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술 치료 추간공확장술… 시술 후엔 염증 예방 관리 철저히

정상연 기자

입력 2021-01-27 03:00 수정 2021-01-27 03:0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물 닿지 않게 사우나-통목욕 자제
코어근육 유지하는 근력운동은 필수
평소 올바른 자세와 식습관 유지
사후 관리 잘해야 시술 예후도 좋아


박경우 서울 광혜병원 병원장은 추간공확장술 시술 후에는 염증 예방 관리 등 주의사항을 잘 지켜야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 광혜병원 제공
《추간공확장술이 척추관협착증, 허리디스크, 척추 유착성 질환(섬유성·수술성), 척추수술 후 통증 증후군 등 다양한 척추 질환에 차별화된 비수술 방법으로 적용되면서 추간공확장술에 대한 환자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시술 후 사후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환자들의 인식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추간공확장술의 개발자인 서울 광혜병원의 박경우 병원장에게 의견을 들어봤다.》





―좋은 예후를 위해 시술 완성도와 시술 후 사후관리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

시술 완성도와 시술 후 사후관리의 중요성은 최소한 6 대 4 내지는 5 대 5로 정도인데, 최근 시술 후 사후관리가 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척추질환으로 내원하는 환자 연령대가 다양해진 만큼 시술 후 생활습관 및 패턴도 다르기 때문에 사후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다면….

시술 후에는 시술 부위의 염증 예방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우나나 통목욕과 같이 시술 부위에 물이 닿으면 염증을 일으킬 수 있어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환자들 중에는 시술 후 통증이 좋아지면 습관적으로 사우나를 즐기다가 염증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있다. 시술 부위에 발생한 염증이 신경이나 척추 주변까지 진행되면 극심한 통증과 장기적인 부작용에 시달릴 수 있다.

또 침이나 부항, 물리치료 등 시술 부위에 직접 접촉으로 감염 위험을 높이는 치료는 피해야 한다. 예컨대 시술 부위가 아닌 곳에 가벼운 전기치료나 마사지 등을 받는 것은 괜찮지만 시술 부위에 강도 높은 도수치료나 물리치료를 받으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 환자에게 필요한 사후관리는….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일반적으로 연령대가 높기 때문에 척추 주변과 코어 근육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게 중요하다. 무리한 웨이트 수준의 근력 강화는 아니라도 40세 이후 근손실이 급격히 진행되는 점을 고려할 때 근육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노력은 필요하다. 나이가 들어 엉덩이 근육이 약화되면서 자연스럽게 상체가 앞으로 굽게 되는 현상도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인의 상태를 고려해 단계적으로 운동 강도를 조절해야 한다.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허리에 독이 된다.


―허리디스크 환자에게 필요한 사후관리는….

한번 터진 디스크는 관련 섬유륜이 약화된 상태이기에 언제든 재파열 혹은 재탈출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불안정한 자세로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거나 갑작스러운 하중 증가는 디스크 재발에 가장 위험한 인자 중 하나이기 때문에 바른 자세와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척추 유착성(섬유성) 환자에게 필요한 사후관리는….

한미일 특허받은 키트를 ‘추간공접근법’을 통해 추간공으로 삽입하여 인대를 절제하는 방식으로 추간공확장술을 진행하는 모습.
섬유성 유착은 척추의 염증 및 유착 발생 기전을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 흡연, 음주, 과체중, 비만, 패스트푸드, 고염분·고지방 음식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평소 과음이나 과도한 흡연 등은 삼가고 적정 체중을 유지하면서 잘못된 식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서울 광혜병원 박경우 병원장은 “염증 예방을 위한 시술 후 주의사항은 물론이고 질환별 사후 관리 포인트는 공통적으로 유념해야 할 사항이다.

특히 “환자마다 척추관(추간공) 크기와 협착 및 유착의 정도가 다르고 당뇨병, 심혈관질환, 간염 등 기저질환 유무에 따라서도 시술 후 회복 속도가 차이가 난다”며 “개인적 차이를 인지하고 시술 후 주의사항을 철저하게 지키고 사후관리 포인트를 잘 지킨다면 좀 더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상연 기자 j301301@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