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라임펀드, 김부겸 차녀가족 특혜 설계” 金 “딸 부부도 피해자”
전주영 기자
입력 2021-05-07 03:00:00 수정 2021-05-07 03:58:17
총리 후보자 청문회 ‘라임사태’ 공방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가 6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답변 후 물을 마시고 있다. 이날 청문회에선 김 후보자 차녀 일가의
라임 펀드 투자 특혜 의혹이 쟁점이 됐다. 김 후보자는 “딸 부부가 어떤 투자를 했는지 전혀 몰랐고, 특혜가 아니라 손해를
봤다”고 해명했다. 사진공동취재단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에선 김 후보자 차녀 일가의 ‘라임 펀드 사태’ 연루 의혹이 쟁점이 됐다. 국민의힘이 6일 청문회 첫날부터 김 후보자를 겨냥해 “‘내로남불 개각’의 화룡점정(畵龍點睛) 격”이라고 비판하고 나서면서 국회 인준안 처리를 둘러싼 여야 충돌을 예고했다.
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이 “문제 생기면 정보를 받고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엄청난 특혜고 라임 피해 국민들은 화가 머리끝까지 난다”고 지적하자, 김 후보자는 “(펀드 가입 사실을) 기자의 전화를 받고 처음 알았다. 금시초문이었다. 차녀는 벌써 독립해 살고 있어 이미 저와는 (경제생활을) 달리하고 있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투자한 원금도) 손해를 본 상태라고 이야기를 들었다. 매일 환매 가능하다면 (차녀 부부가) 어떻게 환매가 안 됐겠나”라며 환매한 적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후보자 측은 손해액이 원금의 15%가량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딸 부부가 자금 회수를 시도했지만, 금융당국에서 (조사에 착수해) 미수에 그치게 됐다”고 맞섰다.
“왜 특혜냐. 딸 부부도 피해자”라는 김 후보자의 항변에 야당 의원석에서 황당하다는 웃음이 흘러나오기도 했다. 김 후보자는 “지금 비웃음 받으려고 여기 있는 거 아니다. 아무리 의원이라도 이게 뭔가”라며 발끈했지만, 야당 의원의 사과 요구에 “무례한 짓을 한 데 대해 사과하겠다”고 몸을 낮추기도 했다.
국민의힘 김도읍 의원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테티스 11호’의 설정액 367억 원 중 349억 원을 댔던 회사는 이종필 전 라임 부사장이 사실상 운영했던 A사다. 여기에다 이 전 부사장이 6억 원, 김 후보자 차녀가 3억 원, 사위 최모 씨가 3억 원, 손녀(6)와 손자(3)가 각각 3억 원을 더 넣었다.
김 후보자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논란에 대해 “기대에 못 미쳤다”면서 “국민, 특히 젊은층에 여러 상처를 준 것은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했다. 다만 조 전 장관 검찰 수사에 대해선 “한 사람을 손보듯이 탈탈 털고, (피의 사실을) 생중계하듯 언론에 흘리는 관행도 문제 삼아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민주당의 의석수를 앞세워 임대차 3법 등을 기립 표결한다”는 지적에 김 후보자는 “국민 삶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법안은 숙성시켜야 한다”고 했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사면 필요성과 관련해선 “경제계 인사를 만나 상황 인식을 잘 정리해 대통령께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조 전 장관과 민주당의 입법 폭주 논란 등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잇달아 밝힌 데 대해 야권에선 “김 후보자가 친문 세력의 주장에서 벗어난 국정 운영을 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김 후보자는 주택 보유세 완화 논란에 대해 “주택을 장기 보유한 은퇴자 고령자에 대해선 최소한의 정책 탄력성을 보여줘야 하지 않겠느냐는 지적이 있다”면서 “부동산정책의 원칙이 흔들리지 않는 선에서 재산세·종합부동산세 제도를 고민해 보겠다”고 말했다.
전주영 기자 aimhigh@donga.com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에선 김 후보자 차녀 일가의 ‘라임 펀드 사태’ 연루 의혹이 쟁점이 됐다. 국민의힘이 6일 청문회 첫날부터 김 후보자를 겨냥해 “‘내로남불 개각’의 화룡점정(畵龍點睛) 격”이라고 비판하고 나서면서 국회 인준안 처리를 둘러싼 여야 충돌을 예고했다.
