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슈&뷰]소부장 으뜸기업, 손흥민처럼 우뚝 서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입력 2021-01-19 03:00:00 수정 2021-01-19 03:55:12

최근 우리 산업을 둘러싼 환경은 매우 도전적이다. 일본 수출규제에 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본격화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유럽연합(EU), 일본, 우리나라가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하는 등 기후변화 대응 움직임이 시작됐다.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디지털 융합이 가속화되는 등 산업 패러다임 전환도 가시화되고 있다. 스포츠 경기로 보자면, 경기규칙 자체가 변화하는 셈이다.
소재부품장비는 이런 도전에 맞서 제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이다. 중간재인 소재부품장비는 우리 눈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 제조업 성장을 뒷받침하는 ‘기술 속의 기술’이다. 업종과 분야를 막론하고 공급망에서 핵심적인 소재부품장비 관련 기술을 가져야만 현재와 미래시장에서 공급안정성을 강화하고, 저탄소사회와 디지털경제에 한걸음 더 다가설 수 있다.
11일 소부장 으뜸기업 22개가 선정됐다. 앞으로 100개까지 선정될 예정이다. 으뜸기업이 우리 산업에 가지는 의의는 각별하다. 반도체·자동차 등 6대 주력산업의 밸류체인을 분석해 생산에 필수적이고 파급력이 큰 핵심전략기술을 사전에 식별한 뒤, 기술력이 가장 뛰어나고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선정했기 때문이다.
정부도 으뜸기업이 ‘K제조업의 상징’으로 성장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올해 소부장 기업의 기술력 강화를 위해 1조7000억 원의 연구개발(R&D) 예산을 집중 투입하고 으뜸기업에는 기업당 최대 50억 원의 R&D 투자를 지원한다. 개발된 기술은 32개 공공연구소 테스트베드의 실증평가 등 사업화 지원이 연계된다. 맞춤형 해외진출 컨설팅과 40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통해 투자 유동성도 지원한다. 소부장 수급대응지원센터를 전담창구로 범부처 정책수단을 연계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관련 부처와 패스트트랙으로 성장 애로를 신속히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소부장 으뜸기업은 작지만 큰 걸음을 내디뎠다. 이 첫걸음을 시작으로, 으뜸기업이 아무도 넘볼 수 없는 기술력과 기업가 정신으로 세계시장 골문을 힘차게 흔드는 글로벌 스타로 우뚝 서는 그날까지 우리의 도전은 계속될 것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비즈N 탑기사
- “손주 낳지 않아서”…인도서 부모가 아들에 8억 손배 청구
- 병 걸린 낙타 죽자…토막내 호랑이 먹이로 준 동물원
- 새로운 10대 슈퍼히어로…‘미즈 마블’ 6월8일 디즈니+ 공개
- ‘무 닦던 수세미로 발 세척’ 족발집 조리장, 벌금 1000만 원
- 앤디 워홀 ‘매릴린 먼로’ 2500억 낙찰…20세기 미술품 중 최고가
- 산후조리원에 신생아 두고 사라진 부부…경찰 수사
- 작은 변화가 모여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2030세상/배윤슬]
- “멧돼지로 착각”… 길가서 소변보던 택시기사, 엽사가 쏜 총에 숨져
- “당신의 전쟁이 아니에요”…키이우서 울려 퍼진 3세 소년 노래
- “쌍둥이에 없던 이마 주름…조리원서 발찌 미리 떼고 바꿔치기”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