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車시장 V자 회복…“반도체품귀에 회복 지속 불투명”

뉴시스

입력 2021-05-25 12:43 수정 2021-05-25 12:43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침체됐던 세계 자동차시장이 ‘V자 회복’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전세계적인 차량용 반도체 품귀사태로 회복세가 지속될 수 있을 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25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달까지의 미국·중국·유럽 등 세계 자동차판매는 코로나19 기저효과와 자동차 수요회복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2.4% 증가해 V자로 회복세를 그리고 있다.

협회는 “최근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미국·중국 등 소비 중심 경기회복에 따른 자동차 수요 급증으로 반도체 수급 차질이 악화되고 있어 팬데믹 이전으로 회복 중인 자동차 수요를 공급이 받쳐주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의 경우 연초 코로나19 재확산, 한파에 따른 소비위축 등으로 자동차 판매 감소로 출발했지만, 재정부양책 발표, 백신접종 확대에 따른 소비 회복으로 자동차 재고가 부족할 정도로 자동차 수요가 증가,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한 상황이다.

중국은 이미 지난해 4월부터 자동차판매가 증가로 전환했고, 반도체 재고도 선제적으로 확보해팬데믹 이전을 웃도는 자동차 판매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

유럽시장은 국가별 경기 회복속도 차이로 판매회복세는 상대적으로 뒤처지나, 지난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전기동력차(HEV, EV, PHEV) 판매가 올해도 2배 증가했다. 유럽의 전기차 판매는 2019년 1분기 31만8000대, 2020년 1분기 51만1000대, 올해 1분기 104만6000대를 각각 기록했다. 또 팬데믹 기저효과로 올해 1~4월 전체 자동차 판매가 전년비 23.2% 증가했다.

협회는 주요 시장의 수요회복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수급 차질이 심각해져 자동차판매의 V자 회복세가 지속될 수 있을 지 불투명하다는 전망을 내놨다.

차량용 반도체에 비해 수익성이 높은 IT기기용 반도체 수요 급증, 중국의 공격적 반도체 수입 지속이 반도체 부족 상황 개선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PC 등 IT기기 수요는 올해도 기록적 증가세를 나타나고 있고, 중국의 1분기 반도체 수입도 전년에 비해 30% 증가하는 등 3월 월간 기준 최대치를 나타내고 있다.

반도체 소요량이 일반 내연기관차 대비 최대 5배 많은 전기차 시장이 지난해 급성장(전년 대비 41% 증가)한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각국의 전기차 보조금 확대 등으로 140% 급성장한 것 역시 반도체 품귀 현상의 주요원인이다.

최근 원유, 철강, 구리 등 원자재가격 상승, 해상운송 수요급증에 따른 추가적인 부품수급 차질 발생 리스크도 상존하고 있다. 구리가격은 지난달 기준 전월 대비 11.8% 증가하며, 최근 10년 중 최고치 수준을 나타냈다.

협회는 “중국의 공격적인 반도체 재고 확보, 여러 업종의 반도체 확보 경쟁 심화, 전기동력차 시장의 급성장 등으로 반도체 품귀 사태가 연내 해소되기 어렵다”며 “원유, 철강, 구리 등 기타 원자재 및 해상운송 수요급증 등 제2의 반도체 사태 발생 리스크도 있어 V자 회복세 지속이 불투명하다”고 전망했다.

국내의 경우 글로벌 반도체 수급 차질의 장기화와 함께 내수시장 수요 둔화 조짐도 나타나고 있어 안팎으로 어려움이 예상된다.

올해 1~4월 국내 자동차시장은 역대 최대 내수판매를 기록한 지난해에 비해 6.7%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현대차·기아를 제외한 외국인투자3사는 2개월 연속 판매가 감소하고 있다.

개별소비세 30% 감면이 오는 6월 종료되고, 하이브리드차 세제감면이 12월 종료되며 올해 하반기부터 수요위축이 우려된다는 것이 협회의 설명이다.

정만기 협회장은“단기적으로는 주력 수출시장의 V자 회복에 대비해 50인 미만 사업장의 주52시간 근무 유예, 탄력적 근로시간제 한시적 확대 및 요건 완화 등 생산 유연성을 높여야 한다”며 “개소세 30% 감면과 하이브리드차 개소세·취득세 감면의 경우 내수가 급격하게 위축되지 않도록 정부가 정책적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중장기적으로는 민·관 협력을 통한 고성능 반도체 중심 국내 차량용 반도체 생산기반이 강화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