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기고 미루고 방관하고… 인간의 오판이 팬데믹 키웠다

전주영 기자 , 조유라 기자

입력 2020-12-31 03:00 수정 2020-12-31 13:26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코로나19]코로나 1년, 논란의 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존재가 세상에 드러난 지 31일로 정확히 1년이다.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에 이어 등장한 이 변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망자만 180만 명에 이를 정도로 엄청난 인명 피해를 낳았다. 인간의 선택도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피해를 키웠다. 정체불명의 바이러스 앞에서 각국 정부는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고, 크고 작은 오판이 이어졌다. 코로나19가 피하기 힘든 불가항력적 재난이면서 한편으로 인재(人災)이기도 한 이유다.》


中, 첫 발생 은폐-부실 대응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는 지난해 12월 초부터 원인을 알 수 없는 바이러스성 폐렴 환자가 발생했다. 중국은 이를 곧바로 세계보건기구(WHO)에 보고하지 않았다. 또 최초 발생지로 꼽히는 우한 화난수산시장을 통제하지 않았고 소셜미디어의 관련 내용을 검열했다. 사태 초기부터 신종 감염병 가능성을 주장한 의사 리원량(李文亮)을 처벌했다. 코로나19 기원을 조사할 WHO 조사단은 내년 1월에나 우한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WHO의 ‘뒷북’ 팬데믹 선언

WHO는 3월 11일 팬데믹을 선언했다. 114개국에서 12만 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온 뒤였다. 중국의 지원으로 현 위치에 오른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이 ‘차이나 머니’의 눈치를 지나치게 보느라 선언이 늦었다는 비판이 나왔다. 급기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WHO의 부실 대응과 중국 편향성을 이유로 분담금 집행 중단을 결정했다.


실패로 끝난 스웨덴 ‘집단 면역’


스웨덴은 적극적인 방역 조치 대신 과감한 집단면역을 결정했다. 한때 다른 유럽 국가에 비해 확진자 증가세가 완만해 효과가 있다는 기대도 있었다. 그러나 25일 기준 인구 1000만 명의 스웨덴에서 확진자는 39만 명을 넘었다. 덴마크, 노르웨이 등 이웃 국가보다 월등히 많은 숫자다. 결국 스웨덴은 집단면역 방식을 포기했다. 17일 칼 구스타브 16세 국왕은 “우리는 실패했다”고 말했다.


올림픽 고집하다 구멍 뚫린 日

일본은 올 상반기 내내 방역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2월 ‘죽음의 유람선’으로 전락한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사태가 대표적이다. 당시 하선과 격리를 오락가락하며 피해를 키웠다. 7월로 예정된 도쿄 올림픽 개막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결국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자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일본은 올림픽 개막을 내년 7월 23일로 1년 연기했다.


유럽-美 재확산 부른 셧다운 거부


7, 8월 유럽 일부 국가에서 재확산의 조짐이 뚜렷했지만 일부 시민은 방역수칙을 거부했다.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영국 등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화는 개인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반대 시위가 이어졌다. 미국에서도 마스크 착용이나 셧다운(봉쇄조치)에 반발하는 시위가 벌어졌고 일부에선 폭력 사태로까지 이어졌다. 경제난과 피로감, 정부의 일관성 없는 방역정책에 대한 불신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트럼프 미 대통령도 백악관에서 ‘노 마스크’ 행사를 여는 등 전문가 경고를 무시했다가 10월 확진 판정을 받기도 했다.


입국 금지-백신 논란… K방역의 그늘


K방역은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신속한 검사(test)→추적(trace)→치료(treat)로 이어지는, 이른바 ‘3T’ 효과다. 그러나 예고됐던 3차 유행을 막지 못하고, 백신 확보 늑장 논란이 더해지면서 빛이 바래는 양상이다. 특히 정부의 입국 금지 정책은 언제나 논란의 대상이다. 올해 초 중국에 이어 현재는 변이 바이러스가 유행 중인 영국 등에 대한 입국 제한 수위를 놓고 논란이 크다. 유행이 한창인 7월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을 발표해 의료계와 갈등을 빚은 것도 정부의 오판으로 꼽힌다. 백신 확보도 마찬가지다. 뒤늦게 대통령까지 나서서 추가 물량 확보에 나섰지만, 국내 접종은 빨라야 내년 2월이다. 반면 40여 국가는 올해 접종을 시작했다.

전주영 aimhigh@donga.com·조유라 기자

관련기사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