘저출산’·‘친환경’ 순
- 재계 588兆 투자, 민간주도 성장 ‘신호탄’… SK등 투자 이어질 듯
- 커지는 유류비 부담…휘발유-경유 사상 첫 동반 2000원 돌파
- 한은, 올해 물가 4.5% 전망…“하방보다 상방리스크 더 크다”
- 전부 바뀐 BMW 7시리즈… 내연기관·전기차 동시 출격
- “3040 핫플됐다” 확바꾼 마트, 매출 2배
- SK, 247조 투자-5만명 신규 채용… 반도체-배터리-바이오에 총력
- 30년 후 인구절벽 본격화…“정년 연장, 출산율 해결 서둘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