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부품업체도 반도체 수급차질로 감산…“대만과 협력 확대해야”

뉴시스

입력 2021-04-06 11:12 수정 2021-04-06 11:14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의 절반가량이 반도체 수급차질로 감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동차산업연합회(KAIA) 정만기 회장은 6일 오전 9시 서울 서초동 자동차회관에서 ‘코로나19 이후의 글로벌 자동차산업 변화와 우리의 과제’를 주제로 열린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이같은 자체 조사 결과를 소개했다.

KAIA가 53개 국내 부품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 부품업체 48.1%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차질로 생산 감축 중이었다. 72%는 수급차질이 올해 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응답 업체 중 49.1%는 반도체 수급차질 등에 의한 완성차업체들의 생산차질 등으로 운영자금 애로가 심화되고 있다고 답했다.

또 부품업체들 중 72%는 성능만 된다면 수입산을 국산으로 대체하겠다고 답했다.

정 회장은 “대만 정부와의 협력 확대 등을 통해 반도체 수급애로를 타개해가면서 유동성 애로를 겪는 업체들에 대해 정부와 금융권이 선제적으로 특단의 금융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이번 위기는 잘만 활용한다면 우리 차량용 반도체 산업이 도약할 수 있는 기회도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전장부품산업의 혁신역량 강화 방향’ 주제발표를 통해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이 전기동력·자율주행자동차(미래차)로 전환하고 있지만 국내는 전장부품 조달에 차질을 빚고 있다”며 지난해 초 중국산 와이어링하네스 수입에 차질을 빚은 후 반도체, 인버터, 감속기, 센서류 등의 국내 공급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위원은 ”미래차에서 전장부품 비중이 기존 내연기관의 2배를 넘는 7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국내는 공급망이 취약해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며 ”미래차 경쟁력은 전장부품과 소프트웨어가 결정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국내 관련 인력은 선진국에 비해 절대 부족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미국 친환경 자동차산업인력은 25만명 이상, 독일 자동차산업 엔지니어수는 12만6000명이다. 또 포드는 프로그래머를 300명에서 4000명 이상으로, GM 크루즈는 인력을 40명에서 2000명으로 늘리는 등 미래차산업에서 글로벌기업의 인재유치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은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있고, 2019년 전세계 자동차산업의 연구개발 투자는 170조원으로 이중 독일 60조원, 일본 45조원, 미국 23조원, 중국 12조원인 반면 우리나라는 8조6000억원에 불과하고, 세계적 차량용 소프트웨어 업체는 전무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미래차 전장부품산업의 안정적인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빅3 전략이 요구된다“며 ”대형 공동연구개발 과제의 기획, 대형 지원센터의 구축, 다학제 인력의 대규모 양성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자동차산업의 인력 구조조정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는 인력 확보가 시급한 과제”라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