○ “김 후보자 위한 맞춤형 VVIP 펀드”
이날 국민의힘 의원들은 김 후보자 차녀 부부가 가입한 라임 ‘테티스 11호’ 펀드에 대해 “라임 사태 주범이 유력 정치인 가족을 자신의 배후로 두기 위해 구성한 로비용 펀드”라며 김 후보의 사과를 요구했다. 다른 라임 펀드와 달리 환매 수수료, 성과 보수가 0%인 데다 환매 제한도 사실상 없어 특혜라는 주장이다.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이 “문제 생기면 정보를 받고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엄청난 특혜고 라임 피해 국민들은 화가 머리끝까지 난다”고 지적하자, 김 후보자는 “(펀드 가입 사실을) 기자의 전화를 받고 처음 알았다. 금시초문이었다. 차녀는 벌써 독립해 살고 있어 이미 저와는 (경제생활을) 달리하고 있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투자한 원금도) 손해를 본 상태라고 이야기를 들었다. 매일 환매 가능하다면 (차녀 부부가) 어떻게 환매가 안 됐겠나”라며 환매한 적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후보자 측은 손해액이 원금의 15%가량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딸 부부가 자금 회수를 시도했지만, 금융당국에서 (조사에 착수해) 미수에 그치게 됐다”고 맞섰다.
“왜 특혜냐. 딸 부부도 피해자”라는 김 후보자의 항변에 야당 의원석에서 황당하다는 웃음이 흘러나오기도 했다. 김 후보자는 “지금 비웃음 받으려고 여기 있는 거 아니다. 아무리 의원이라도 이게 뭔가”라며 발끈했지만, 야당 의원의 사과 요구에 “무례한 짓을 한 데 대해 사과하겠다”고 몸을 낮추기도 했다.
국민의힘 김도읍 의원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테티스 11호’의 설정액 367억 원 중 349억 원을 댔던 회사는 이종필 전 라임 부사장이 사실상 운영했던 A사다. 여기에다 이 전 부사장이 6억 원, 김 후보자 차녀가 3억 원, 사위 최모 씨가 3억 원, 손녀(6)와 손자(3)가 각각 3억 원을 더 넣었다.
○ 조국·문파와 선 그은 김부겸
야당 의원들은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피해자를 두고 김 후보자가 “피해 호소인”이라고 언급했던 전력, 자동차세·과태료 체납, 강원 고성·속초 대형 산불 현장에서의 기념촬영에 대해 질타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부끄럽다” “반성한다” “죄송하다”는 답변을 여러 번 반복하며 낮은 자세를 보였다.김 후보자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논란에 대해 “기대에 못 미쳤다”면서 “국민, 특히 젊은층에 여러 상처를 준 것은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했다. 다만 조 전 장관 검찰 수사에 대해선 “한 사람을 손보듯이 탈탈 털고, (피의 사실을) 생중계하듯 언론에 흘리는 관행도 문제 삼아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민주당의 의석수를 앞세워 임대차 3법 등을 기립 표결한다”는 지적에 김 후보자는 “국민 삶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법안은 숙성시켜야 한다”고 했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사면 필요성과 관련해선 “경제계 인사를 만나 상황 인식을 잘 정리해 대통령께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조 전 장관과 민주당의 입법 폭주 논란 등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잇달아 밝힌 데 대해 야권에선 “김 후보자가 친문 세력의 주장에서 벗어난 국정 운영을 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김 후보자는 주택 보유세 완화 논란에 대해 “주택을 장기 보유한 은퇴자 고령자에 대해선 최소한의 정책 탄력성을 보여줘야 하지 않겠느냐는 지적이 있다”면서 “부동산정책의 원칙이 흔들리지 않는 선에서 재산세·종합부동산세 제도를 고민해 보겠다”고 말했다.
전주영 기자 aimhigh@donga.com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전기차택시 손님들이 많이 하는 질문 Best 5
- “다 따블, 따따블이에요”…가락시장, 손님도 상인도 ‘울상’
- ‘5980원 치킨’도 나왔다… 대형마트 초저가 경쟁
- 통신3사 “갤Z 폴드4·플립4 사전예약 첫날 성적 전작 이상”
- ‘6억 람보르기니’ 침수차 당근마켓 등장…“장식용, 100만원”
- 서울 재건축-재개발 풀어 5년간 24만채 공급
- MZ세대가 본 ‘윤석열표’ 청년주거해법…“좋은 기회지만 로또 같아”
- 공급부족으로 수입차 부진에도…중국차는 ‘쑥쑥’
- 믿었던 서초·용산마저…서울집값 ‘대장주’ 까지 무너졌다
- 연식 변경에 車값은 수백만원씩 올라… 하반기도 ‘카플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