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NA 직접 만들어 세계 최대 핵산 목표”…10여개 바이오사 컨소시엄 추진

뉴시스

입력 2021-05-20 16:26 수정 2021-05-20 16:28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한미 정상외교를 앞두고 백신 협력이 초미의 관심을 받는 가운데,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연합해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기술 자립에 나섰다.

mRNA 자체 개발과 생산을 통해 장기적으로 세계 백신 공급의 ‘아시아 허브’로 부상하기 위함이다. mRNA 기술은 향후 신종 감염병, 암 등 다른 질환 치료에도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 꼭 개발해야 할 영역으로 부상했다. ‘백신 아시아 허브 한국’ 구상이 성사될 경우 백신 인도주의를 통해 미국의 지도력 회복을 꿈꾸는 바이든 행정부와 함께 ‘K-바이오’에 역점을 기울여온 문재인 정부가 협력해 이뤄낸 큰 성과로 평가될 전망이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립보건연구원를 포함한 범정부는 바이오 업계와 함께 mRNA 기술을 보유한 국내 10여개 바이오 업체 컨소시엄 구성을 추진 중이다.

한미약품그룹, 에스티팜, 진원생명과학, 아이진, 코리 등 10여개 사와 논의를 진행 중이며 서울대, 포스텍, 명지의료재단 등 국내 생명과학계·의료계도 컨소시엄 구성 논의에 참여하고 있다.

개별 업체 간 협력 보단 컨소시엄 연합이 업체의 강점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점에 착안했다. 빠른 시간 내에 K바이오 능력을 집대성함으로써 개발 역량을 높이고 글로벌 백신 허브를 완성하고자 하는 전략이다.

컨소시엄 구성에 주도적으로 나섰던 임종윤 한국바이오협회 이사장(한미사이언스 대표)는 지난 4월부터 톰 프리든(Resolve to Save Lives 대표) 전(前) 미국 질병청장과 협의를 통해 mRNA 백신 대량생산 능력의 필요성을 공감해왔다.

컨소시엄 논의에 참가한 기업들은 mRNA 기반 기술 확보에 적극적이다. 한미약품 연구소는 자체 제작한 핵산 백신의 기초성능 검사를 진행 중이다. 원료의약품 계열사인 한미정밀화학은 핵산 원료 및 리피드(mRNA 백신의 원료) 합성을 생산 중이다. 또 한미약품은 mRNA 백신을 연간 10억 도즈(1도즈=1회 접종량) 생산할 수 있는 평택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까진 원료 위주로 생산 가능하다.

에스티팜은 스위스 로이반트 사이언스의 계열사 제네반트 사이언스와 LNP(지질나노입자) 기술을 비독점적으로 이전받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핵산 기반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기업인 진원생명과학은 항원3차 구조를 고려한 mRNA 백신 설계 능력을, 자회사 VGXI는 mRNA 백신 원액 생산 공정을 각각 보유하고 있다. 이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5일 한미약품 평택공장을 방문했으며, 컨소시엄에 참여해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 및 대량생산에 관한 협의를 했다.

앞서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 제약기업 수요조사를 통해 mRNA 개발 업체에 대한 지원 의사를 밝혔다. 올해 4곳, 내년에 7곳이 mRNA 백신 임상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들은 mRNA 백신에 필요한 원자재 생산, 안정화 기술 확보 등에서 정부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권준욱 제2부본부장은 “mRNA 백신 개발과 관련, 기업이 필요로 하는 사항을 조사해 지원하거나 애로사항 타개를 도와주고 같이 노력하기 위한 조사다”고 설명했다.

국립보건연구원 관계자는 18일 “이번 수요 조사와 컨소시엄 구성은 신기술인 mRNA 백신·치료제를 우리가 직접 만들어보자는 취지다”며 “한국이 mRNA 백신 생산을 자립해 글로벌 허브가 되는 것을 포함해서 다양한 방안을 고려중이다”고 말했다.

바이오 업계는 정부의 지원책을 환영하되, 기술 이전이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아직 mRNA 기술이 미력한 국내에서 자체 개발·생산이 가능하려면 지식재산권만 풀어선 안 되고 기술이전이 동반돼야 한다”며 “특히 생산라인을 깔려면 기술적 노하우가 없으면 접근하기 어렵다. 기술 이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정부의 임상연구비 지원이 합리적인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기초 체력을 키우도록 정부가 R&D 비용을 지원하는 방향은 좋은데 현실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비 지원이 필요하다”며 “코로나 사태만 만회하기 위한 것이라면 mRNA 백신·치료제 개발은 요원해진다. 국내는 기초 기술이 적어 많은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컨소시엄 참여 바이오기업들의 이번 프로젝트 취지는 비영리단체와 산업협회 등이 공공 이익을 위한 연합 컨소시엄을 통해 전세계 팬데믹 종식은 물론, 특히 저개발국가의 백신 소외 현실 해소에 이바지하는데 있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