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스트의 마켓뷰]무형경제 시대, 투자 관점도 달라져야
홍재근 대신증권 장기전략리서치부수석연구위원
입력 2020-11-24 03:00:00 수정 2020-11-24 03:00:00

장기 고성장 종목에 대한 투자를 고민한다면 이제는 ‘무엇이 가치 측정을 어렵게 하는가’라는 답, 즉 본질을 탐구해볼 필요가 있다. 정량적 방법론에 앞서 경제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투자 철학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지난 10년간 글로벌 증시를 이끈 힘은 기술기업의 혁신이었다. 110년 전 슘페터가 말한 ‘창조적 파괴’는 이제 일상이 됐다. 피아 구분도 무의미하다. “우리가 페이스북을 없앨 존재를 만들어내지 않으면 다른 누군가가 그렇게 할 것이다.” 경쟁사 직원이 아닌 페이스북 직원들을 위한 핸드북에 쓰인 글이다. 스스로를 혁신의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이를 가능케 한 것은 무겁고 거대한 유형자산보다 가볍고 유연하지만 모방하기 힘든 무형자산에 집중적으로 투자한 사업전략이다. 예를 들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활동, 기업문화, 디지털 역량 등 재무제표에 없는 조직적 자산의 역할이 컸다. 영국은행의 통화정책위원 조너선 해스컬은 저서 ‘자본 없는 자본주의’에서 이를 ‘무형경제의 부상’이라고 설명한다.
글로벌 경제의 패러다임은 이제 유형경제에서 무형경제로 이동하고 있다. 미국은 1990년대부터 국내총생산(GDP) 중 무형자산 투자 비중이 유형자산을 넘어섰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종목의 주당 장부가액 중 유형자산 비중은 2014년을 기점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가 성장세로 돌아서고 지수 급등이 시작된 시점에 일어난 역주행이다. 경제성장에는 설비투자가 수반된다는 인식에 배치되는 현상이다.
안타깝게도 지난 10년간 코스피는 무형경제에 올라타지 못한 채 글로벌 증시와 탈동조화가 심화돼 이른바 ‘박스피’라는 오명도 얻었다. 유형경제의 함정에 갇힌 것이다. 다만, 최근 반전의 기류도 감지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삼으며 이른바 BBIG(바이오·배터리·인터넷·게임) 기업군이 주목받고 있다. 관련 기업의 상장도 이어지고 있다. 장기투자를 위해 이러한 흐름이 한국 증시 생태계를 무형경제 패러다임으로 이동시키는지를 잘 따져볼 시점이다.
홍재근 대신증권 장기전략리서치부수석연구위원
비즈N 탑기사
- 멜라니아 “백악관 재입성? 절대 아니라고 말 못해”
- “손주 낳지 않아서”…인도서 부모가 아들에 8억 손배 청구
- 병 걸린 낙타 죽자…토막내 호랑이 먹이로 준 동물원
- 새로운 10대 슈퍼히어로…‘미즈 마블’ 6월8일 디즈니+ 공개
- ‘무 닦던 수세미로 발 세척’ 족발집 조리장, 벌금 1000만 원
- 앤디 워홀 ‘매릴린 먼로’ 2500억 낙찰…20세기 미술품 중 최고가
- 산후조리원에 신생아 두고 사라진 부부…경찰 수사
- 작은 변화가 모여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2030세상/배윤슬]
- “멧돼지로 착각”… 길가서 소변보던 택시기사, 엽사가 쏜 총에 숨져
- “당신의 전쟁이 아니에요”…키이우서 울려 퍼진 3세 소년 노래
- “누가 살까” “다 팔렸다”… 뜨거웠던 아트페어 ‘아트부산’
- 7월부터 대출자 18%는 신규대출 불가…대출한도도 ‘뚝’
- 주담대 금리 또 오른다…코픽스, 3년 만에 최고치
- 고령화되는 노동시장…취업자 20%는 노인, 청년보다 181만명 많아
- 공공기관 평균 연봉 7000만 원…대기업보다 높아
- [단독]사활 걸고 만든 쌍용차 SUV 신차, 모델명 ‘토레스’로 확정
- 사람처럼 씹고 맛보고… ‘최적의 음식 맛’ 찾는 로봇 나왔다
- “미래차 내부, 뜨뜻한 온돌방으로 변신”
- ‘2030’ 자산격차 35.27배…소득보다 ‘부의 대물림’ 원인
- 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 5년 만에 62.6%→7.6%로 ‘뚝’